-
-
쥐를 잡자 - 제4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ㅣ 푸른도서관 18
임태희 지음 / 푸른책들 / 2007년 6월
평점 :
딸아이가 이제 돌을 앞두고 있다. 아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성격이었기에 한 아이의 엄마가 된다는 것은 나에게도 약간의 짐으로 다가왔었다. 더군다나, 사회에서 들려오는 크고 작은 사건들은 한 아이의 엄마, 딸아이를 둔 엄마의 심정을 더욱 위축시키는 듯했다. 잠든 아이를 바라보며 너에게만은 저런 상처 없이 예쁘고 건강하게 키우마..라고 다짐도 해보았다.
내가 살아온 시간동안,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어떻게 하면 너에게 설명해줄 수 있을까? 생각도 하기 싫지만, 너에게 이런 상처가 생긴다면 어떻게 보듬어주고 낫게 해줄 수 있을까? 한 아이의 엄마가 되고 나서, 느끼는 감정은 여러가지였다.
책을 펼쳐든다. 갉작갉작... 쥐가 뭔가를 긁는 소리를 내며 세 명의 여자에게 다가왔다. 보잘 것 없는 쥐 한마리가 마음속에 들어와서는 불안을 자아낸다. 마치, 그 불안의 실체인양 쥐는 갉작갉작 긁어댄다. 교단에 선지 얼마 되지 않는 초보 교사의 마음속에도 쥐가 한 마리, 미술대학 조소과 강사인 젊은 엄마의 냉장고 속에 쥐가 한 마리, 주홍이의 뱃속에 쥐 한 마리, 이렇게 세 사람에게는 각기 다른 쥐 한 마리가 살고 있다. 이야기는 주홍이에게 역점을 두지 않고 세 사람 모두를 아우르고 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그 무게감이 조금은 가벼워진 듯하다.
쥐를 잡자. 쥐는, 최선생에게는 아이들과 교감하지 못하는 초보강사의 두려움으로, 주홍이엄마에게는 과거의 무게에 짓눌리고 억눌린 감정으로, 주홍이에게는 원치 않는 생명으로 자리 잡았다. 쥐를 잡자...쥐를 잡자...게임을 하는 아이들의 목소리가 날카로운 비수처럼 파고든다. 하필이면 이 세 사람의 존재감은 나와 무관치 않다. 그 모든 공통점을 안고 책을 읽는다. 이 책 속의 세 사람은 마음을 열지 못하고 혼자 끙끙대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그들 속의 쥐는 두려움과 아픔과 슬픔을 먹고 점점 커져간다.
주홍이는,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 된 아이다. 그렇지만, 누가, 언제, 어떻게, 왜라는 질문을 허용하지 않는다. 지금 현재 주홍이가 임신을 한 상태라는 것만이 중요할 뿐이다. 우리는 흔히 아이를 위한답시고 수많은 질문을 쏟아낸다. 그건 그 아이에게 죄의식을 심어주는 행위라는 걸 인식하지 못한 채 또 한 번 아이에게 시련을 주는 것이다. 이 책은 그것을 경계하고 있는 듯하다.
성폭력이라는 단어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도 작가는 많은 이야기를 한다. 세 명의 화자가 번갈아가며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 보이는 서술방식은 읽는 독자로 하여금 세 사람의 입장에 설 수 있게끔 도와준다. 그래서 나는 최선생이 되기도 하고 주홍이가 되기도 하고 주홍이엄마가 되기도 하면서 그들의 마음을 알아간다. 이 책 속에는 가해자도 피해자도 없다. 가해자와 피해자로 나누어 사건을 바라보던 우리를 반성하게 하는 부분이다.
이 책을 읽는 아이들도 나처럼 세 명의 화자가 되어 볼 것이다. 나 혼자 그 많은 짐을 지고 살아가는 사람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될 것이다. 누구나 불안과 고민을 내면에 품고 있지만 그것을 드러내지 못한 것일 뿐이라는 걸 알게 될 것이다. 비록 주홍이가 낙태 후 심리적 불안을 떨쳐버리지 못한 채 자살을 했지만, 그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을 읽는 어른들도 세 명의 화자가 되어 바라볼 것이다. 어른들이 정해놓은 틀-학교의 방침이라든가, 성폭력에 노출된 아이를 바라보는 시선이라든가-이 얼마나 이기적인 것인가를 알게 될 것이다.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마음속에 얼마나 많은 쥐들을 키우고 있는지를.. 서로를 위한다는 명목 아래 우리가 얼마나 무관심한 채로 살아왔는지를..
쥐를 잡자. 우리 마음속의 불안과 두려움, 슬픔, 속박을 잡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