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들을 간절하게 바라던 왕이 7명의 딸을 낳자 화가 나서 7번째 딸을 바다에 버렸는데 거북이 용궁으로 데려가서 거기서 자라게 된다. 그 아이가 바로 바리공주 -바리데기-인데 왕이 병이 들었는데 바리공주가 구해 오는 불사약을 먹어야 나을 것이라 하여 저승으로 가서 부처님을 만나고 신선에게서 약수를 구해 와서 왕을 살려냈다. 그래서 바리는 죽은 자가 저승 세계로 안전하게 가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 굿을 할 때 모셔진다.




내가 알고 있는 바리공주 이야기가 황석영의 바리데기에서는 어떻게 그려질까? 하는 궁금증을 안고 이 책(내가 읽은 것은 가제본 형태이다)을 읽었다. 옛 서사를 보면 바리는 자신을 내다 버린 부모를 위해 죽을 고생을 하고 생명수인 약수를 구해 와서 살려낸다. 그러나, 자신을 내다버린 부모에 대한 효가 중심이라기보다는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떠도는 자들을 구해준다는 내용이 더 중요하게 다가온다. 만약, 이 서사가 孝만 강조했더라면 오랜 기간 전승되지 못했으리라 생각된다.




바리데기는, 옛 서사의 줄거리를 빌려왔을 뿐만 아니라 그 이름도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 책 속의 바리는 현대의 북한과 중국, 영국을 거치면서 옛 서사 속의 바리데기처럼 고난을 겪는다. 그러나, 생명수를 찾아 부모에게 돌아가야 하는 바리데기와는 달리, 책 속의 화자 바리는 생명수를 찾아 돌아갈 곳이 없다. 바리데기의 운명을 타고 났지만 바리에게는 그 생명수-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자신을 버린 부모를 위함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바리에게 주어지는 고난, 중국에서 밀항선을 탔던 사람들의 고난, 이슬람 사람들에게 주어진 고난의 의미를 깨닫게 하는 생명수로 되살아난다. 바로 이 점이 바리데기의 주술적 역할-죽은 자들을 저승세계로 안전하게 인도하는-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바리의 고난은, 바리 개인의 고난이 아님을 깨닫게 될 것이다. 북한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 두만강을 건너 중국으로 가서 살 길을 찾는 사람들, 그마저도 어려워 다시 외국으로 밀항을 해야 하는 사람들, 외국에 가서도 불법체류자라는 꼬리표를 달고 삶을 온전히 누릴 수 없는 사람들의 고난이다. 이들의 고난이 남의 나라 이야기처럼 들리지 않는 것은 우리 주위에서도 접할 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이고, 최근 몇 년 동안 벌어졌던 사건들과 연관되기 때문일 것이다.




바리의 고난의 삶을 통해 황석영은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일까? 사람들의 욕망, 전쟁, 슬픔, 속박과 압제, 미움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기를 바라는 마음, 희망에 대한 믿음. 이 모든 것이 이 책 속에 있다. 우리는 그 중에 우리 각자에게 맞춤한 대답을 찾으면 된다.




황석영은, 얼마 전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현대 한국문학은 다채롭고 힘이 있으며 라틴아메리카문학처럼 서구문학에까지 오히려 많은 영감과 반성을 줄 수 있는 서사를 가지고 있다” (계간 창작과 비평 2007년 여름호, p.185) 바리데기가 바로 그런 서사를 가진 소설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한국적인 서사를 차용하여 소설의 무대를 넓히고, 다양한 인물들을 배치함으로써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주제로 풀어낸 점이 그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