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마동왕 그랑조트 최후의 매지컬 대전 魔動王グランゾート 最後のマジカル大戰, 1990

감독 : 이우치 슈지

작성 : 2008.12.13.



“결국은 ‘동족상잔’이란 말인가?”

-즉흥 감상-



  앞선 ‘마동왕 그랑조트 魔動王グランゾト, 1989’의 감상문에 감독 정보를 ‘야다테 하지메’로 적어버린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분은 원작자-선라이즈사의 원작자 단체의 필명(?)-이시구요. 감독은 ‘이우치 슈지’ 님 이기에 정정신고(?)를 한다는 것으로, 우연찮게 구한 OVA에 대해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높은 건물들로 구성된 울창한 빌딩숲의 모습에 이어 수업을 마치는 종소리가 들리는 것과 함께 엔진이 달린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신나게 질주하는 한 소년의 모습으로 시작의 문을 열게 됩니다. 그 소년은 바로 앞선 이야기의 1년 후로, 달에서 만나기로 했던 약속의 날이 되었기에 여행길에 오르게 되는 ‘다이치’였는데요. 그런 즐거운 일정도 잠시, 정체불명의 빛의 에너지가 달로 향하게 되고 그저 평화롭게만 보이는 달 안의 세상 ‘라비루나’에 어둠의 시련이 찾아오게 됩니다.

  그렇게 저 먼 우주로부터 ‘사동족’의 방문이 있게 되었음에 라비루나에 있던 ‘빛의 탑’과 그동안 봉인되어있던 ‘어둠의 탑’이 달 표면으로 드러나게 되고, 달을 기본으로 우주의 전부를 파괴할만한 계획에 시동이 걸리게 되는데요. 그런 위기의 순간 소년 셋이 한자리에 모이게 됨에 그랑죠와 그 밖의 마동왕을 소환하기에 이르지만, 사동족의 왕이랍시고 나타는 자의 힘 앞에서는 명함도 못 내밀고 무릎을 꿇게 되고 마는데…….



  우리나라에는 ‘하이퍼 그랑죠’라는 이름으로 OVA가 방영되었다는 첩보를 얻을 수는 있었으나, 국내 방영판으로, 특히 TV에 방영 중이던 작품들을 끝까지 달려본 기억이 거의 없는 편인데요. 세월이 흘러 이렇게라도 어둠의 항구를 통해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는 점에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아무튼, 감상문을 쓰면서 생각하게 된 것이지만 즉흥 감상을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적을 걸 그랬습니다. 달나라의 평화를 지켜내었던 소년들이 1년 만에 다시 보기로 한 어느 날. 때마침 찾아온 어둠의 시련과 TV판에서 미처 밝혀지지 못한 ‘토끼인간’의 남은 진실 등 흥미로운 이야기로 가득 했지만, 으흠. 그런 많은 내용을 폭로하는 것 치고는 사건의 진행정도가 너무 빠르다는 기분이 들어버렸는데요. 그래도 ‘마동왕 그랑조트 모험편 魔動王グランゾ-ト 冒險編, 1992’라는 다음 편을 준비하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그다지 할 이야기가 없었던 것인지 조금은 어이가 없을 정도로 행복한 결말로의 마침표를 서둘러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작품은 앞선 이야기인 라비루나의 탈환으로 인한 전투의 적군 최후의 생존자인 ‘샤먼’과 ‘에누마’가 되돌아간 고향에 대한 언급이 나와 반가웠었습니다. 하지만 ‘타이의 대모험, 파괴하라 신생6대장군ドラゴンクエスト ダイの大冒險, ポちゃポれ!! 新生6大將軍, 1992’라는 OVA를 보는 것 마냥 짜증이 났던 것이 사실인데요. 전부다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간혹 만나게 되는 몇몇 OVA들은 본편의 영광들을 무참히 파괴하는 것 같아 그저 아쉽기만 했습니다. 그래도 ‘모험편’의 세편 중 우선은 한편만을 보면서는 무엇인가 뒷이야기가 기대되는 한편, 제작비가 부족했던 탓인지 도색도 덜 되어있고 상태가 영 좋아 보이지 않던 ‘하이퍼 그랑죠’가 다시 등장하는 것만큼은 참아주었으면 한다는 것으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볼까 하는군요.



Ps. 게임에는 소질이 없다하여도, 이렇게 원작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재미있게 접한 다음으로 게임에 대한 정보도 하나 둘씩 잡히고 있는 바. 음~ 이 ‘마동왕 그랑조트’의 게임판도 한번 해보고 싶어지는군요.

 

 

TEXT No. 08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Death Note R2: L을 잇는 자 Lを繼ぐ者, 2008

감독 : 아라키 테츠로

원작 : 오오바 츠구미, 오바타 타케시

출연 : 미야노 마모루, 나카무라 시도, 야마구치 캇페이, 히라노 아야 등

작성 : 2008.12.10.



“설마 이거 세 번째 묶음까지 나오는 건 아니겠지?”

-즉흥 감상-



  ‘그럼 L의 최후 다음으로 나왔던 후계자들의 이야기에 대한 요약본은 없단 말인가?’라는 의문과 함께 기다리다 지친 나머지 ‘데스 노트’라는 이름을 망각의 영역으로 두고 있던 저는, 우연한 검색 결과로서 나머지 반쪽의 정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는 예기치 않은 문제로 어려운 소환의 시간을 가졌었고, 드디어 만나게 된 작품은, 음~ 직접 확인해보실 것을 권해드린다는 것으로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하는군요.



  작품은 우선 L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등장하더니 간단한 인사와 함께 ‘DEATH NOTE Rewrite: 환시 하는 신 幻視する神, 2007’의 내용을 정리하는 것으로 시작의 장을 열게 됩니다. 그리고는 등장인물의 소개를 동반한 요약에 이어 자신의 최후를 마지막으로 승부에서 이긴 ‘라이토’의 절규에 가까운 광기어린 포효를 통해 핏빛으로 그려지는 신세계의 길을 보여주게 되는군요.

  그렇게 L의 죽음을 통해 각자의 방법으로 L의 뒤를 잇게 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요. 라이토는 L의 뒤를 이어 ‘일본 수사 본부’의 운영을 시작하게 되고, 보육시설을 나가버린 ‘멜로’대신 ‘니아’가 ‘키라’를 잡기위한 ‘SPK'라는 주사위를 굴리게 됩니다. 그리고는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가속화되는 두뇌싸움이 절정을 향해 달리기 시작했음에 그 둘이 정면승부를 준비하려는 찰나, 그동안 조용히 움직이고 있던 ‘멜로’가 그 모습을 드러내자 그들의 승부는 감히 예측하기 힘든 마침표로의 질주를 시작하게 되지만…….



  ‘환시하는 신’때도 그랬지만, 이번 작품 또한 TV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재편집되어 종합편을 보는 듯한 기분으로 만나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 동시에 본편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영상들이 추가되어 이 작품 자체로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제작되어있었는데요. 이미 내용을 알고 봐서 그런지는 몰라도-전편에 비해서 지겨운 맛은 없었지만-생략된 부분이 엄청나게 많다는 기분이 들어버렸습니다.



  네? 다른 건 필요 없으니 결론이 같은지 다른지나 알려달라구요? 저도 내심 색다른 마침표를 기대하고 감상에 임했습니다만, TV판의 마지막과 별반 다를 게 없었다는 점에서 그저 아쉽기만 했습니다. 그래도 상당한 길이의 내용을 한편의 영화를 보듯 정리하신 감독님과 제작진 여러분께는 소리 없는 박수를 보내보고 싶을 정도였는데요. 그래도 혹시나 하는 생각을 가지고 계시는 분들을 이번 작품을 직접 확인 해봐주셨으면 하는군요.



  음냐. 세 번째 실사 극장판이라 말해지는 ‘데스 노트 - L: 새로운 시작 L: Change The WorLd, 2008’과 그것의 소설판, 그리고 ‘데스 노트 Another Note - 로스앤젤레스 BB 연속 살인사건’, 그동안 소문만 들어봤던 드라마판까지 심심하면 새롭게 그 모습을 선보이는 ‘데스 노트’들. 비록 평가들이 그리 좋게 들리지는 않습니다만 다양한 매체로의 각색에 대한 시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데요. 수많은 이유로 만들지 못할 바에는 이렇게라도 만들어냄으로 후대에 더 멋진 작품으로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모습에 대해 우리는 어떤 마음자세로서 임해야 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음? 감상기록을 마치려는 순간 ‘데스노트 vs 이블노트 Evil Eyes : Evil Note’라는 명확한 정보가 보이지 않는 이상한 작품을 발견하게 되었는데요. 「미국 리메이크판 ‘데스노트’」라는 설명을 보는 순간 ‘링 ルング’의 무단도용에 가까운 표지를 자랑했던 영화 ‘링 게이트 11:11, 2004’가 같이 떠오르는 바. 부디 끼워 팔기 위한 판매 전략이 아니기를 바란다는 것으로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보는 바입니다.

 

 

TEXT No. 0831

  

 




width="100%" src="http://api.v.daum.net/widget1?nid=51791515" frameborder="no" height="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DEATH NOTE Rewrite: 환시 하는 신 幻視する神, 2007

감독 : 아라키 테츠로

원작 : 오오바 츠구미, 오바타 타케시

출연 : 미야노 마모루, 나카무라 시도, 야마구치 캇페이, 히라노 아야 등

작성 : 2008.12.10.



“한 번에 훑어보는 데스 노트 1기?”

-즉흥 감상-



  공포와 호러의 조우를 주선하는 조직을 심심찮게 들리던 저는 무엇인가 예상하기 싫었던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것은 원작에 해당하는 만화책과 TV애니메이션도 다 끝난 마당에 새롭게 선보이는 뭔가 낯익은 제목의 애니메이션의 정보였는데요. 아무튼, 위의 즉흥 감상을 이끌어내게 했다는 것으로서,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어둠에 잠식중인 검붉은 저녁노을의 하늘과 황무지나 다름없는 사신계의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서 시작의 문을 열게 됩니다. 그리고는 ‘인간계에 내려가 재미를 본 사신’을 만나고 싶다고 발악하는 사신의 모습이 있게 되는군요.

  그렇게 사신계의 사과를 대가로 ‘신세계의 신이 되겠다던 녀석’에 대해 말해주겠다며 본론의 문이 열리게 되는 이야기는, 썩어버린 세상에 대해 으르렁 거리는 누군가의 목소리를 시작으로 어느 날 줍게 되었던 ‘데스 노트’로 지구를 청소하기 시작한 남학생이 있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게 됩니다.

  하지만 너무나도 간단히 정의가 실현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던 차에 노트의 본 주인인 ‘사신’이 나타나는 것도 잠시, ‘L’이라고 하는 세계적인 명탐정이 ‘키라’라고 불려지는 정체불명의 대량살인마에 대한 선전포고를 하게 되는데요.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둘의 두뇌게임이 가속화되던 어느 날. ‘키라’와 'L'이 직접대면하게 되면서부터 그 심리전은 극한으로 치닫게 되지만…….



  기다리다 못해 다음 이야기라 할 수 있는 ‘Death Note R2: L을 잇는 자 Lを繼ぐ者, 2008’을 보고난 후라지만, 처음 이 작품을 만났을 때는 ‘음~ 역시 L과의 접전이 인기가 좋아서 이것만 이렇게 종합편으로 만들어버린 건가?’싶었는데요. 아니나 다를까, 제목만 봐도 알 수 있듯 남은 이야기는 또 다른 묶음으로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작품은, 에~ 딱히 하고 싶은 말이 없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한 사실이지만 TV판을 다본 저에게 있어서는 그저 지겹다는 느낌뿐이었는데요. 라이토와 L이 처음으로 대면하는 부분부터 차이가 확연해지더니 마지막 장면은 앞서서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화면이 준비되어지고 말았습니다. 아직 이 작품의 내용을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발설은 하지 않겠지만, 만화책이나 TV판이 길어서 못 보겠다 싶으신 분들은 요약편에 가까운 이번 작품을 통해 전반적인 내용을 접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생각이 드는군요.



  네? 더 이상 할 말도 없어 보이는데 제목에서의 ‘환시’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나 설명해보라구요? 사전을 열어보면 명사로 ‘실제로 존재하지 아니한 것을 마치 보이는 것처럼 느끼는 환각 현상.’을 의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직접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사람들을 죽여나감에 라이토가 ‘키라’라는 이름을 얻게 되며, ‘신세계의 신’이 되고자 자기 스스로를 몰아붙이는 모습에서 제목을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하는데요. ‘예술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라는 수업 때 배운 토마스 아퀴나스의 ‘명료성’을 통해 파울로 코엘료 님의 소설 ‘오 자히르 O Zahir, 2005’에서 말해지는 ‘자히르’의 개념을 떠올려 볼 수 있었다… 고 적었다가는 당장이라도 돌멩이가 날아올 것 같아 자중해보며, 작품 자체에 그리 큰 기대를 품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만 해두겠습니다.



  음냐. 그럼 ‘L을 잇는 자’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 종합편을 소개하기 위해서라도,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보는 바입니다.



Ps. 오우! 드디어 도착했습니다!! 그것이 무엇이냐 하면 바로 소설 ‘케이 팩스 K-PAX, 1995’로 감히 SF의 불모지라 할 수 있는 우리나라에서 쥐도 새도 모르게 번역출판 되었다가 사라진 책인데요. 영화를 너무나도 인상적으로 만난다음 이어서 만났던 원작을 드디어 입수하게 되었습니다! 우오오오오오오오!!

 

 

TEXT No. 08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카지카 KAJIKA, 1998

저자 : 토리야마 아키라

역자 : 최현미

출판 : (주)서울문화사

작성 : 2008.12.08.



“모든 것에는 때가 있는 법이다?!”

-즉흥 감상-



  아아. 만날 작품은 너무나 많은데, 만날 시간은 너무나도 부족합니다. 아무튼, 화장실에 갈 때마다 수 십 번은 더 읽었었는데 감상문이 없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아버렸다는 것으로서, 소개의 시간을 조금 가져볼까 합니다.



  작품은 가파르기 짝이 없는 낭떠러지 위에서 유심히 사방을 살피고 있는 꼬리 달린 소년의 모습으로 시작의 장을 열게 됩니다. 그리고는 무엇인가를 찾았다면서 뛰어내리더니 폭포를 마주하고 있던 도마뱀의 목숨을 구해내게 되는군요.

  한편, ‘용의 알’과 관련되어 무장한 남자들과 대치중인 소녀가 있게 되는데요. 10마리만 더 구하면 인간으로 되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면서 좋다가 슬펐다가 이해할 수 없는 반응을 보이던 소년이 그런 소녀를 발견하고는 위기상황에서 구해내게 됩니다. 그리고는 여차저차 알이 처음 있었던 섬의 연구소로 배달하는 부탁을 받아들이게 되는군요.

  그렇게 뜻하지 않는 임무를 부여받아 여행길에 오르게 된 소년에게 그 알을 되찾아오기 위한 ‘해결사’가 한명 따라 붙게 되고, 소년의 여행은 뜻하지 않는 방해로 자꾸만 험난하게 변해가기 시작했는데요. 그 과정에서 세계 인류의 현상금 사냥꾼이자 어린 시절의 저주로 인해 여우의 귀와 꼬리를 달고 있는 소년의 과거가 드러나는 것도 잠시, 멸종위기에 처해있던 용의 마지막 알이 부화되어버림에 이야기의 모든 주역들이 한자리에 모이게 되지만…….



  사실 애니메이션 ‘DEATH NOTE Rewrite: 환시 하는 신 幻視する神, 2007’의 감상문을 작성하려 했지만, 최근 들어 컴퓨터의 상태가 악화되어버린 나머지 계속 멈춰버리자 일단은 ‘Death Note R2: L을 잇는 자 Lを繼ぐ者, 2008’을 보면서 짜증을 눌러 담았는데요. 그런 여파 때문인지 속이 안 좋아 화장실을 찾게 되면서 이번의 만화책을 집어 들게 되었습니다.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화장실에 가실 때 무엇을 들고 가시는지요? 요즘은 대여료도 아까우신 것인지 다운 받아보시며, 모바일PC의 발달로 PMP와 같이 들고 다니는 컴퓨터까지 생활화되고 있는 편이다보니 어떠실지 모르겠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집에 잔뜩 싸여있는 것이 만화책과 소설책이며, 화장실 입구에도 책장을 하나 만들어 만화로 보는 전례동화 같은 책을 따로 관리하고 있을 정도 이다보니 가끔은 화장실이 두 개있었으면 할 때도 있다는 것은 농담이고, 이런 환경이기에 알게 모르게 만화책을 많이 읽으면서도 감상문이 거의 없었다는 사실에 이번과 같은 감상문을 작성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이번 작품은 만화책 ‘드래곤 볼 ドラゴンボール, 1984~1995’로 유명하신 토리야마 아키라 님의 한 권 분량으로, 훨씬 안정된 그림체와 짧은 듯 하면서도 깔끔하게 마무리되는 우화식 유머가 담긴 작품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종족 특성상 초인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아무 이유 없이 늙은 여우를 죽인 대가로 저주를 받아 1000개의 목숨을 구해야만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 있는 주인공. 그리고 그런 소년을 중심으로 그려지는 인간의 욕심이 부른 비극이 쉴 틈을 주지 않고 질주하고 있었는데요. 만일 화장실에 들고 들어가실 것이라면 다른 가족 분들을 위해서라도 한창 분주할 아침 시간은 피해주실 것을 적극 권장해보는 바입니다.



  그러고 보니 이 밖으로도 이렇게 한 권 단위로 끝나는 토리야마 아키라 님의 작품이 몇 권 더 있었는데 어디 간 것인지 찾을 수가 없는데요. 최근 들어 유명을 달리하시는 작가님들의 소식을 심심치 않게 듣고 있는 바. 토리야마 아키라 님~ 요즘은 뭐하고 계시나요?

 

 

TEXT No. 08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 배트맨 TAS 시즌 2 Batman: The Animated Series Season 2, 1993~1994

감독 : 보이드 커클랜드, 프랭크 포어, Eric Radomski, 댄 리바, 딕 세바스트, 브루스 W. 팀 등

출연 : 케빈 콘로이, 밥 하스팅스, 로버트 코스탄조 등

작성 : 2008.12.04.



“아아~ 위대한 사랑의 힘이시여.”

-즉흥 감상-



  밀린 감상문이 생각보다 많았다는 것도 잠시, 앞으로 작성해야할 목록에서 빠진 것들도 하나 둘씩 발견되기 시작했습니다. 아무튼, 이번에는 60화로 한 시즌을 마감했었던 배트맨 애니메이션 시리즈 그 두 번째 묶음을 조금 소개해볼까 하는군요.



  작품은 번개를 일으킬 수 있는 물건을 통해 스스로를 신격화했던 한 남자와의 싸움으로 일단락되었던 이야기와는 상관없이 새로운 이야기로 시작의 문을 열게 됩니다. 바로, 고담 시에 등장하게 된 새로운 정의의 축과 관련하여 고든 국장이 누명을 쓰게 되자 그것을 해결하려는 배트맨의 노력 속에서 ‘배트걸’의 탄생을 말하게 되는군요.

  그렇게 인간으로의 삶으로 되돌아가고 싶어 사건을 저지르기 시작한 ‘클레이페이스’, 근심걱정을 덜어준다는 ‘워리맨’이라는 인형을 통해서 발생하게 되는 의문의 사건, 고담의 어둠의 세력인 루퍼트 쏜과 관련되어 한 의사가 범죄에 휘말리게 되는 이야기, 고담시가 정체불명의 괴물로 공포에 떨게 되고 그것이 ‘포이즌 아이비’와 관련되었을 것이라 추측되지만 그녀는 개과천선하여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있었는데, 수송 중이던 ‘킬러 크록’이 탈옥하게 됨에 배트맨이 그 뒤를 쫒게 되지만, 전시회를 앞두고 발생하게 되는 도난 사건에 유명을 달리한 줄 알았던 ‘라스 알 굴’이 등장하게 되자 그의 음모를 저지하기 위한 배트맨의 활약이 있게 되는데…….



  사실 이번의 두 번째 묶음은 전체 9개의 이야기로 마침표가 찍혀버렸기에, 마지막 이야기이자 즉흥 감상을 이끌어내게 한 이야기의 진실을 밝히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힌트를 살짝 적어본다면, 앞선 묶음의 마지막이야기에서 얼굴만 살짝 보이는 그와 그를 열혈이 사랑하는 그녀의 이야기라고만 해보는군요.



  한 편 한 편 보면서 과연 끝이 있기는 한 것일까 걱정부터 드는 어둠의 기사의 행보. 그리고 극과 극을 달리는 이중생활에 미쳐버리지 않을까 하는 불안함. 거기에 그가 상대하는 인물들이 하나 같이 절정점을 달리고 있는 정신병자들임에 그의 정신 상태가 심히 의심스럽기까지 한 이런 작품을 보면서는 ‘나는 왜 이렇게 찝찝한 뒷맛의 작품을 계속해서보고 있는 거지?’라는 생각마저 하게 되었는데요. 정의랍시고 휘두르는 폭력 안에서 점점 골이 깊어지는 범죄에 대해 우리는 어떤 시점으로서 이 작품을 마주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시간이필요하다 판단되었습니다. 



  연속성을 지닌 드라마와는 달리 옴니버스와 연작의 형태를 적절히 사용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서도 한 인물을 중심에 두고 계속되는 이야기를 보면서 배트맨의 세계관이 넓어지는 것은 분명 즐거운 일이지만, 죽었을 것이라 생각되는 인물이 갑자기 살아 돌아오고, 심지어 이번 시즌 안에서는 펭귄과 리들러 등 몇몇은 소리 소문 없이 등장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음냐. 아무튼 이렇게 해서 세 번째 묶음으로 진입하기 위한 허가(?)가 떨어지게 되었는데요. 어째 쓰면 쓸수록 할 말이 없어지는 작품이 되었지만, 이상하게도 중독되어 계속 볼 수밖에 없게 된 작품. 개인적으로는 나름대로 이야기의 흐름이 있는 작품을 좋아합니다만, 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들은 어떤 작품을 좋아하시는지 궁금해졌다는 것으로서, 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쳐보는 바입니다.

 

 

TEXT No. 08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