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하하... 이런 걸 뭐라고 해야할까? ^^  

한동안 안보이다가 뒷북처럼 다시 나타난 음반이다.

요즘 클래식음반계는 박스로 과거 거장들의 명연을 재고정리하고 있다. 요즘 한참 열심히 뛰고 있는 현역 연주가들은 그래서 이래저래 힘들다. 과거 쟁쟁한 명연주가들의 녹음들이 다음 달에 출시되는 자기 음반과 경쟁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가격 경쟁력면에서도 그들이 앞서 있으니 말이다.  

재고정리 덤핑과 함께 과거 명연들로 먹고 사는 메이저 클래식음반사들이-그런면에서 음질과 실험정신,레퍼토리면에서의 확장을 도모하는 클래식 마이너 레이블들이 20세기를 건너 살아남고 있는 진정 클래식 음반사가 아닐까 싶을 정도다- 지난 십여년 동안 재미를 본 것은 복각 시리즈다. 복각전문 레이블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제 LP판을 복각음원으로 하는 레이블도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위의 음반- 장 막스 클레망의 바흐 무반주 첼로모음곡-을 내가 마지막으로 본 것은 90년대 말이다.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자리에 가면 저 음반이 있었다. 몇 몇 평가들도 읽었던 기억이 나지만 사실 그다지 눈이 많이 가진 않았다. 이후 저 음반은 절판 되었고 수많은 원전 연주 음반들이 대신 자리를 차지했다. 

그리고 최근 LP를 전문으로 복각하는 일본레이블에서 장 막스 클레망이라는 이름을 다시 바흐 무반주 목록에 복원시켰다. 

 스펙트럼사운드의 왼쪽 음반이다. 그러니까 위의 데카 음반과 스펙트럼 사운드의 음반은 같은 음원이다. 스펙트럼 사운드는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고 풍요로운 음향-물론 기계 구동상의 노이즈가 있긴 하지만-을 품고 있다는 평가다. 가격도 만만치 않다. 

내가 클레망을 들은 것은 이 스펙트럼 음반을 통해서다.10여년 전 그냥 자킷이 차라리 나았는 걸 하면서 멋대가리 없는 스펙트럼 음반을 들었다. 40자평 하듯이 한 두 줄로 말하자면 연주는 요즘 연주자들처럼 매끈하지 않으나 고졸하면서도 개성적이다. 아날로그적 감성이 만드는 새로운 감성의 환기 같은 것. (나는 이 음반을 구매할 때 앙드레 레비의 동곡 음반도 동시에 구매를 했었다. 비슷한 시기에 같은 곡에 이렇게 많은 돈을 쓰다니...) 

스펙트럼의 복각음반이 나름 반향을 일으키자 데카에서 한국판으로 부랴부랴 과거 클레망의 음반을 다시 찍어내기로 결정했나 보다. 이와 유사한 예가 피에르 푸르니에의 바흐 무반주 음반이다. 

 

이 음반도 10여년전에 반짝 나온 적이 있다. 그 때도 이 음반을 살까 말까 고심하다가 그만 두었다. 이유는 당시 열심히 보던 클래식 잡지에서 기존의 푸르니에 DG해석과 큰 차이가 없다는 리뷰를 보았기 때문이다. (교과서는 한 종이면 족하다!) 최근에 나온 푸르니에의 음반도 클레망의 것처럼 로컬버전으로 나온 것인데 뒷이야기를 들어보니 모 클래식 매장에서 지속적으로 요청했다고 한다.( 기본 수요에 대한 확신을 주었겠지.) 

하여간 나는 그냥 DG에서 나온 푸르니에 음반으로 (이건 LP로도 CD로도 가지고 있기때문에) 만족하기로 하고 이 라이브 음원은 앞으로도 접을 셈이다. 

그나저나 이런 과거 명연들의 복각음반이 나올때마다 홍보문구들은 참으로 거창하게쓴다.  

대게의 요지는 희귀성 그리고 일회성이다. "일생일대 최고의 명연" "이번이 아니면 다시 없을...." 나 역시 가끔 속는 셈치고 속는다만 그런 말들에 이명까지 겪을 필요는 없다.^^    

오늘 올리는 연주는 파올로 판돌포...^^ 이것도 내가 가진 거랑 음반 자켓이 다르다. 내건 민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착한자본주의'? 

도대체 '착한' 이란 말과-또한 같은 논리값으로 '악한'이란 말도 마찬가지다- '자본주의'란 말이 결합 가능한 말인가? 이건 내가 생각하기에 명백한 범주의 오류다. 개인이나 기업들이 조금 더 윤리적으로 나아갈 수는 있지만 그것이 '착한'과 '자본주의'를 이어붙일 수 있는 만능접착제가 될 수 있을까?  

장하준의 책에 대한 홍보문구에 '착한 자본주의'란 말이 자꾸 등장해서 그렇다. 물론 이 책은 올 하반기 인문학 베스트가 될 것 같다.(나쁜 일은 아니다) 내 주변에서는 장하준을 읽어보라구 그러면 후천개벽할지도 모른다고 입방정을 떠는 사람들이 꽤나 많이 나올 듯 하다. 1년에 인문학 서적이라고는 한두권쯤읽는 사람들이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위아래로 펴넘기며 " 이 책 꼭 읽어보세요. 정말 정말 훌륭한 책이에요." 라고 하는 경험을 지금까지 몇 번을 했다.  나는 그 때 마다  "그래. 재미있던가요?" 라고 말하고 말았다. 호들갑이 싫어서. 올 하반기에도 아마 이와 유사한 경험이 몇 번 더 있을 것 같은 예감이다. 이렇게 말들하겠지.

"장하준 보셨어요. 보셔야해요. 정말 훌륭하고 쉽거든요. 정말 이 사람을 대통령시키던가 아니면 장관이라도 시켜야 대한민국이 잘돼는데..." 

뭐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깥 일이 있어 회사를 나갔다가 조금 일찍 퇴근해 버렸다.  집 근처 서점에 들렀다. 인터넷으로 본 책들도 넘겨보고, 또 우연히 눈에 걸린 책들도 넘겨봤다. 

두 권의 시집을 사들고 왔다.   하나는 짙은 감빛이고 또 다른 하나는 모과빛이다. 

최영미시인이 고른 <내가 사랑하는 시>이다. 외국시집은 강한 전류가 한순간 이라도 흐르지 않으면 잘 사보게 되질 않는다. 국내에도 잘 알려진 몇 몇 유명한 시인들 외에는 사실 외국시인들에 대한 정보도 많질 않다. 

내가 가장 최근에 산 외국 시집은 스웨덴 토머스 트란스트뢰메르 시선집인 <기억이 나를 본다>이다. 출판사 '들녘'에서 나오는 외국시선집 시리즈 중 하나인데 곧 다른 시집도 살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대가 되는 시리즈 중 하나인 셈이다. 

서점에서 <내가 사랑하는 시>를 뒤적이다가 두 눈에 콱 박힌 시가 있었다. 그래서 망설임이지도 않았다.  D.H로렌스의 <자기 연민>이란 시다.. 

 

결코 야생의 것들이
자신에게 미안해하는 것 보지 못했다.
작은 새는 가지에서 얼어죽어 떨어질 것이다
자신에게 미안하다는 생각 추호도 하지 않으며 

모과빛 시집은 아직 알라딘에 없다.  

내가 즐찾해 놓은 박남준 시인의 블로그에서 사진을 가져왔다. 이번 주 월요일에 나온 시집이니 아직 따뜻하다. 

 
    <그 아저씨네 간이휴게실 아래 그 여자의 반짝이는 옷가게>

“하동에서 구례사이 어진 강물 휘도는 길 / 비바람 눈보라치면 공치는 날이다 / 집도 없고 포장마차도 없는 간이휴게실이 있지 / 고물 트럭을 개조해 만든 / 국수와 라면, 맥주와 소주와 음료수와 달걀과 커피 등등 / 전망 좋고 목 괜찮아 오가는 사람들 주머니가 / 표 나지 않고 기분 좋게 가벼워지는 동안 / 눈덩이 같던 빚도 갚고 그럭저럭 풀칠도 하는데 / 빌어먹을 / 그 아저씨의 그 여자는 암에 덜컥 발목을 잡혔다 // 소원이 있었댄다 꿈 말이지 웃지 말아요 정말이라고요 / 반짝이는 옷을 입고 밤무대에 서는 가수 / 항암치료 후유증으로 깊이 모자를 눌러 쓴 그 여자는 / 아저씨를 졸라 간이휴게소 아래 / 얼기설기 비닐하우스를 지었다 / 선풍기도 난로도 아니 전등도 하나 없는 / 간판도 없는 두어 평 비닐하우스 무허가 옷가게 / 어려서나 더 젊어서 한번도 입어보지 못했던 / 반짝이는 반짝이 옷, / 너울너울 인형 같은 공주 옷을 파는 그 여자의 옷가게 / 그녀에게서 사온 옷을 안고 잠을 청하면 / 푸른 섬진강물이 은빛 모래톱 찰랑찰랑 간지르는 소리 / 동화 속 공주가 나타나는 꿈 / 알만한 사람은 다 알지 / 구례에서 하동사이 길에서는 보이지 않는 반짝이는 옷가게 / 그녀가 웃고 있다 서비스 커피도 한잔 준다” 
 

책 뒤에 '시인 박남준 연대기' 가 있는데 한껏 웃었다. 입 싼 안도현 덕분에 입에 풀칠한 사연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 사람들에게 진실로 필요한 성찰은  '-인 척 하기의 용이함' 과 '-되기의 어려움' 이라는 곤란 속에서 전자와 쉽게 악수하고 마음을 풀어놓지 않는 것이다. 김영민 선생이 말하는 '인이불발'의 인문학적 긴장은 그렇게 작동해야 하는 것이다.  

요사가 판탈레온을 통해 한 비유중에 그런게 있더라. "닫힌 입으로는 파리가 들어오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투브엔 재밌는게 많다. 

음악을 눈으로 보는것. 마치 무슨 게임기 같기도 하다.그런데 집중해서 듣게 된다.&#160;

좀 더 친숙한 음악이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