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리 편지 창비아동문고 229
배유안 지음, 홍선주 그림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라의 글이 중국과 달라서 어리석은 백성이 자신의 뜻을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자를 만드니..." 훈민정음 창제시기를 배경으로 한글의 우수성과  필요성을 잘 설명한 책이다. 실재 일어나지 않은 이야기지만 초정리 약수와 세종과의 관련성을 통해 '훈민정음'이 글씨와 지식이 필요한 민초들에게 이렇게 전해지고 도움을 줬을거라는 이야기를 잘 묘사했다.

진서(眞書)인 한자로 충분하기에 다른 문자가 필요치 않다고 새글씨의 반포를 반대하는 양반들에 비해 여기서 한글을 배우는 이들은 신분으로나 직업으로 글씨를 배우기 힘들지만 그 필요성은 더 큰 민초들이다. 나뭇꾼에서 석수쟁이가 되는 장운이, 양반집 종살이간 그의 누나 덕이, 농사일 하는 고아 오복이, 양반이지만 여자라 글을 배우기 힘들었던 윤초시댁 마님, 그외의 석수쟁이들이 다들 그렇다.자신의 업(業)을 좀 더 잘하기 위해 멀리 떠난 가족들에게 힘들게 연락을 주고 받기위해 문자를 사용하는 그들의 모습에서 조금 더 아는 글씨로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고 글모르는 이들에게 사기치는 조금 더 배운 이들의 오만도 욕심도 보이지 않는다.

흙바닥 훈장으로까지 불린 장운이가 자신이 배운 글씨로, 임금과의 인연으로 신분의 상승이나 부귀영화를 얻지 않고 석수장이로서 좀 더 성장한 결말이 더 보기 좋았던 것은 무슨 이유였을까? 그가 만든 연꽃처럼 더러운 물 속에서도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사람이 되었기 때문일까?

일제시대 한글을 연구하던 일들이 독립운동이 되고 구텐베르크가 가장 먼저 활자로 찍은 책이 성경이었다는 점도 문자가 글씨가 차지하는 영향을 다시 한번 생각케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