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리뷰 2006-07-14 10:39]
얼굴도 예쁘고, 공부도 잘하고, 집안도 좋고, 능력도 탁월한 데다 남자친구까지 노블레스인 여자는 여자들 사이에서 부러움의 대상이자 질시의 대상으로 꼽힌다. 어느 것 하나 갖추기 힘든데 다 갖추고 있으니 자조석인 어조로 하나님은 참으로 불공평하다를 뛰어 넘어 재수 없는 여자라고도 칭한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여자들은 그런 것들을 원한다. 특히 미모는 가장 갖고 싶은 조건이다. 백설공주·신데렐라·콩쥐 등 동화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미모 하나만 가지고 성공한 경우가 많아 여자들은 미모에 집착할 수밖에 없다. 미모 하나면 부와 명성, 덤으로 잘생긴 왕자님을 가지게 된다는 스토리의 수많은 소설과 영화·만화의 주인공을 어린 시절부터 보고 자랐기 때문에 여자들의 잠재 의식 속에 항상 미모에 대한 동경이 있어서다.
그래서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가장 예쁘니?’ ‘바로 거울의 주인이십니다’하는 말은 여자들이 이 세상에서 가장 듣기 좋아하는 말이다.
그렇지만 여자들은 미모가 뛰어난 여자들을 보면 흉을 보는 것으로 만족하지만 남자들은 미모가 뛰어난 여자들을 보면 소유욕이 발동한다. 특히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일수록 미모의 여성을 더욱 더 소유하고 싶어 하고 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기를 원한다. 남자들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소유하고자 하지만 때로는 미모의 여성이 거부할 때도 있다. 미모가 뛰어난 여자들에게 그것은 축복인 동시에 재앙으로 다가온다. 질투에 눈이 먼 남자는 소유하지 못하면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너무 예뻐 영혼을 얻은 조각상
에드워드 번 존스의 <피그말리온과 조각상-영혼을 얻다>
남자들은 미모의 여성과 아무런 상관이 없으면서도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아름다운 여성과 함께 있었으면 한다. 그래서 미모가 뛰어난 여자들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항상 특별한 대우를 받는다. 특히 조각처럼 아름다운 여자는 잘못을 해도 금방 용서가 되고 못생긴 여자의 잘못은 큰 죄악이 된다.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키프러스 섬에 사는 조각가다. 그는 섬에 사는 여인들의 타락한 모습을 보고 여자를 싫어하게 된다. 피그말리온은 어떤 여자에게도 마음을 주지 않고 자신의 재능을 이용해 상아로 여인을 조각하게 된다. 피그말리온은 조각상에게 갈라테아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이 완벽한 여인 조각상과 사랑에 빠진다. 곁에 있는 연인을 대하듯 그는 온갖 정성을 다해 갈라테아를 돌보지만 만족할 수 없었다. 그녀에게 여인의 향기를 느끼고 싶었던 피그말리온은 갈라테아를 살아있는 여인으로 만들어달라고 신께 간절히 기도하게 된다.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피그말리온의 기도에 감명을 받아 그의 소원을 들어 갈라테아에게 생명을 불어넣는다.
에드워드 번 존스(1833~1898)의 <피그말리온과 조각상-영혼을 얻다>라는 작품은 피그말리온이 신의 도움으로 생명을 얻은 갈라테아와 현실 속의 만남을 표현한 것이다. 번 존스는 피그말리온과 조각상을 4개의 시리즈로 제작한다. 이 작품은 그 중 4번째 작품이다.
피그말리온의 재능을 동경한 그는 이 작품 시리즈에 특별한 애정을 쏟아부었다. 번 존스는 4번째 작품 <영혼을 얻다>의 모델로 자신이 가장 사랑했던 여인인 짐바코를 모델로 했다. 그러나 유부남이었던 번 존스는 결코 사랑하는 여인과 결혼할 수는 없었다.
너무 예뻐 법정에 선 여자
장 레옹 제롬의 <배심원들 앞의 프리네>
‘세상에 이런 남자 꼭 있다’의 대표적인 인물이 자신의 능력은 생각하지 않고 미모의 여성만 보면 자기 것인 양 행사하려고 하는 남자다. 그런 남자들은 자신의 능력으로 소유하지 못할 때에는 꼭 음모를 꾸며 미모의 여성을 곤경에 빠뜨리곤 한다. 못 먹는 감 찔러 본다는 심보다.
장 레옹 제롬(1824~1904)의 <배심원들 앞의 프리네>라는 작품 속의 프리네는 기원전 4세기께 아테네 시대의 ‘헤타이리’라는 창부보다 조금 나은 직업의 여성이다. 아테네 시대의 여자들은 결혼을 하면 사람들 앞에 나설 수 없었고 안주인의 역할을 해주는 사람이 필요했다. 그녀들이 헤타이리였는데 첫 번째 조건은 뛰어난 미모와 탁월한 몸매가 뒷받침되어야만 했다. 하지만 그녀들은 술자리에서 지켜야 할 예법과 교양 그리고 남자 손님들을 위해 성 테크닉도 뛰어나야 했다고 한다.
프리네는 그 당시 아테네 남자들의 동경 대상일 뿐만 아니라 프락시텔레스의 조각상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의 모델이 될 정도로 미모가 뛰어났었다. 하지만 그녀는 돈과 권력을 가진 남자라고 해도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절대로 사랑에 빠지지 않는 성격의 소유자였고 그 성격은 결국 화를 부르고 만다. 그녀에게 마음을 빼앗겼지만 결코 그녀를 소유할 수 없었던 에우티아스는 프리네에게 신성모독죄라는 누명을 씌우게 된다. 신성모독죄는 사형에 해당되는 죄이기 때문에 에우티아스는 소유할 수 없지만 자신이 죽일 수 없는 프리네를 남의 힘을 빌려 죽음에 처하게 하는 것으로 복수와 더불어 자신의 애욕을 끊어버리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
프리네의 정부였던 히페레이데스는 변호를 맡아 배심원들에게 ‘신에게 자신의 모습을 빌려 줄 정도로 아름다운 그녀를 죽일 수 있겠는가?’하면서 배심원들에게 그녀의 아름다운 몸매를 보여주게 된다. 배심원들은 그녀의 아름다운 몸매를 보고 ‘신의 의지로 만들어 낸 완벽한 몸매이기 때문에 인간이 만든 법으로 그녀를 벌할 수 없다’고 판결을 내려 프리네는 목숨을 건지게 된다.
장 레옹 제롬는 이 극적인 장면을 <배심원들 앞의 프리네>로 묘사했다. 이 작품에서 히페레이데스에게 옷을 벗긴 채 서 있는 프리네는 부끄러워 얼굴을 가리고 있다. 화면 왼쪽 끝에는 고발자 에우티아스가 있는데 그의 얼굴을 프리네의 옷으로 히페레이데스는 가려버린다. 그에게 프리네의 몸매를 볼 가치를 주지 않겠다는 것이다. 붉은 옷을 입은 배심원들은 그녀를 보기 위해 목을 빼들고 있는데 그것은 관찰자이면서도 동시에 그녀의 무죄를 증명하는 증인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원래 이 이야기에서 프리네는 가슴만 보여주었다고 한다. 하지만 제롬은 이 이야기에서 프리네의 얼굴을 가리면서 몸매가 더 드러나도록 확대시켜 표현했다.
화가 박희숙
동덕여대 미술학부를 졸업하고 성신여대 조형대학원을 졸업한 후 7회의 개인전을 연 화가다. 2004년에는 《그림은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를 출간하면서 작가로도 명성을 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