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블로그 - 역사와의 새로운 접속 21세기에 조선을 블로깅하다
문명식 외 지음, 노대환 감수 / 생각과느낌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10년쯤 전 역사신문이라는 책이 출간됐었다. 우리나라 역사를 신문기사라는 형식을 이용해서 친근감있게 소개하고 역사를 재미있게 접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6권인가 시리즈로 타블로이드판형이라 정말 신문을 들여다 보는 느낌이 들었다.

이제 인쇄매체에서 인터넷으로 문화가 확장되니 블로그와 까페의 형식으로 우리의 역사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식은 무릎을 칠만 했다. 누가 감히 이성계, 이방원, 세종대왕, 이순신장군의 이름으로 블로그를 만들고 댓글을 달 생각을 했을까? 조선의 개국부터 정조연간의 중흥기까지 제법 긴 시간을 새로운 형식으로 접할 수 있었다.

다만 내가 나이를 먹어서 그런지 블로그나 까페형식의 역사 설명이 너무 가볍고 주제를 강하게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느낌이다. 개국을 통한 과정에서 건국과 중흥의 주체가 되는 사림의 역할, 임진왜란 등 전란의 과정에서 이순신, 광해군 등과 의병들의 활동, 실학파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세상을 향한 움직임과 계몽군주 정조, 민화와 각종 방면에서 민초들의 모습이 부상하는 모습들을 통해서 조선역사의 큰 줄기들을 잡아가는 모습이지만 자신의 역할을 개론서에 맞춰 그런 것인지 사림/훈구의 투쟁이나 임진란 당시의 당쟁의 모습이 지나치게 평면적이고 가볍게 다뤄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거기에 조선 후기 미술의 흐름에서 본좌논쟁의 댓글놀이가 주렁주렁 달리는 부분에 있어서는 새롭고 창조적인 풍속화에 대한 흐름을 과거의 미술사조와 어떻게 왜 달라지는가 하는 고민보다는 가벼운 풍속화이야기니 이렇게 가볍게 다뤄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저자들이 가지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불안감도 주었다. 차라리 임란전 통신사들의 이야기 같은 꼭지를 만들어 당쟁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는 방식의 댓글들이라면 어땠을까 하는 괜한 상상도 해본다.

역사를 배우고 역사책을 읽는 이유는 과거 조상들의 행적을 통해 우리에게 주어지는 현실을 어떻게 판단하고 우리의 행위에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무엇을 선택할지 근거로 삼는 부분이 있다. 그런 점에서 개개의 역사에 대한 나열보다는 조금은 깊이 있는 심층 탐구가 필요하지 않았을까? 블로그들은 가볍고 재미있는 역사를 보여주더라도 까페는 깊이 있는 고민들을 던져주는 방식을 취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