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투쟁 - 조선의 왕, 그 고독한 정치투쟁의 권력자
함규진 지음 / 페이퍼로드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책의 제목을 보곤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 왕의 투쟁이라니? 조선과 같은 절대군주시대에 왕이 누구와 무엇을 투쟁한단 말인가? 외세의 침략은 있었어도 고구려와 같은 정벌도 없었던 조선에서 왕권과 신권의 암투는 있었어도 조선의 많은 왕들의 죽음이 암살설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하더라도 투쟁이란 단어를 붙일 정도였을까 하는 의문과 궁금증이 들었다.

이책에서는 4명의 왕을 비교하고 있다. 모든 이들이 역사상 최고의 성군이라고 일컫는 세종과 조선후기 계몽군주이자 개혁군주인 정조, 그리고 폭군으로 오명을 남기고 있는 연산군과 광해군이다. 정치적으로 분류하자면 국가의 기틀을 세운 임금 세종과 왕권이 최고조의 위력을 발휘하던 시기의 연산군, 왕권이 바닥에 떨어지던 시기의 광해군, 마지막으로 왕권을 높였던 정조의 국가경영 스타일을 소개하고 있다.

그들의 투쟁의 대상은 외세도 아니고 민중도 아니었다. 사대부의 나라 조선이라는 이름처럼 신권을 통한, 왕권과 신권의 견제 속에서 도학정치를 꿈꿨던 선비들과 왕권중심의 사회를 꿈꿨던 왕들간의 피바람이 부는 투쟁이었다. 신하들은 각각의 붕당들의 정치이념에 따라 자신들의 정치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왕을 이용해 다른 붕당을 공격하기도 하고 왕이 가는 길이 자신들과 다를 경우 왕권에 대한 도전(반정)도 서슴지 않은 세력들이었다.

어찌보면 세종시절에는 그러한 사대부들이 붕당을 이루지 않았고 현실 참여를 위한 명분을 얻고 싶은 시기여서 세종이 뜻한 바 정책을 다 이룰 수 있지 않았나 하는 상상도 해본다. 연산군은 사림이라는 유학자들이 정권을 잡을만큼은 못되더라도 훈구파와 경쟁을 할 수 있을 만큼 성장하는 시기였고 광해군은 사색당파가 비슷한 힘과 세력으로 주도권을 다투는 시기였으며 정조시절은 노론을 중심으로 모든 당파의 세력이 기우는 시기라 작가가 왕의 통치 스타일로 왕들의 공과를 평가했지만 상대편인 신권의 권력투쟁을 중심으로도 그시기들을 평가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차피 왕의 권력 투쟁의 대상이 신권을 부르짖는 신하(사대부)들이었다면 그들과의 역관계와 상관관계도 깊이 있게 살펴보았다면 좀더 내용이 풍성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최근 대선과 새로운 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왕을 소재로 하는 서적이나 영화 드라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책에서도 현직 대통령의 언행과 네왕들의 언행을 간접적으로 비교하고 있다. 왕이 다스리는 군주제와 현대의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대통령의 권한과 권력은 차이가 있겠지만 그들이 리더쉽을 보여주고 정책의 방향을 잡는 것이 민초들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서 권력자가 어떠한 비젼과 목표를 가지고 국정을 운영하는가는 몹시도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조선조의 성군이나 폭군이나 그들의 관심과 사고의 범위가 왕가와 선비로 대표되는 양반들과의 권력 투쟁과 분점이었지만 현대 사회는 민초들의 삶이 우선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권력자들이 바라보는 시야는 아직도 과거의 틀과 폭에서 넓어지지 못한 느낌이다.

훗날 역사가 지금의 대통령들을 조선의 네명의 왕처럼 비교했을 때 누가 어느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지 역사에 대한 두려움과 권력이 진정 왕과 지배계급의 전유물에서 사회의 공유물로 발전해 나간다는 것을 느낀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모습으로 정책과 정치를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