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손잡이 - 왼손잡이는 예술에 뛰어난가 ㅣ 고정관념 Q 6
마리 알리스 뒤 파스키에 그랄 지음, 한정석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왼손잡이라면 경상도에선 "짝빼기"라고 불렀었다. 뭔가 남들과는 다르다는 이야기다. 우리 주변에선 아이들이 왼손을 쓰면 오른손 쓰는 걸 억지로 가르치는 모습을 간혹 보곤한다. 오른손, 바른손이라는 표현처럼 오른손잡이는 정상적이고 왼손잡이는 그렇지 못한 어감을 준다.
요즘은 예전보다는 왼손잡이들에게 많이 너그러워진 것 같다. 다빈치 같은 유명한 왼손잡이 예술가들은 둘째로 치더라도 각종 스포츠에서-특히 야구에서- 왼손잡이들의 활약이 눈부시다. 이승엽같은 경우나 배구에서 요즘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라이트 공격수들은 대부분 왼손잡이다.
하지만 왼손잡이들의 글씨쓰기나 행동들은 뭔가 어색한 느낌을 준다. <록키> 첫편에서도 왼손잡이 록키의 표현은 왼손잡이 복서는 오른손잡이 상대와 경기할 때 뭔가가 어색해서 돈이 안된다는 투의 대사를 한 적이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주류가 오른손잡이들이고 방의 문고리나 냉장고 등의 손잡이들도 다 오른손잡이 중심으로 만들어져 정상적(?)인 왼손잡이들이 뭔가 모자란 듯한 모습으로 비춰지게 된다.
왼손잡이들을 예술적인 감각이 뛰어난 사람으로 보는 것이나 뭔가 비틀리고 정상적이지 못하다고 보는 시선 둘다 선입견이고 고정관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냥 우리의 신체를 대칭적으로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현실에서 자신이 편한 부분을 쓰게되다 보니 오른손잡이도 나오고 왼손잡이도 나오는게 아닐까?
우리집 작은 아이도 왼손으로 글씨를 쓰는데 글씨를 쓰는 방식이 오른손잡이들에게 유리하게돼 있다보니, 글씨 쓰는 법을 도와주는 부모가 둘다 오른손잡이다 보니 제대로 가르쳐 주지 못하고 있었는데 종이의 오른쪽을 기울여 쓰도록 가르치는 방법은 좋은 팁이 될 것 같다. 아무 것도 아닌 차이로 인해 어린시절부터 불편함을 강요받는 왼손잡이 아이들과 그부모들에게 한번쯤은 권해볼만한 책이다.
우리가 만들어 놓은 고정관념을 한번쯤 이렇게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