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에게 보내는 편지
대니얼 고틀립 지음, 이문재.김명희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10여년 전쯤 <마이라이프>란 영화를 봤던 기억이 있다. 한참 이영화저영화 많이 볼때라 정확히 내용을 기억하긴 힘들지만 시한부 생명을 선고받은 한 남자가 아내의 뱃속에 있는 아이에게 아빠의 역할을 하기 위해 자신의 모습과 아빠로서 아들에게 가르쳐 줄 것들을-면도하는 방식까지도- 비디오에 담는 모습을 봤었다.

이책에서는 자폐가 있는 샘에게 삶의 방식과 자세를 편지로 일깨워 주는 이가 아버지가 아니라 외할아버지라는 점이 눈에 띈다. 더구나 그할아버지가 젊은 시절 교통사고를 당해 몸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인 점이 뭔가를 생각케 해 준다. 잘나가는 의사였지만 불의의 사고를 당해 몸이 불편하며 겪게되는 고통과 좌절을 경험했던 할아버지가 마음을 다친 손자에게 자신이 온전한 하나의 인격을 가진 존재임을 일깨워 주고 자신의 힘으로 세상을 굳건히 살아갈 수 있도록 격려를 보낸다.

샘이 태어나서부터 자라면서 할아버지의 손자사랑의 편지는 계속되지만 왠지 절절함은 느껴지지 않는다. 미국인이라는 데서 생활과 사고방식에서 우리랑 차이가 있어서인지 <지선아 사랑해>를 읽으며 마음을 뭉클하게 했던 그런 애절함은 없이 담담하게 읽을 수 있었다. 영혼을 울리지는 않았지만 인생의 지혜에는 공감할 부분들이 많았다.

많은 이들이 이책을 읽고 샘이 용기를 내 훌륭하게 커줬으면 하고 바랄 것이다. 그러면서 우리 주변의 샘에게도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말아톤>을 보고 자폐아와 그의 어머니가 겪는 세상의 편견을 비판하고 몸과 마음이 다친 이들이 영혼까지 다친건 아니라고 공감하면서도 생활 속에서 우리의 모습은 얼마나 생각처럼 움직이고 있을까?

언젠가 광화문 네거리에서 이동권의 보장을 요구하는 장애우들을 그냥 무심코 지나친 나처럼 이렇게 책에서 받은 감흥을 생활에선 잊고 살아가는 이들이 없었으면 한다. 샘과 같은 아이들이 세상과 소통하기를 바라는 할아버지의 마음이 애절하듯이 우리 주변의 샘도 우리와 아무 꺼리낌 없이 소통할 수 있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