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사 1
한승원 지음 / 열림원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금시조(金翅鳥)는 팔부중의 하나. 불경에 나오는 상상의 큰 새로, 매와 비슷한 머리에는 여의주가 박혀 있으며 금빛 날개가 있는 몸은 사람을 닮고 불을 뿜는 입으로 용을 잡아먹는 새(NAVER 국어사전)라고 한다. 예전 이문열은 <금시조>에서 고죽이란 한 인물을 통해 진정한 예술의 완성을 금시조를 보는 것이라 했다.
한승원이 그린 추사의 일생도 끊임없이 금시조가 나타나 용을 잡아먹기를 기다리고 있다. 다만 추사가 단지 추사체로 이름난 명필에 <세한도>로 알려진 문인화가이고 북한산의 진흥왕순수비를 찾아낸 금석학의 대가로서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홍대용, 박지원 등에게서 이어진 북학(北學)의 명맥을 이어온 실사구시(實事求是)와 이용후생(利用厚生)을 실학자로서의 모습도 보여준다.
시서화 삼절에 경학까지 두루 밝은 그가 북경에서 선진을 문물을 접하고 그곳의 학자들과 친분을 쌓고 영조의 사위인 월성위의 종순으로서 승승장구하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량을 나라와 백성을 위해 쏟아붓는 모습과 안동김씨의 세도에 밀려 제주도 9년, 북청 2년의 유배생활을 겪는 부침 속에서 권력과 인생의 덧없음을 깨우쳐 가며 곤궁한 살림에 자식들의 살림을 위해 글을 팔고 그림을 팔다 진정 예술과 철학을 담아 자신의 예술적 경지를 꽃피우고 어려운 나라를 구원해 줄 금시조를 기다리고 천지만물의 근원인 태허(太虛)에 매달리며 마지막 인생의 업보들을 정리하는 모습에서 진정한 학자의, 예술가로서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모든 것들을 태우는 금시조-가루다-처럼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모든 것들을 부정하고 새로운 세상으로 발을 내디딜 용기가 부러웠다. 원래 가진 것이 많으며 애착이 많고 잃은 것이 많으면 미련이 많기 마련인데 그러한 것들을 모두 부정하고 말년에 자신이 그토록 비판하던 이광사의 동국진체와 해붕과 벽파의 선과도 화해하며 인생의 덧없음, 실없음을 깨닫는 모습에서 우리의 삶도 결국은 화해와 이해의 방향으로 가야하는 게 아닌가 생각된다. 젊은 시절 눈에 보이지 않는 말과 이념으로 상처주기를 일삼다가 그것들이 커다란 세상에서 유유히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부질없는 몸부림임을 자신을 부정하는 과정 속에서 진정 세상의 원리를 배울 수 있음을 느끼게 해 준다.
<교보문고리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