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천체관측 떠나요! - 아이들과 함께 떠나는 천문 우주 여행
조상호 지음 / 가람기획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 적 여름이면 마당에 놓인 평상에서 밤하늘을 보며 잠이 들곤 했었다. 밤하늘에는 책에서 읽었던 별자리들이 실제로 얼굴을 내밀고 있거나 계절이 맞지 않아 볼 수 없는 별자리들이 있어 아쉬움을 남기곤 했었다. 대학 2학년 여름방학 MT를 지리산으로 갔는데 뱀사골 산장에서 봤었던 하루의 무수한 별들은 잊을 수 없다.

오랜 옛날 농경중심사회였던 동양에서는 별을 관측하며 길흉화복을 점치고 생활의 기준으로 삼았고, 건우와 직녀, 북두칠성에 대한 전설 등 후대에게 물려주는 문화의 소재가 되었다. 서양에서는 그리스 로마신화로 대표되는 전설이 오리온, 안드로메다, 카시오페아, 큰곰자리, 작은곰자리 등 별자리들에 묻어서 전해진다.

갈릴레오의 망원경이나 허블의 이론 등 과학의 발전이 천문학의 발전과 동일되던 시기도 있었고 미국의 NASA를 비롯한 각국의 우주개발이 진행되고 인류가 달에도 갔다오고 무인 우주선은 태양계 행성을 관측하고 있다. 그리고 내년쯤에는 우리나라도 우주정거장에 우주인을 보내게 된다.

하지만 요즘은 도심의 휘황찬란한 불빛에 가려 별을 찾기도 쉽지 않다. 옛날엔 드라마에서 공부 잘 하는 아이의 방에 하나쯤 있던 천체망원경도 컴퓨터로 대체되고 천문관련 학과는 별볼일 없는 학문이 돼 가는 실정이다.

이책의 주인공 호성-이름조차도 好星 별을 좋아한다는 뜻이다.-이와 은하(銀河)가 커서 훌륭한 천문학자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별을 좋아하고 천체관측을 통해 자신들의 지식을 넓혀 나가는 모습은 보기가 좋았다. 중고등학교 과학이나 지구과학 시간에 잠시잠시 들었던 시험을 위한 지식이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별을 통해서 과학에 대한 지식을 풍성하게 하는 방식이 재미를 통해 책을 읽는 아이들이 우주와 과학에 쉽게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배려된 느낌이다.

우리집 아이들이 조금 더 크면 천체망원경을 하나 사줘야 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