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비실록 - 숨겨진 절반의 역사
신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조선의 역사는 시기적으로 다른 시기보다 가깝고 실록 등의 정사(正史)자료가 풍부해 문학이나 영화, 드라마 등을 통해 많이 접할 수 있어서 낯 익은 편이지만 왕비들의 모습은 그렇지 않았다.
어릴적 <왕비열전>이라는 이름의 책을 통해 조선 궁중의 역사를 접한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작품이나 내용들이 궁중암투 속에서 희생되는 가련한 여인이나 악랄한 심성을 가진 악녀의 이미지만 생산할 뿐 그녀들이 국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역사에 가려진 그녀들의 역할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국모라고 불렸던 이들에 대한 이미지와 관심도 이정돈데 세간의 평범한 집안의 여인들을 바라보는 시각들은 오죽했고 그녀들에게 요구하는 사회적 기대도 삼종지도를 벗어나지 못했던게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겠다.
연산군이 폭군이 된 것도 그의 할머니 인수대비와 자신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갈등으로 윤씨가 죽었던 점에 비추었을 때 왕비들이 직접적이던 간접적이던 역사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것이다. 베갯머리 송사의 주인공이나 국정에 간섭해서 나라의 기강을 흐트려뜨렸다는 류의 비판은 일견 가부장제의 전통 속에서 여성의 사회참여를 부정적으로 바라본 당시 사대부들의 시셈어린 시선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신라시대까지만 해도 가능했던 여왕의 위치가 이후에 이어지지 못한 것은 한편으론 아쉽다. 그런 점에서 이렇게 조선의 왕비 일곱분을 중심으로 역사와 여성의 사회활동이 미미하고 그기록이 부족한 상황에서 왕비들을 재조명한 것은 의미를 가진다 할 것이다.
다만 실록이란 이름에 걸맞게 좀 더 많은 왕비가 소개되지 못한 점이 아쉽고 역사의 큰 흐름에 발맞추다보니 조선초기에 많이 편중돼 있는 점이 아쉽다.
개인적으로는 중종반정의 소용돌이에서 버림을 받은 단경왕후 신씨, 소현세자를 통해 조선 중기를 돌이켜 볼 수 있는 민회빈 강씨도 포함되었다면 더 좋았을 걸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