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용주 - 그와 박정희의 시대
안경환 지음 / 까치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19년 파리만국평화회의에 조선 대표로 참석한 김규식이 프랑스어를 몰라 조선의 국가 이익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는 말을 듣고 대학에서 불문학을 전공하기로 결심한 황용주(1918-2001). 그는 하나뿐인 딸 이름도 '란서'라 지었다.

부산일보 편집국장 겸 사장을 지내면서 놀라운 필력으로 부산일보 발행부수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렸다. 당시 동아일보 편집국장이 30만원 월금 받을 때 황용주는 50만원을 받고 스카우트 되었다. ...(경쟁지인 국제신보의 편집국장이 이병주였다. 이병주 역시 불문과 출신.)

3.15 부정선거 이후 마산 앞바다에 떠오른 김주열 군의 시산을 최초로 사진 보도함으로써 사실상 4.19를 이끌어낸 장본인이기도 한 황용주. 청룡영화상보다 2년 빨리 부일영화상을 제정할 정도로 문화, 예술면에서도 탁월한 감각을 보여준 그는 부산의 문화적 독자성을 끌어올리는데도 기여했다.

황용주는 박정희와 대구사범 입학동기였지만 좌익 독서회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졸업을 못하고 2학년 때 퇴학 조치되었다. 그 때 독서회 회장이 조좌호. 그 후 조좌호는 도쿄제국대학 사학과로, 황용주는 와세다대학 불문과로 진학하고...조좌호는 중국사학자로서 훗날 성균관대 총장을 지내고...(대학 시절 조좌호 교수의 <동양사 대관>으로 중국사 읽던 기억이 새록새록...)

5.16 이후 박정희와 무시로 독대를 할 수 있는 황용주를 경계한 박정희 측근 소장 세력에 의해 필화 사건에 얽혀 감옥 행. 감옥에서 나온 후 경제적으로도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신산한 노년을 지냈다. 황용주의 인생은 40 전후에 절정을 달리다 그 후론 계속해서 내리막길이다.

딸 '란서'는 이대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한 후 이름처럼 '불란서'로 유학. 유학한지 몇 년 후 프랑스 남자에게 청혼을 받았고 아버지에게 결혼을 허락 받았다. 란서는 아들 둘을 낳았다.

그런데 10여년이 지난 후 갑자기 아버지를 찾아왔다. "그이와 성격 차이로로 살 수 없어요. 이혼할래요..." 대학 2학년때 아빠와 아래 사진을 찍었다. 딸바보 필이 팍팍 난다. 황용주가 죽은 후 란서는 어머니를 파리로 모셔가 함께 살고 있다. 어머니 나이는 올해 92세.

저자는 노무현 정부 시절 인권위원장을 지낸 안경환 교수다. 진보 학자가 우익 인사의 전기를 썼다. 황용주, 안경환 두 사람 모두 경남 밀양 출신이다. 둘 사이에도 기묘한 인연이 얽혀있다. 궁금하면 일독하시라!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 미제라블 세트 - 전10권 (한글판 + 영문판) 더클래식 세계문학 컬렉션 (한글판 + 영문판)
빅토르 위고 지음, 베스트트랜스 옮김 / 더클래식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지나치게 싼데는 다 이유가 있다.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3/01/24/10108638.html?cloc=olink|article|defaul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웅숭배론 / 의상철학 동서문화사 월드북 101
토머스 칼라일 지음, 박지은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번역자가 수년간 공력을 들여 번역해놓으면 눈 하나 까딱않고 해설까지 베껴서 헐값에 출판하는 허접한 관행이 이 나라 출판시장을 말아먹는구나. 자존심 없는 장사꾼!부끄럽지 않은가? 별 하나도 아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치와 이발사
에트가 힐젠라트 지음, 배수아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독일인 막스 슐츠는 유대인 이발사의 아들 이치히 핀켈슈타인와 한동네에 사는 절친이다. 둘은 늘 붙어다니며 이치히 아버지가 운영하는 이발소에서 이발 기술을 배운다. 요컨대 두 사람은 불알친구였단 말씀.

-그러던 어느날 히틀러가 집권하자, 막스는 SS 부대에 들어가 수많은 유대인을 학살하고, 심지어 이치히와 그 가족들을 죽이는데도 가담한다. 전쟁이 끝나고 쫓기는 몸이 된 막스. 그는 살아남기 위해 절친이었던 유대인 이치히 핀켈슈타인으로 살아가기로 결심한다. 팔뚝에 수용소 번호를 문신하고 할례까지 받아 완벽하게 유대인으로 변신한 그는 (아이러니하게도 그는 전형적인 유대인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 건국초기의 이스라엘에 건너가 조국 건설에 혁혁한 공을 세우며 유대인들 사이에서 '영웅'으로 존경을 받는다.

-<마르탱 게르의 귀향>에서 주인공 마르탱은 가짜 신분이 탄로나서 교수형으로 생을 마감한다. 이에 반해 <나치와 이발사>의 주인공은 완벽한 변신에 성공한다. 물론 전자는 논픽션이고 후자는 픽션(블랙 코미디)이다.

-이 소설은 1971년 미국에서 출간되고, 이어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에서도 큰 성공을 거뒀지만, 정작 작가의 조국인 독일에선 60여 곳이 넘는 출판사에서 거절을 당하다가 (출판시장에서의 대박 성공이 보장된 책이었음에도) 1977년에 이르러서야 독일어로 출간되었다.홀로코스트 희생자 유대인에 대한 문학적 풍자(그것도 가해자 시점!)를 용납하지 않던 당시 독일의 경직된 사회 분위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책은 독일이 홀로코스트 컴플렉스에서 빠져나오는 (또는 홀로코스트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된) 신호탄으로 봐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원한 국모 마리아 테레지아 나남신서 1441
오영옥 지음 / 나남출판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1736년에 프란츠 슈테판과 결혼한 (오스트리아 여황제) 마리아 테레지아는 1737년부터 1756년까지 16명의 자녀를 출산했다. 그중 4명의 아들과 6명의 딸만 성인으로 성장했다. 20세였던 1737년에 첫딸을 낳고 39세였던 1756년에 막내아들을 낳은 것으로 보아 20년도 안 되는 사이에 16명의 자녀를 낳은 것이다.... 죽은 6명의 자녀들은 대부분 어린 나이에 당시 유행했던 최대역병인 천연두에 감염되어 사망했다. 


 1. 이 책엔 안 나오지만 마리아 테레지아가 전근대 여성들의 평균 출산율 7명의 두 배가 넘는 16명의 자녀를 출산할 수 있었던 이유는 모유 수유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모유 수유 기간에는 자동 피임이 되므로 '자연히' 2~3년 터울이 생기는 법인데, 여황제가 모유 수유를 할 리는 없지 않은가?


2. 근데 이 책의 저자는 마리아 테레지아 전기를 마치 '성인(聖人) 열전' 쓰듯이 썼다. 저자가 사학과 출신인데 문체만으로도 서술의 객관성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