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였나? 박완서 님이 쓰신 글을 읽다가 이런 말을 본 기억이 난다. "이야기를 바치면 가난하게 산다"고. 어렸을 때부터 워낙에 이야기를 좋아했던 나는 이 말을 보고 약간의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역시 나는 평생 가난하게 살 운명인가, 하고. 그냥 소설만 좋아해도 그럴 텐데, 미스터리나 추리소설의 세계까지 발을 뻗치게 되면 정말 도저히 '이야기'를 읽는 데서 헤어나오기가 힘들어지고 돈 따위는 생각할 여력이 없어질 테니, 영 근거 없는 이야기는 아닐 듯 싶기도 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인 온다 리쿠씨는 작가이기 이전에 독자로서, 스스로가 한 사람의 광적인 '이야기' 팬이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책 소개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라는 미스티리어스한 미스터리에 대한 4개의 소설 묶음이다. 그런데 작가는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결국에는 자신이 독자들에게 말해주고 싶었던, 독서와 '이야기'에 대한 생각들을 여기 저기 풀어낸다.
요즘 사회는 사람들에게 느긋하게 책을 읽을 시간을 주지 않는다는 이야기, 영상매체가 세상을 지배하게 되면서 사람들이 점점 획일화되고 있다는 생각, 미스터리 독자들에 대한 언급들, 이야기는 스스로 생명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 등을 등장인물들의 입을 빌려 장황할 정도로 서술하는 부분이 많다. 그런데 이 서술들이 하나같이 책을, 특히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게는 강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평소 두루뭉술하게 생각해 오던 것을 콕 집어 얘기해 주어 퍽 시원한 느낌이 든다.

이 소설집의 구조는 이 책의 재미 양대 산맥 중 하나를 형성한다. 작가가 마지막 작품 <회전목마>에서도 얘기해 주고 있는 바와 같이, 이 소설집 자체가 네 개의 이야기로 이루어진 책 속의 책 <삼월의 붉은 구렁을>의 구조를 미묘하게 체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읽으면서 계속 앞을 뒤져보게 되고, 확인하게 되고. 머리를 굴리는 재미가 있는 책이었다. 

<회전목마>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누워서 책을 읽다 보면 금방 잠이 들어버려 어려움이 많다고. 늘 누워서 책을 읽는 나도 실은 지금 심각한 어깨 결림에 시달리고 있는 중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도 두어 번 잠에 빠졌는데 ^^;; 정말 드라마틱한 꿈을 많이 꾸었다. 이 책의 이야기들과 비슷한 모티브를 가진 꿈들. 책과 현실과 나의 꿈이 왠지 섞이는 듯한, 신비하다는 신비한 체험을 하면서 이 책이 더 좋아졌다.

책, 그 중에서도 소설, 그 중에서도 미스터리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정말 사랑에 빠지지 않고는 못 배길 책.

온다 리쿠, 빠져들게 될 것 같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6-11-05 1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후속작이 빨리 나와야 하는데 걱정됩니다. 보고 싶어서요^^

알맹이 2006-11-05 16: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굽이치는 강가에서, 사놓기만 하고 지금은 고이 모셔놓고 있답니다. ^^

픽팍 2006-11-06 1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온다리쿠의 밤의 피크닉이 너무 좋아서 이 책도 질렀는데, 기대보단 별로였던 듯해요. 제가 미스터리물을 별로 안 좋아해서일 수도 있고, 암튼 제 취향 문제인듯,. 읽은 사람들은 이 책 다 강추하더라구요. 끄응

알맹이 2006-11-11 2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요~ 취향은 다 다르죠. 저는 이 책 좋았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