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본>에 대한 노트 ㅣ 채석장 시리즈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알렉산더 클루게 저자, 김수환.유운성 역자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3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본에 대한 노트 |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지음) | 문학과지성사(펴냄)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영화를 보았다. 대략 20분 좀 넘는 짧은 영화라고 하기에는 영상이라고 표현하는 게 맞는 걸까? 에이젠슈테인은 소련의 영화감독이자 영화이론가 출신이라고 한다. 혁명이 터졌을 때 가담을 한 인물이라고도 한다. 그는 마르크스의 [자본]을 영화로 만드는 게획을 세웠는데, 이 프로젝트는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고 한다.
책 서문을 쓴 옥사나 불가코바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마르크스의 [자본]을, 자신을 매혹했던 [율리시스]의 내적 독백을 사용해 영화로 만들어보겠다는 에이젠슈테인의 생각은, 요란한 농담이거나(스탈린이 바로 그렇게 반응했는데, 그는 에이젠슈테인이 미쳤다고 생각했다.) -중략- 에이젠슈테인의 기획은 마르크스주의를 구현하려는 것이 아니었다. 7쪽
에이젠슈테인의 이 프로젝트를 독일의 영화감독이자 소설가, 문화비평가, 사회학자, 변호사 분야를 넘나드는 알렉산더 클루게가 흥미를 가지고 그 이면을 들여다보게 이르렀고, 이렇게 책으로 나오게 되었다.
당시 박물관이었던 겨울궁전은 마치 영화 스튜디오의 소품 보관소처럼 보인다. 에이젠슈테인이 거기서 본 것은 거대한 백화점, 말하자면 '뮤어와 미릴리즈'였다. 그는 권력이 축적해온 물건들의 무의미함 속에서 권력의 악덕과 부조리함을 열어 보였다. 혁명이란 부조리한 세계로부터 불필요한 대상들을 해방시키는 일이다. 11쪽
젊은 시절 마르크스는 급격한 산업의 발전과 그 속에서의 빈곤을 보면서 과연 자본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자본론]이라는 책을 집필하기에 이르게 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고 있는 우리가 우선적으로 읽어봐야 하는 책이 바로 자본론이다. 자본주의는 서양의 봉건주의가 무너지자 절대왕정 시대가 도래하면서 입헌제와 돈과 돈으로 명예나 권력을 산 상인들이 점점 의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점점 그 힘의 영역을 넓혀가게 된다.
마르크스는 잉여물이 공장에 산처럼 쌓여있으면서도 사람들이 거리에서 굶주려 결국 죽음으로 내몰리는 모습을 이해하지 못했고, 에이젠슈테인도 '겨울 궁전'을 보면서 아마 이런 부분에서 공감이 갔기에 혁명에 가담하고 저와 같은 표현을 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혁명이 일어났던 나라들 대체로 대륙이 넓었던 것을 고려했을 때 그들의 삶이 얼마나 고달팠으면 하는 마음과... 여러 생각들이 교차하게 된다.
이로써 채석장시리즈 마지막 책까지 마무리를 했다. 어려운 책이었지만, 나름 보람도 있고, 출판사에서도 이런 책들을 출판해 주신 것에 대해 그 노고와 정성에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 인기 많은 책보다는 이런 양서에 관심을 기울이는 문학과 지성사 딱 출판사 이름에 걸맞은 시리즈였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