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냄새 : 삼성에 없는 단 한 가지 평화 발자국 9
김수박 지음 / 보리 / 2012년 4월
장바구니담기


"아버님이 이 큰 회사를 상대로 해서 이길 수 있습니까? 이길 수 있으세요? 아버님!"(삼성 직원)-49쪽

"황유미 씨는 사표를 썼잖아요. 그러니까 지금 회사 사람이 아니구요."(삼성 직원)
"사표는 당신들이 쓰라니까..."(황유미 아버지)
"그래서 안 쓰셨어요? 쓰셨잖아요!"(삼성 직원)
-61쪽

"삼성이, 이렇게 큰 회사가, 사람이 몇 사람 죽었다고 서류를 이렇게 가짜로 올릴 것 같아요?"(근로복지공단 직원)
(근로복지공단은 우수 기관으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해마다 경영 흑자를 기록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과거에는 직업병으로 판정받는 비율이 60퍼센트 이상이었다. 근로복지공단은 지난 4년 동안 이것을 50퍼센트 미만으로 떨어뜨려 경영 흑자를 기록했다.)-76쪽

"사회단체 같은 곳 있지 않습니까. 거기 사람들은 만나지 마세요. 그러니까, 아무도 만나지 마세요. 회사가 한 10억 해 줄 테니까."(삼성 직원)-86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웽스북스 2012-05-11 1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님. 저도 어제 이 책 봤어요. 이야기라는 게 확실히 힘이 있어. 정말이지, 더 화가 나더라고요.

마늘빵 2012-05-12 20:07   좋아요 0 | URL
이제 "먼지 없는 방" 볼 차례에요. ^^
 
10대와 통하는 윤리학 - 함규진 선생님이 들려주는 윤리와 도덕 이야기 10대를 위한 책도둑 시리즈 6
함규진 지음, 스튜디오 돌 그림 / 철수와영희 / 2012년 4월
장바구니담기


제1계명 이런 일이 기분이 좋은가? 계속해서 쭉?
제2계명 이런 일을 하는 자신이 멋지다고 여겨지는가?
제3계명 이런 일이 부끄럽고, 이 행동을 남에게 숨기고 싶다고 느껴지지 않는가?
제4계명 이런 일을 내가 사랑하는 사람, 연인이나 가족에게 할 수도 있겠는가?
제5계명 이런 일을 입장을 바꾸어, 남이 나에게 하더라도 불만이 없는가?
제6계명 이런 일이 최선인가? 나 자신에게?
제7계명 이런 일이 최선인가? 이 일로 직접 영향을 받는 사람에게?
제8계명 이런 일이 최선인가? 이 일로 간접 영향을 받는 사람에게?
제9계명 이런 일이 최선인가? 내가 존경하고 믿는 사람의 눈에?
제10계명 이런 일이 최선인가? 내가 소속해 있고, 소속감을 느끼는 단체에?-18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고 트릭 - ‘나’라는 환상, 혹은 속임수를 꿰뚫는 12가지 철학적 질문
줄리언 바지니 지음, 강혜정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2년 4월
품절


'자아의 역설'이란 우리가 누구이고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견해가 다수 존재하며, 그것들이 때로 동등한 설득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서로 모순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8쪽

"자기를 돌아보고 반성하며 자기를 자기로 간주할 줄 아는 사유하는 지적 존재, 시간과 장소가 변해도 항상 동일한, 사유하는 존재" (‘사람’에 대한 로크의 정의)-70쪽

"왜냐하면 의식은 항상 사유를 동반하며, 사유가 곧 의식이기 때문이다. 의식은 모든 사람이 자기 스스로를 ‘자아’라 부르는 바로 그것이 되게 해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의식은 다른 모든 사유의 대상들로부터 자신을 구분한다. 개인 정체성, 즉 이성적 존재의 동일성은 바로 이 의식에 의해 구성된다. 이 의식이 과거의 어느 행동 또는 어느 사고에까지 확장될 수 있는가 하는 만큼, 그 개인의 정체성 또한 거기까지 도달하게 된다."(로크)
-70-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에 잡히는 사회 교과서 09 - 어린이를 위한 인권 손에 잡히는 사회 교과서 9
이기규 지음, 김중석 그림 / 길벗스쿨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학창 시절 사회 교과를 공부하기가 제일 힘들었다. 역사, 지리, 법, 정치, 경제 등 많은 지식을 한 교과서에 집적시켰기에 배워야 할 분량도 많았고, 그 모든 것을 암기해야 시험을 잘 볼 수 있었다. 암기에 약한 나로서는 사회 교과가 고역이었다. 당시에는 교과서와 문제집, 참고서 말고는 별 다른 해설서나 단행본이 없어 오로지 암기밖에는 방법이 없었다. 아직 내가 겪지도 않은 사회 곳곳의 여러 분야에서 다루는 제도와 절차 등을 체화하기에는 나의 생활 반경이 협소했고, 경험이 부족했다.  

  이 책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사회 교과서의 각 단원과 학년을 해체하여 재분류하고 각각을 하나의 책으로 엮었다. 지리, 생활, 인권, 경제 등 많은 주제를 바탕으로 다시 풀어 썼기에 각각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고, 지식을 전달하기보다는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암기가 아닌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이들은 집과 학교에서 인권, 인권하면서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하지만, 인권을 제대로 이해했다기보다는 자신들의 편의, 즉 이익에 기반하여 주장하는 경우도 많다. 인권은 흔한 용어가 됐지만, 제대로 이해하고 권리를 주장하지는 못하는 셈이다. 같은 주장을 하더라도 그것이 어디에 기반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때문에 무엇보다 어린이들에게 인권 교육이 중요하다. 자신들의 권리를 제대로 행사하기 위해서라도.  

  이 책은, 크게 모든 사람이 누려야 할 권리, 인권’, ‘세상 모든 어린이가 누릴 권리’,‘함께 지키는 인권’ 세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고, 첫 단원에서 인권의 개념을, 다음 단원에서 독자가 현실에서 겪는 사례를 토대로 인권의 여러 유형과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지식과 경험을 함께 잡았다. 마지막 단원에서는 인권이 적용되는 범위를 넓혀 세계로 나아가고, 실천 지침까지 마련해주고 있다. 이는 대략 나, 가족, 사회, 국가, 세계 영역으로 넓혀 가는 기존 교과서의 전개 방식과 닮았다.  

  기본적으로 3인칭 관찰자인 선생님의 입장에서 친구 또는 친구 부모님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서술 방식을 취하며, 인권의 적용 여부가 애매한 사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보다는 질문을 던져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시 아이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집 아이들뿐만 아니라 시골 아이들, 가난한 집 아이들의 사례까지 다룸으로써 어느 한 지역과 빈부(貧富) 정도에 편중되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삽화에서 남자 아이를 그려 넣고, 또 서술 사례에서도 남자 아이의 이름만을 사용함으로써 남녀평등 측면에서는 균형을 맞추지 못했다. 인권을 주제로 한 책이기에 좀 더 신중했어야 했다. 

  구성면에서는 각각의 작은 주제마다 정식 교과서의 해당 학년과 단원을 표기함으로써 관련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교과서에서 한 문장으로 간단히 언급하고 넘어가는 개념을 더욱 쉽게 서술하여 별도의 지식 코너를 두거나 단어 설명을 하지 않고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여러 주제를 한 책에 많이 집약적으로 담아야 하는 기존 교과서보다 더 경험적으로, 더 현실적으로 와 닿도록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 - 철학, 자본주의를 뒤집다
김상봉 지음 / 꾸리에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시대의 증언작이자 철학자 김상봉 님의 본격 현실 철학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3-24 09: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3-26 01:1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