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우레처럼 다시 올 것이다 - 엄원태 시집 창비시선 363
엄원태 지음 / 창비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원태 선생님의 네 번째 시집. 직전의 『물방울 무덤』(창비, 2007)과는 시선과 시각이 다소 달라진 느낌이다. 서늘하다.

  "시는 단지 '말해지는' 것이 아니라, 시인이 제 몸을 잃어가면서 마련하는 풍경"이라고 하는 양경언 평론가의 해설이 마음을 붙잡는다.


  지금 여기 (90쪽)


  우연 아닌 삶이 또 있을까마는

  단순한 방문객으로 살기엔

  내 눈은 너무 많은 것을 보았고

  몸의 감각 지나치게 예민하여

  괴로움 또한 적지 않았다

  나를 가둔 방은 춥거나 더웠으며

  음식은 식었거나 딱딱하게 굳어 있었다

  어떤 날은 국물에서 바퀴벌레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 여기의 단 한번뿐인 이 삶은

  대체로 살아볼 만한 것이었으니,

  태초에 별들 사리를 흐르는 음악같은 것이 있어

  그 무시무종의 음률을 따라

  나는 왔고 또 돌아가리란 걸 겨우 이해하고 나니

  오고 감 또한 본래 없는 것이라 한다


  이 무상(無常)을 견딜 방편이란

  오로지 내가 당신을 껴안는 것

  도리없이 끌어안는* 것이니

  지금 여기 이 삶은

  너와 나라는 우주가 덩어리째 유정**하여

  서로 끌어안아 얽히고설킨 하나였고 하나님이었다는

  그 근원을 향해 가고 가는

  도정(道程)에 다름 아닐지니

  이 초라한 간이역***일지언정

  잠시 머물렀다 가는 것

  또한 그리 나쁘지 않으리라


*, *** 심보의 「지금 여기」에서.

** 문인수의 시 「달북」에서.

  

  2013년에 나온 시집인데, 다음의 시는 2016년 판 바슐라르라 해도 좋을 듯 싶다.


  아름다운 얼굴 - 촛불 앞에서 (90쪽)


  이 반투명의 흰 몸뚱어리는 오래된 기억의 숲을 거느린다. 몸의 미립자들은 숲의 낡은 목책(木柵)을 부수고 일시에 어둠을 터뜨릴 듯 몰려나온다. 갇혀 있던 희고 작은 애벌레들이 꼬물대며 길 위로 쏟아지는 심상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촛불은 혁명이다.

 

  그대의 흰 얼굴과 짙은 눈썹은 가장 견고한 신념의 한 양식을 보여준다. 그것은 동성애적 연정을 불러일으키기까지 한다. 그대는 자신의 열정을 온전히 자신에게로 되돌려놓음으로써 무화(無化)될 수 있는 자세를 보여준다는 차원에서, 지사(志士)이다.

 

  이것은 삶의 태도에 관한 문제이기도 하다. 아니, 존재한다는 엄연한 사실 자체에 대한 지극한 이해의 한 모습이다. 그 집중력! 그대가 나를 꼼짝 못하게 하는 부분이다. 오로지 소멸을 지향하는 집중력이야말로 존재의 근원적인 에너지라는 이 역설을, 고요히, 그러나 전심전력 타오르는 촛불에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 스피킹 기적의 7법칙 - 예일대 유학생들이 뽑은 20년 연속 최고의 강의
윌리엄 A. 반스 지음, 허유진 옮김 / 로그인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단한 듯하지만, 평소에는 주의하여 생각해보지 못하였던 문장 구성의 다른 습관.

  책의 내용이 감역자에 의해 '한국화'되어 있고, 후루룩 금방 읽을 수 있다.


  <영어식 사고를 위한 십계명> (19쪽)


  1. 말을 할 땐 글로 쓰인 영어의 이미지를 잊어라.

  2. 영어 말하기의 최소단위는 '단어'가 아니라 '의미단위'이다.

  3. 유창하게 말하고 싶으면 연음을 이해하라.

  4. 영화감독처럼 문장을 만들어라.

  5. 문법보다 올릴 때 확실하게 올리고 내릴 때 확실하게 내리는 멜로디가 중요하다.

  6. 특별한 의미 없는 맞장구는 부자연스럽고 지루하다.

  7. 이정표 언어의 위력은 강력하다. 이정표 언어로 상대방을 안내하라.

  8. 전화 통화 시 꼭 필요한 3단계를 명심하라!

  9. 영어 말하기에 유능해지는 기본 공식인 <I think X, because Y, For example Z>를 익혀라.

 10. 성공을 부르는 자기소개법을 터득하라.


  79쪽에 <영어 커뮤니케이션에 가장 흔히 쓰이는 동사 250개> 표가 있고, 드라마 <The West WIng>을 추천하는 내용도 있다(2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로벌 리더를 위한 영어 스피치
이진영 지음 / 터치아트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실전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꽤나 실용적인 팁과 주의사항들이 두려움을 줄여준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손동작은 아끼고 얼굴을 만지지 말 것(단, 앉아서 이야기할 때는 가끔 얼굴 근처로 손을 모아주는 것도 효과가 있을 수), 목소리는 모아서 멀리 던질 것, enuciation(중간중간 적절한 단어를 강조)과 inflexion(목소리 높낮이의 변화)의 활용(입체적 말하기), 이른바 'uptalk'(의문문 아닌 문장의 끝을 올려 말하는 습관, HRT: High Rising Terminal)의 지양, think/might/could는 빼고 can/could 대신 will, should 대신 must/need to를 사용, cannot/have to/have got to보다 will/shall/will not/must로, 수동태보다 능동태로, 원인/목적에서 행동의 순서보다 선 행동, 후 원인/목적의 순서로, crisis/urgent/problem/careful/effort/firm/difficulties와 같은 단어는 빼고 긍정적 어휘, 어법으로('최선'과 '노력'의 삭제), I mean/you know 대신 차라리 as you know/as we all know로, actually보다는 in fact/in effect/really로(filler보다는 적절한 선행구를), kind of/sort of/maybe/like는 빼고 불확실성의 여지를 넣고자 할 때에도 분명한 어휘로, 문장은 간결하게 하되 리듬을 활용, 어설픈 idiom 사용과 유머 구사의 자제, 안 하느니만 못한 형식적 질문의 회피, 청중의 지식(맥락)이 끝나는 시점에서 플러스 알파를 이야기 할 것, integrated/interdependent와 같은 단어보다 시의성 있는 interconnected와 같은 단어를(예컨대, globalization, win-win, synergy, competitiveness, world-class, interdependency, differentiation은 낡은 단어, 최근 몇 년간 많이 사용된 단어는 silo, ecosystem, double-dip, pressure point, inflection point, international alignment, foot print, relevance, inclusiveness, enabling environment, disenfranchise, stickiness, green shoots, best-of-class, convergence 등), 한국적 시야에 갇히지 말 것('비빔밥' 드립 자제 좀...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한국만의 것인양 착각하는 발언 등), what이나 how보다는 why를 말할 것, yeah/ok/guys/kids/stuff/I'm gonna/I wanna/I gotta 등 캠퍼스 영어를 벗어날 것... (이 밖에도 많다.)

  

  두 언어가 뿌리 내리고 있는 문화가 다르긴 하지만(저자는 아래 표와 같은 에드워드 홀의 구분을 차용한다), 우리 말 사용습관에 대해서도 되돌아 보게 된다.


  저맥락 문화
(Low Context Culture)
 고맥락 문화
(High Context Culture)
권역 유럽, 북미 아시아, 남미, 중동
사회 조직 규칙 기반 사회
(rule-based society)
관계 기반 사회
(relationship-based society)
언어 표현 방식 명시적, 구체적
(explicit, specific)
암묵적이고 모호하다
(implicit, vague)
소통 방식 적극적(active)
소극적(passive)


  상당히 많은 연설 영상 등 자료를 QR코드로 링크하고 있는데, 책을 읽으면서 일일이 다 볼 수가 없어서 후일을 위해 아래에 목록을 만들어 둔다. 책의 링크가 정확하지 않은 것은 링크를 대체하였다. 책에는 연도가 병기되어 있지 않은데, 찾아서 병기하였다(이런 역사적인 연설들을 링크하면서 비공식자료를 링크하거나 연도조차 제대로 기재하지 않은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 버락 오바마 2008년 베를린 연설 (책에는 '2008년'이라 쓰고, 월스트리트 저널에 올라온 2013년 연설문 '스크립트'가 링크되어 있는데, 두 연설의 유튜브 영상을 링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Q-9ry38AhbU

  https://www.youtube.com/watch?v=fhse6js54aw

  https://blogs.wsj.com/washwire/2013/06/19/transcript-of-obamas-speech-in-berlin/


 - 로버트 그럽스 박사의 애니메이션(역시 책의 링크가 정확하지 않아, 박사의 수상 기념 강연을 링크한다)

  http://www.nobelprize.org/nobel_prizes/chemistry/laureates/2005/grubbs-lecture.html


 - 빌 게이츠 2009년 TED 강연 "Mosquitos, malaria and education"

  https://www.ted.com/talks/bill_gates_unplugged/transcript


 - 영화 <엘리자베스>의 '틸버리 스피치' (케이트 블란쳇 분)

  https://www.youtube.com/watch?v=T3Bq1h728X0

  http://www.elizabethfiles.com/resources/speeches/the-tilbury-speech/

  http://www.bl.uk/learning/timeline/item102878.html


 - 앨 고어 2008년 TED 강연 "New thinking on the climate crisis"

  https://www.ted.com/talks/al_gore_s_new_thinking_on_the_climate_crisis?language=en


 - 로널드 레이건 1987년 베를린 장벽 연설

  https://www.youtube.com/watch?v=5MDFX-dNtsM&t=189s


 - 오프라 윈프리 2005년 NAACP 명예의 전당 수상 연설

  https://www.youtube.com/watch?v=HfYKx8rwYrY

  https://www.youtube.com/watch?v=UHl1_gbVnmg&t=1s


 - 마거릿 대처 1976년 '철의 여인' 연설

  https://www.youtube.com/watch?v=oAgM6YHioxI


 - J. F. 케네디 대통령 1961년 취임 연설

  https://www.youtube.com/watch?v=BLmiOEk59n8

  https://www.youtube.com/watch?v=PEC1C4p0k3E


 - 크리스티안 아만푸어 2010년 하버드대 졸업 축하 연설 (영상이 세 개인데, 연속재생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8T4HjIw_HM

  https://www.youtube.com/watch?v=1sezgH8bqtU

  https://www.youtube.com/watch?v=C0aP65fiuJ0

  

 - 리처드 퀘스트 2012년 리즈대 경영대학원 강연

  https://www.youtube.com/watch?v=br7V0_cht9c


 - 미국 PBS 방송 NOVA 시리즈 (esp.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

  http://www.pbs.org/wgbh/nova/


 - Trend Hunter CEO 35명 연설 영상 ("35 Speeches by Iconic CEOs: From Facebook's Mark Zuckerberg to Apple's Steve Jobs)

  https://www.trendhunter.com/course/speeches-by-iconic-ceos


 - BBC의 uptalk 관련 2014. 8. 11.자 기사 "The unstoppable march of the upward inflection?"

  http://www.bbc.com/news/magazine-28708526


 - 스티브 잡스 2005년 스탠퍼드대 졸업 축하 연설

  https://www.youtube.com/watch?v=UF8uR6Z6KLc


 - 마틴 루터 킹 목사 'I Have a Dream' 연설

  http://www.americanrhetoric.com/speeches/mlkihaveadream.htm

  https://www.youtube.com/watch?v=3vDWWy4CMhE


 - 에릭 슈미트 2011년 James MacTaggart 강연

  https://www.youtube.com/watch?v=hSzEFsfc9Ao


 - 스티브 잡스 2001년 프리젠테이션(iPod 소개 영상, 아래는 전체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kN0SVBCJqLs

  https://www.youtube.com/watch?v=SYMTy6fchiQ


 - 에드워드 R. 머로 1958년 'Good Night Good Luck' 연설

  https://www.youtube.com/watch?v=ZBhGZMUBPsU


  이상이다... 헥헥...


  다음은 책 말미에 붙은 참고문헌 목록이다. 아래의 묶음은 이 책이 열거한 문헌은 아니나, 검색과정에서 함께 알게 된 책들이다.


 

 


Bernhard Kast, "iKeynote – Representation, Rhetoric, and Visual Communication by Steve Jobs in His Keynote at Macworld 2007",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alzburg, Department of History (2008)

http://www.european-rhetoric.com/analyses/ikeynote-analysis-iphone/


이용규, 정경일, 이종수, "Geert Hofstede의 조직문화 비교방법의 비판적 고찰", 한국행정학회 2000년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Ⅰ) (2000)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709816




  끝으로... 뱀발 하나...


  책 25쪽에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 없는 한국인 연사로 우아함과 카리스마를 겸비한 강경화 UN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사무차장보...(를) 빼놓을 수 없다."는 구절이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양 2019-01-17 12: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보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전자책의 충격 - 책은 어떻게 붕괴하고 어떻게 부활할 것인가?
사사키 도시나오 지음, 한석주 옮김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월, 기술 발전에 따른 대중문화의 변모 양상을 다룬 Special Report에서, "기술 진보는 대중에 다양한 선택지를 주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민주화'시킨 듯 보이지만(꼬리의 틈새상품에 주목하는 이른바 '롱테일경제학'은 이 점을 강조한다), 사람들은 무한에 가까운 선택지 모두를 일별하기에는 시간과 관심 폭의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고, 실제로는 도리어 역설적으로 '블록버스터' 혹은 '빅히트' 작품의 의미와 가치가 커졌다."고 지적한다. 다음에 Gady Epstein, "Winner takes all: Mass entertainment in the digital age is still about blockbusters, not endless choice", 『Economist』 Special Report (2017. 2. 11.)의 한 문단을 인용한다(강조는 인용자, 인터넷 링크 : http://www.economist.com/news/special-report/21716467-technology-has-given-billions-people-access-vast-range-entertainment-gady).

 

  Being able to produce a blockbuster hit has become even more valuable than it used to be. It turns out that everyone wants hits—the more familiar the better, says Derek Thompson, author of a book entitled “Hit Makers”. Despite the availability of entertainment specially tailored for each individual, people still crave experiences they can share with others. What they want most is what everyone else wants.

 

 

  아이패드가 나오기 직전에 저술된 책이라 지금 읽기에는 다소 철 지난 이야기도 있다(이미 기술적으로 해결되고 있는 부분들에 대한 언급은 굳이 하지 않겠다). 그러나 전자책이 '구텐베르크 은하계'에 끼칠 영향에 대해 생각하고 고민하게 해줄 수 있는 책이 국내에 여전히 많지 않다. 일본 출판업계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루고, 분석과 전망이 피상적이라 느껴지기도 한다. 오히려 보론에 실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이재현 교수의 "출판과 미디어의 변신"이 좋았다.

 

  국내 출판사와 서점들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알라딘은 중고매장, 알라딘굿즈, 서재/북플 등을 연달아 터뜨리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다른 업체들과 달리 홀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듯 보이기도 한다(교보문고 인터넷사이트는 정말 심각한 수준이다). 그러나 과연 그와 같은 '현금장사'를 넘는 미래전략, 혁신의지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알라딘의 강점과 약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파워)유저들의 애정어린 개선의견들에 조금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온라인 서점별 매출 추이는 대한출판문화협회, 『2015년 출판연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38750&cid=55608&categoryId=58131에 수록된 아래 표 참조. 『2016년 출판연감』이 이미 발간되었고, 아마 상당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직 온라인상에 공개되지는 않은 것 같다(각 기관의 통계자료 비공개 정책은 심히 아쉬운 대목이다. 시대착오적이라 여겨진다). '전자책'과 관련하여서는 위 『2015년 출판연감』의 '2014년 디지털 환경과 독서실태현황', '2014년 전자책 이용자의 독서생활변화'도 참조.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5 출판산업 실태조사』 http://www.kpipa.or.kr/info/studyrepotView.do?board_id=51&article_id=46480&pageInfo.page=2&search_cond=&search_text=&list_no=39#나,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http://stat.mcst.go.kr/mcst/resource/static/topic/statistics02.html 및 http://www.kocca.kr/cop/bbs/view/B0000148/1832231.do;KCSESSIONID=fmbPYK1pbDn4mDq343qlZMzFy0R4HNlHDcQcWMW2gHSWQrxhWGG2!1041138063!-1560844718?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907&categorys=0&subcate=0&cateCode=&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year=&categoryCOM062=&categoryCOM063=&categoryCOM208=&categoryInst=&morePage=&pageIndex=1에는 아래와 같이 온라인 서점별로 매출액 등을 구분하여 보여주는 통계가 없다.]

 

 

 

  정보의 바다에서 (소위 맞춤형) '대세'를 추천하는 것을 넘어, 어떻게 다양한 '맥락'을 제안할 수 있는지가 롱테일 성공의 조건이 될 것이다. 수목형 분류체계를 넘는 사고가 필요하다. 마이크로 인플루언서(micro influencer)와 소셜 미디어의 결합은 하나의 가능한 대안이다. 그 점에서 알라딘이 그나마 방향을 잘 잡고 있는 것 같기는 하지만, 여전히 아쉽다.


--------------------

(2019. 1. 29. 추가)


한국콘텐츠 진흥원, 콘텐츠산업 2018년 결산 및 2019년 전망』(2019)에서 발췌

(http://www.kocca.kr/cop/bbs/view/B0000147/1837529.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1825&categorys=0&subcate=0&cateCode=&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year=&categoryCOM062=&categoryCOM063=&categoryCOM208=&categoryInst=&morePage=&delCode=0&qtp=&pageIndex=1#)


 ○ 중고도서 시장 확장

- 알라딘은 전국 대도시(서울 15곳, 경기 9곳, 광역시 19곳)에 43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고, 예스이십사가 수도권과 부산에 오프라인 중고서점 6개점을 운영하고 있음. 알라딘의 경우 중고서점 매출이 전체 매출의 약 20%로 추정될 정도로 규모가 커졌으며, 주변 오프라인 서점의 구간도서 소비를 크게 위축시킬 정도로 거래가 증가함

 - 가성비 중심의 저가 구매욕구와 유혹을 뿌리칠 수 없게 만드는 사은품(굿즈), 집객력 높은 입지와 편리한 공간 배치, 기존 헌책방과 구별되는 유명 브랜드 효과에 힘입어, 저비용 리사이클링 이용 트렌드가 증가하고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세이로 다시 시작하는 일본어 - 사진으로 일본어 생초보 탈출!
김현근 지음 / 주영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자를 정확히 겨냥한 제목 그대로, 여러 번 일본어에 도전하였지만, (특히 가타카나의 벽에 막혀) 번번이 흐지부지되었던 사람이, 어쨌든 새 희망과 의욕을 가지고 다시 시작할 수 있게 용기를 주는 책.

 

표지판, 광고 사진 등을 효과적으로 곁들였다. 여러 번 눈에 익히다 보면 어느새 익숙해진다. 일본 어린이들에게도 가타카나는 첫 관문이었던 모양인지, 일본 동물원 안에 있는 레스토랑이 レストラン이라 쓰지 않고, れすとらん이라고 표기한 것이 눈에 띈다(167쪽). 사진을 통하여 생생한 일본/일본어를 접하다 보니, 문득 한 시대를 풍미한 '오리선생' 한호림 디자이너의 '꼬.꼬.영.' 시리즈가 떠오른다(『꼬리에 꼬리를 무는 한자』까지). 여하간 지은이의 오랜 일본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영리하게 구성된 책이다.

 

말을 꺼내고 보니 생각이 나 찾아보았다. 아니나 다를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일본어』가 진짜 있다. 추억에 잠기며 주문을 하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 2017-03-18 20: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일본어는 히라가나 가타가나 한자 그리고 일본식 영어발음까지 4가지를 배워야 한다고 울분을 터트리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묵향 2017-03-19 13:28   좋아요 0 | URL
예, 정말요 ㅎㅎ 말을 뭐 이렇게 복잡하게 만들어 놨는지... ‘가까운 언어여서 왠지 쉽게 배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해가 되는 것 같기도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