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당신을 볼 때 당신은 누굴 보나요 - 수필가 배혜경이 영화와 함께한 금쪽같은 시간
배혜경 지음 / 지식과감성#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언제부터 영화를 만들고 봤을까. 영화가 나오기 전에는 라디오 방송을 들었겠지. 듣기만 하는 것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 처음 텔레비전이 나왔을 때는 라디오 스타는 모두 죽었다고 했지만, 라디오는 여전히 그대로다. 아니 지금은 보는 라디오로 예전과는 조금 달라졌지만 라디오는 사라지지 않았다. 나도 텔레비전은 안 봐도 라디오 방송은 듣는다. 보는 라디오는 아니고 진짜 라디오로 라디오 방송을 듣는다. 이젠 라디오 방송도 꼭 라디오가 아니어도 들을 수 있다. 사람이 언제 영화를 만들었는지 잘 모르겠지만(찾아보면 나오겠지), 듣기만 하다가 보고도 싶어져서 만들지 않았을까. 사진이 나온 다음에 움직이는 영상을 만들어야겠다 생각했겠지. 그런 걸 생각한 사람 대단하구나.

 

 옛날 영화 거의 본 적은 없지만, 그때는 소리가 나오지 않았다. 영화 필름을 틀어놓고 영화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 있었다. 그건 한국에만 있었을지 다른 나라에도 있었을지. 그것도 영화에서 봤던가. 나도 잘 모르겠다. 소리가 없는 건 없는대로 봐도 괜찮을 텐데, 영상을 보면서 이야기를 해주는 것도 재미있을지도. 사람은 이야기를 좋아한다. 지금도 다르지 않지만, 오래전 흑백영화는 소설을 원작으로 한 게 많을 거다. 오리지널 시나리오도 있었겠지. 그걸 나중엔 책으로 내기도 하고, 지금은 영화 각본집이 나온다. 이것 전에는 시나리오가 나오기도 했는데. 영화는 안 보고 시나리오만 본 적 있기도 하다. 그것도 나름대로 괜찮았다. 그렇게 많이 본 건 아니어서 잘 말하기는 어렵다. 지금까지 영화도 그렇게 많이 보지는 않았다. 그저 어렸을 때 텔레비전 방송으로 해준 영화를 조금 봤다. 영화관에 아주 안 간 건 아니지만.

 

 난 많은 걸 잘 못한다. 음식점이나 카페에 혼자 들어가지 못하고 영화관에도 혼자 못 간다. 그런 것도 혼자 못하다니 할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못한다. 그것 말고도 못하는 거 많구나. 그래도 문구점이나 책방과 우체국 그리고 가게(마트)는 간다. 우체국에서는 우표를 달라거나 문구점이나 책방에서는 찾는 걸 물어보기도 하지만, 다른 데서는 못 물어본다. 나 정말 바보구나. 어렸을 때도 못했지만, 지금도 못한다. 나이를 먹으면 좀 뻔뻔해지기도 한다는데, 난 그렇지 않다. 여전히 말을 못한다. 그런 걸 답답하게 여기는 사람도 있겠지. 그런 사람 싫다. 말 못하는 걸 답답하게 여기다니. 사람이 무슨 말이든 하는 건 아니기도 하고, 말이 없는 사람도 있는 거 아닌가. 말이 없으면 조용해서 좋지 않나. 다른 사람 말도 안 하고. 왜 이런 말로 흘렀지. 영화 보러 영화관에 못 간다는 말을 해서구나. 앞으로도 그렇게 달라질 것 같지 않다.

 

 이 책 《내가 당신을 볼 때 당신을 누굴 보나요》는 배혜경이 쓴 영화 이야기다. 누군가한테 함께 보자고 말하고 싶다고 했는데. 여기에서 말한 영화에서 내가 본 건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 두세편 정도 될까. 두세편도 안 될지도. 영화가 아닌 책으로 본 것도 있다. 이것도 세편 정도구나. 어떤 영화는 듣거나 글을 보기도 했다. 영화를 안 봐도 영화 정보는 가끔 듣고 읽기도 한다. 그런 걸 보거나 읽는 것과 실제 영화를 보는 건 아주 다르겠지만. 이 책을 보면서 고흐를 말하는 영화 참 많다는 걸 알았다. 그나마 고흐는 편지나 다른 글을 봐서 아주아주 조금 안다고 해야겠구나. 그게 아는 게 아닐지도 모르겠지만.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는 사람 삶은 이야기가 되기도 한다. 그런 사람만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건 아니겠지만. 어쩌면 그림이나 글을 알려고 작가 삶을 알려는 건지도. 그렇다 해도 그게 다가 아니기는 하다.

 

 무엇보다 좋게 보였다고 할까, 영화를 배혜경은 딸과 함께 봤다는 거다. 영화를 보고 함께 이야기해서 좋았겠다. 책도 함께 보고 이야기하지 않을까 싶다. 여러 가지를 함께 하고 이야기하고 지금도 하겠다. 엄마와 딸이 친구 같은 것도 좋을 듯하다. 영화를 그저 흘려 봐도 괜찮지만, 좀 더 깊이 봐도 괜찮겠지. 난 그런 적 없지만. 영화는 시나리오대로 찍지는 않을 거다. 어떻게 하면 어떤 걸 잘 나타낼지 이런저런 생각을 하고 빛과 어둠을 담고 음악도 잘 고르겠지. 영화에 어울리는 음악을 만들기도 하고. 영화는 영상뿐 아니라 음악도 참 중요하다. 음악이 없다고 해서 심심하지는 않겠지만, 음악이 사람 마음을 잘 나타내주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음악과는 다른 음향도 있구나. 아무 소리 없는 공포영화보다 삐걱이거나 불안함을 나타내는 음향이 나오는 공포영화가 더 무섭겠지. 영화 잘 모르면서 이런 말을 하다니. 영화 글을 보다보면 카메라가 담은 걸 이야기하는 것도 있어서. 그런 것도 다 뜻이 있어서 그런다는 걸 알았다. 영화는 은유구나. 그런 영화만 있는 건 아니지만. 난 좀 쉬운 걸 좋아하는지도 모르겠다. 이걸 생각하니 영화뿐 아니라 소설도 그렇다는 걸 알았다.

 

 영화를 좋아하는 삶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삶도 있겠지. 영화를 모르고 안 본다 해도 사람은 산다. 하지만 영화를 보는 삶은 나름대로 괜찮겠지. 난 책으로 대신하지만. 책을 보고 영상으로 보면 조금 실망할 때가 많구나. 내가 상상한 게 나오지 않기도 해서. 어떤 상상을 했느냐고 물으면 할 말은 없지만. 소설은 길고 영화는 짧아서 그렇겠다. 짧은 시간 안에 이것저것 담으려면 쉽지 않겠다. 그런 영화를 보고 그 안에 담긴 뜻을 알아내는 것도 멋지겠다. 배혜경은 그런 걸 잘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오래전 이야기와 2020년 이야기까지 자기 이야기를 영화 이야기와 함께 한다. 영화가 다가오고 영화에 다가가는. 책도 그렇지만 영화도 그걸 잘 보려고 하는 사람한테만 뭔가를 보여주겠지.

 

 

 

희선

 

 

 


댓글(28)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9-28 04: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02 23: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책읽는나무 2022-09-28 07:3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혼자서 카페나 식당은 잘 못가겠더군요.
영화관은 혼자서 두 세 번 간 적 있어요.
혼자서 본 영화는 감흥이 오래 기억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저는 목차에 나온 영화를 대충이라도 찾아보고 글을 읽으려니 읽는 속도가 느리네요.
다 읽으신 희선님이 부럽습니다^^

희선 2022-10-02 23:28   좋아요 2 | URL
어쩌면 저는 그저 밖에서 먹는 게 비싸서 그럴지도... 혼자 가는 것도 안 좋지만, 딱히 먹고 싶은 것도 없어요 집이 아닌 다른 분위기를 바라는 사람도 있을 텐데, 저는 그런 거 없어도 괜찮군요 멋없는...

어렸을 때 영화관 혼자 가 본 적 있어요 그때 왜 혼자 갔는지 모르겠어요 딱 한번 갔네요 영화를 보고 글을 보면 훨씬 좋을 텐데, 어쩐지 글을 쓰신 분한테 미안하기도 하네요 책읽는나무 님은 영화와 함께 글을 보시니 더 잘 보시겠네요


희선

그레이스 2022-09-28 07:5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혼자 카페 가는거 좋아해요. 책들고....^^
혼자 식당은 안가요.
영화보는거는 안좋아하는데 정말 봐야겠으면 혼자 가서 보기도 해요~

희선 2022-10-02 23:29   좋아요 2 | URL
지금은 카페에 가서 책읽거나 글쓰기 좋아하는 사람 많네요 그레이스 님은 카페에 혼자 잘 가신다니 멋집니다

꼭 보고 싶은 영화가 있으면 혼자서라도 가서 보는 것도 멋지네요


희선

새파랑 2022-09-28 08:0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책 명작 아닌가요? ^^ 전 식당이랑 카페는 혼자 자주 가는데 극장은 혼자 안가지더라구요 ㅋ

희선 2022-10-02 23:44   좋아요 2 | URL
명작 맞습니다 영화 이야기와 살아가는 이야기가 있어서 좋았습니다 요즘은 잘 하면 영화관에서 혼자 볼 수도 있는 것 같던데, 그런 곳 그렇게 많지 않을지... 재미있는 거여도 혼자 보면 조금 무서울지도...


희선

2022-09-28 08: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02 23: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03 00: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03 01: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거리의화가 2022-09-28 11:3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는 2000년대 초반에 한국영화를 참 많이 봤었어요. 이 책 진작 읽어야지 생각했는데 보관함에 담겨만 있어요ㅠㅠ 요즘 한국영화들은 제가 원하는 이야기들과는 거리가 좀 있어서 안 보게 되더라구요. 저는 혼자서도 잘 먹고 카페도 잘 가지만 영화관에는 혼자 가본적 없는 것 같네요^^; 근데 영화관 갈때마다 생각했지만 혼자 가면 얘기나눌 필요 없이 감상에만 집중하면 되니까 그건 괜찮을 것 같더군요.

희선 2022-10-02 23:49   좋아요 2 | URL
여전히 한국영화를 만들고 보는 사람이 있어서 다행이기도 합니다 왜 저는 영화가 예전과 다른 느낌이 드는지 모르겠어요 지금도 좋은 영화 많을 텐데... 어쩌면 영화가 아닌 다른 볼 게 많아서 그런 건지도... 저는 이렇게 생각해도 여전히 영화 좋아하는 사람 많겠습니다 한국에서 하는 영화제 많은 듯해요 누군가와 영화를 보면서 잠깐 이야기 하는 것도 좋겠지만, 그러면 흐름이 끊겨서 안 좋을 것도 같습니다 다른 사람과 함께 본 영화는 나중에 그 영화 누구랑 봤지 하겠네요


희선

2022-10-03 00: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0-02 23: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람돌이 2022-09-28 14: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혼자서 뭔가를 하는거 다 쉽지 않아요. 그냥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거 아닐까요?
그리고 저는 집을 너무 좋아하는군요. 혼자서 밥먹고 카페 갈 바에야 집에서 커피 타서 식탁에 앉아 책보고 하는게 훨씬 좋고, 영화는 혼자 보러갈바에야 다운 받아서 보는....
이런건 그냥 선택의 문제인듯요. 이 책도 보려고 사두었는데 못본 영화가 많아서 영화를 좀 보고 봐야지 하니까 자꾸 밀리네요.

희선 2022-10-03 00:05   좋아요 1 | URL
다른 사람은 혼자 뭐든 잘 하는 것 같아도 그게 꼭 그렇지 않을지도 모르겠네요 해야 하니 하는 걸지도... 이것저것 좀 어질러져 있어도 집이 편하죠 저도 집이 편해요 책은 다른 사람이 있는 데서는 잘 못 보는군요

저는 영화 안 보고 그저 책만 봤네요 영화를 이렇게 볼 수도 있구나 하면서 봤습니다 영화를 참 좋아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바람돌이 님 오늘 좋은 하루 보내세요


희선

scott 2022-09-28 17: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전 한국 영화 잘 안보고 극장에서 조차 안보는데 이 책 배혜경님이 평하시는 한국 영화는 달리보였어요

영화는 블록버스터를 제외하고
보고 싶은 영화는 혼자 봅니다
코로나 이후로는 ott로 시청😄

희선 2022-10-03 00:07   좋아요 2 | URL
한국영화 괜찮은 거 많지요 여기에서 본 글에서 <밀양>이 기억에 남았습니다

scott 님은 영화 혼자 잘 보시는군요 그것도 좋은 거죠 누군가와 함께 봐서 즐거운 것도 있고, 혼자 조용히 보는 게 좋은 것도 있겠습니다


희선

stella.K 2022-10-03 09:4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공식적으론 뤼미에르 형제가 최초인 걸로 나오지만
또 밝혀진바로는 에드워드 마이브리지가 뤼미에르보다 앞선다는
얘기도 있어요. 마이브리지 전기 영화도 있고.

저는 뭐 조금조금씩은 다하지만 어디가서 혼자 밥 먹는 건
적응이 안 되더군요. 정말 허기가 진다면 모를까.
코로나 때문에 영화가 못 가 봤지만 지금은 갈 수 있어도
못 갈 것 같아요. 영화값 넘 올라서.
영화값만 오르면 그나마 났죠. 물가 넘 올라 앞으로 어찌 살아야할지 모르겠어요.ㅠ

희선 2022-10-03 00:10   좋아요 2 | URL
형제라 하니 ‘형제는 용감했다’는 말이 생각나기도 합니다(이런 제목 뮤지컬이 있네요) 비행기도 라이트 형제가 만들었다고 하잖아요 형제가 처음으로 한 거 더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한사람이 아니고 둘이 해서 즐거웠겠습니다

저는 밖에서 밥 먹는 거 별로 안 좋아해요 집에서도 대충 먹는데... 영화관에 안 가서 돈이 비싼지 어떤지도 잘 모릅니다 집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데, 예전에는 한번 가 볼까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지금은 영화 안 보면 어떤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저는 그래도 영화는 영화관에서 봐야 제맛이다 하는 분도 있겠지요 뭐든 오르는...


희선

mini74 2022-09-29 13:3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못 하는 것보다 할 수 있는게 더 많잖아요 희선님 뭐 또 못 하는게 더 많은들 어떤가요~ 좋은 글들 잘 쓰시는데요 뭘 ~~ 남들이 못하는 걸 잘 하시니까요.

희선 2022-10-03 00:13   좋아요 2 | URL
글 잘 못 쓰지만, 미니 님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하고 싶은 거나 할 수 있는 거 하면 되겠지요 못 하는 건 안 해도 되기도 하네요 못 한다고 해서 못 사는 것도 아니고...


희선

파이버 2022-09-29 21:4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영화관에 혼자 못가시더라도 어떤가요. 저도 영화관에서 본 영화보다 혼자 집에서 본 영화들이 훨씬 많습니다ㅎㅎㅎ 코로나가 되고 푯값도 많이 올라서 더 부담스러워요ㅜㅜ

희선 2022-10-03 00:22   좋아요 3 | URL
영화관도 돈을 올릴 수밖에 없어서 아쉽게 여길 것 같습니다 올리지 않으면 안 될지도 모르니... 코로나 때문에 사람이 많이 가지 않기도 했으니... 그저 이런 생각만 하는군요 파이버 님 고맙습니다


희선

yamoo 2022-10-01 12:27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요즘 들어 넷플 영화를 많이 봅니다. 탑건 매버릭은 정말 예상을 뛰어넘는 재미를 듬뿍 줬어요. 상업영화지만 장르만의 매력 넘치는 작품도 많은지라..ㅎㅎ
영화관에 못가도 넷플로 많은 영화를 보는지라....엔날보다 좋은 거 같아요. 워쨌든 영화를 다영하게 접할 수 있는 루트가 많아지니까요..^^

희선 2022-10-03 00:35   좋아요 2 | URL
넷플릭스에서 처음으로 하는 영화도 많지요 그런 말 본 것도 같습니다 예전에는 괜찮았지만, 지금은 예전과 좀 달라졌다고 하는데 왜 바꾸는 건지 그러면 사람들이 싫어할 텐데... 코로나 뒤로 한국에서 만든 걸 좋아하는 사람이 많은 듯도 합니다 저는 안 봤지만, 한국 영상과 음악이 알려지는 건 좋기도 하네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