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 에드거 앨런 포에서 정유정까지
백휴 지음 / 나비클럽 / 2024년 1월
평점 :
이 책 제목 《추리소설로 철학하기》를 봤을 때는 한번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어. 다 읽은 지금은 내가 뭘 읽은 건가 하는 생각이 들어. 추리소설(범죄소설 탐정소설) 작가는 조금 알아도 철학자는 잘 몰라서 말이야. 여기에서 말하는 철학자 이름은 한번 정도 들어봤지만, 이름만 알고 잘 몰라. 책을 읽다가 예전에 비트겐슈타인이 추리소설 썼다는 말 본 게 생각나기도 했어. 그 말 평전에서 본 것 같기도 한데.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책을 그렇게 많이 본 건 아니었나 봐. 철학자라고 해서 모두 다른 사람 책을 많이 보는 건 아닐지도 모르지.
내가 추리소설이라는 걸 본 건 2000년이 넘어서야. 정확한 연도는 몰라. 2009년 아니면 2008년이었을지도. 2010년부터 많이 봤군. 그전에는 그런 게 있다는 거 몰랐어. 셜록홈즈 이름 알았던 것 같기도 한데, 난 어릴 때 책을 안 봐서 말이야. 소설에도 추리 요소가 아주 없는 건 아니기는 해. 미스터리라고 할까. 어떤 소설은 아내가 남편을 죽인 것 같은 걸 암시하고 끝나기도 했는데. 그 반대였던가. 추리소설을 알기 전에는 이런저런 소설을 조금 힘들게 보기도 했는데. 사람이 죽는 걸 더 힘들게 여겨야 할지도. 조금 보다보니 그렇게 되기는 했어. 지금은 사회파 소설이 낫기는 해. 그런 것만 골라서 보는 건 아니지만.
언제부턴가 한국 작가도 범죄 미스터리 소설을 쓰는 사람이 늘었어. 지금은 그런 소설 쓰는 사람 꽤 많아졌어. 내가 이름 아는 작가는 그리 많지 않지만. 그뿐 아니라 SF 쓰는 작가도 많아졌군.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나오는 건 좋은 거지. 사실 난 순문학이라는 말 별로 안 좋아해. 그냥 문학이라 하면 될 걸 앞에 왜 순(純)을 붙이는 건데. 이거 일본에서 건너왔다고 한 것 같기도 한데. 난 소설 좋아해. 어떤 이야기를 좋아한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소설을 그저 시간 때우려고 본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잖아. 소설을 낮잡아 보는 말 같아. 가볍게 볼 이야기도 있기는 해. 그런 소설에서도 배울 건 있을 거야. 내 안 좋은 점은 이걸지도. 어떤 소설(책)이든 배울점을 찾으려 하는 것.
추리소설도 즐겁게 보고 끝내는 거다 생각하는 사람 많겠지. 그런 소설에서 사람 마음을 알게 되기도 하는데. 난 세상에는 별난 사람이 많구나 하는 걸 느끼는군. 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뉴스나 신문에는 그저 누가 어떤 일을 저질렀다고만 나오잖아. 범죄소설은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를 알게 해주기도 해. 그런 걸 알게 되는 이야기만 있는 건 아닐지도 모르겠어. 사람을 죽인, 그런 일이 일어난 뚜렷한 까닭(동기)이 없을 때도 있어. 범죄소설은 피해자뿐 아니라 가해자가 어떤지 생각하게 해. 가해자가 그렇게 될 수밖에 없다 여기고 조금 동정하기도 해. 소설을 보고 나서는 자신은 그러지 않아야겠다 생각하기도 해. 반대로 그런 소설을 봐서 범죄를 저질렀다고 여기는 일도 있겠어. 그런 소설도 본 적 있군.
난 추리소설 범죄소설 탐정소설을 봐도 철학으로 이야기 못해. 철학을 몰라서군. 내가 할 수 있는 건 그저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거야. 그렇게 생각한다고 무언가를 바꾸지는 못하지만. 남한테 나쁜 짓하지 않으려고 해. 그것만으로도 다행 아닌가. 그런 소설을 보고 한번쯤 자신도 해 보고 싶다 생각하는 사람 있을까. 그런 사람은 많지 않기를 바라. 아주 없다면 더 좋을 텐데. 추리소설을 보고 철학하는 거 멋진 듯해. 이 책을 쓴 백휴는 철학을 공부하고 추리소설을 쓰고 추리소설 평론도 해. 추리소설에는 머리를 써서 추리해야 하는 게임 같은 이야기도 있지만, 추리소설이 다 그런 건 아니야. 추리소설 보면서 범인이 누군지 알아 차리면, 벌써 알다니 하지만. 먼저 범인을 알려주고 이야기를 끌어가는 것도 있어. 추리, 범죄소설은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할까도 생각하게 해. 이 말 앞에서도 했군.
지금까지 추리소설 그렇게 많이 보지는 않았지만, 추리소설을 알게 되고 본 지 열네해쯤 됐군. 어릴 때부터 본 사람에 견주면 그렇게 긴 시간은 아니야. 예전에도 말한 적 있는데 일본 추리소설을 알게 된 것과 일본말을 조금 알게 된 게 비슷한 때야. 일본말이 먼저였을지도. 이제는 한국에도 추리소설 범죄소설 탐정소설 쓰는 작가가 많아졌군. 정유정 소설은 좀 봤지만, 서미애 소설은 아직이야. 언젠가 한번 만나고 싶어.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