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핵무기 스캔들 - 우리가 알아야 할 핵에 관한 모든 것 ㅣ 지식의 비타민 6
지식활동가그룹21 엮음 / 문화발전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핵무기 스캔들
제목이 매우 거창하다. 당장 벌어지고 있는 핵무기 관련 이야기가 나올 것 같다. 하지만 그렇지는 않다. 노란 색깔의 가볍고 핵을 상징하는 마크가 크고 작게 표지에 나타나 있다.
작은 제목을 한번 보자. “우리가 알아야 할 핵에 대한 모든 것”. 바로 이 책이 지향하는 내용이다. 책은 지식의 비타민 시리즈 6권인데, 이 책은 다소 무겁고 어려워 보이는 소재를 쉽고 재미나게 쓴 책이다. 비타민처럼 쉽고 간단하게 먹어서 생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그런 책이 아닌가 생각한다. 출판사의 출판의도는 성실히 따른 결과물이라 보여진다.
서론은 이제 그만 두고 본론으로 들어가려한다.
지난 정권이후 우리는 북한과 국가안보에 대해서 크게 달라짐을 느끼며 살고 있다. 과거와 확실히 다르다. 지난 MB 정부 이전까지 우리는 핵에 대해서 알지 못했다. 알 필요도 없었다. 또한 북한이 지금과 같이 광분하여 날뛴 적도 없다. 그 사이 북한의 김일성도 죽고 그 아들 김정일도 죽었다. 둘다 미라처럼 방부제 처리가 되어 어딘가에 있다고 한다. 지금의 김정은은 김정일의 아들로 겨우 20대이다. 그냥 아는 것이라고는 이대로 가면 죽는다는 것은 아는 것 같다. 어떻게 살아남을까 하는 명제에서 핵을 답으로 선택한 상황이다.
이 책은 역사상 최초 등장한 리틀보이(2차대전시 일본에 투여된 원폭)의 탄생 비화부터 현재 북한의 핵무기를 통한 생존전략 등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몇가지 책속의 이야기들을 소개해 보겠다. 아인슈타인은 최초의 원폭과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대략 들은 것이 많은 사람들은 분명 관련성이 있음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가 원폭을 개발했었을까? 아니다. 이 책이 그 일화를 정확히 이야기하고 있다.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연속적인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면 엄청난 무기가 가능하다는 이론을 접한 아인슈타인은 이러한 무기 연구를 독일보다 앞서 성과를 얻어야 한다는 편지에 서명을 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 편지를 직접 쓰지도 않았다. 이후 히로시마와 나카사키에 원폭을 투하했단 소식을 접한 아인슈타인은 내가 왜 아이에게 그토록 무서운 장난감을 줬던가란 후회를 했다고 한다.
이후 우리가 신문지상에서 여러번 듣게 되는 NPT와 IAEA에 대한 역사적 사실 및 관련 일화 등도 이 책에 소개된다. 참으로 재미나게 술술 읽을 수 있다. 다만 우라늄과 플로토늄과 관련한 원소의 번호라든지 어떻게 재처리하여 가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은 외우지 않는한 쉽게 기억하긴 어려운 내용이다. 딱 이 내용 외에는 이 책은 전혀 어렵지 않다.
그런데, 이 책이 이렇게 좋기만 한가 하면 아쉬운 점도 있다. 오탈자가 매우 많다. 뭔가 출판일을 맞추기 위해 탈고가 덜 된 책이 아닌가 쉽다. 문장이 중간 중간 끊어진다. 나왔던 글이 다시 나와 뭐가 잘못 되었는지 확인하게 된다. ^^; 이점이 너무도 아쉽다.
하지만, 이 책은 탈고만 제대로 거친다면 아주 훌륭한 책이 되지 않을까 싶다. 책의 전반은 핵에 대한 세계역사가 소개되고 나머지는 우리나라 정세와 관련한 북한 이야기들이 소개된다. 핵 뿐만 아니라 북한의 의도와 화학무기,생화학무기 까지 설명되어 오늘을 살아가는 분단 국민의 정확한 현실 인식에 큰 도움을 준다.
중국은 소련이 핵우산을 제공하지 않을 것 같아 핵무기를 개발했고, 인도는 중국이 무서워, 파키스탄은 그런 인도가 무서워, 이란은 이라크가 무섭고, 석유가 고갈된 이후를 걱정해서, 북한은 김정은 세습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인데, 우리는 미국만 믿으면 되는 것일까? 이 책의 결론이 아닐까 싶다. 각자의 생각은 어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