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웬디 미첼 지음, 조진경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10월
평점 :
현대 사회에 들어 암보다 더 두려움을 갖는 질병이 치매라는 사실을 우리는 의식한다.
치매를 앓고 있지 않는 그저 치매에 막연한 두려움을 느끼거나, 치매를 앓는 사람이거나, 치매 환자를 돌보는 사람들이 필요한것은 치매에 대한 좀 더 농밀한 기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불치의 병이라 하지만 인간의 적응성이나 수용성에 빚대어 본다면 치매가 있어도 좋은 삶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음 또한 좋은 삶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판단이 들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도 연구 중이지만 치매에 대해 사회나 가족이나 환자나 알고 있거나 알 수 있는것들이 너무나 부족하다는 사실은 변함없는 현실의 문제이다.
58세의 나이에 조기 치매 진단을 받은 저자가 치매 활동가로의 삶을 살게 되기까지의 삶에 대한 기록을 담은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은 연구자 중심이 아닌 실질적인 치매환자가 치매에 대해 들려주며 치매가 있어도 좋은 삶에 대해 이야기 하는 책이다.
대다수 치매 환자들은 간병인 없이 살 수 없는 중증의 치매를 보이기에 오랜 세월을 살아갈 수 없는 현실을 갖고 있지만 저자는 간병인 없이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며 7년이 흐른 뒤 까지도 온전히 정상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치매 환자를 본 사람들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삶의 전반이 바뀌어야 한다는 사실을, 그렇지 않다면 적절한 대응이 되지 않으며 불편한 삶으로 인해 더 빨리 치매의 중증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치매 진단 이후의 많은 변화를 두려워 해야 할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변화로 생각하며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 및 가족들의 지원이 꼭 필요하다.
치매는 인지에 대한 불가능을 보여주는 병이다.
그러하므로 모든걸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를 시사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음식이 있는지 없는지, 뜨거운지 차가운지 등 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인지, 인식의 기능을 하지 못하기에 자칫 커다란 내, 외적 상처를 입을 수도 있는 현실이다.
감각의 왜곡과 인식불가능에 대한 정도를 이해하는 것 만으로도 우리는 치매 환자에 대해 조금은 이해 할 수 있고 대응할 수 있으리라는 판단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치매 환자가 처음부터 중증화 되는건 아니기에 치매 진단을 받았을 때 부터 의사와의 협력, 가족간의 대응 및 자신의 마음가짐에 따라 치매가 있어도 삶은 여전히 즐거울 수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되는 수준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치매 환자의 증상은 개개인의 문제에 따라 그 증상의 변화가 다르며 아직 그러한 부분에 까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음이 안타까운 현실이라 저자는 말한다.
사회적 차원에서, 국가적 차원에서 치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
특정인이 아닌 불특정 다수의 삶이 해당 될 수도 있는 치매에 대한 지원이 각각 개인의 치매를 이겨 내고자 하는 마음과 결합해 치매를 안고서라도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해결해 낼 수 있는 삶의 원동력이 될 수도 있음을 간과하면 안되겠다.
치매를 앓고 있는 개인의 삶 역시도 삶이다. 육신만 남은 쓰레기, 껍데기 등으로 치부하는 일은 사회적 낙인이자 인간에 대한 포기를 선언하는 일과 같다.
어떤 상황 아래 있는 인간의 조건이라도 삶의 일환이라는 사실을 기억하고 그들의 삶을 위해 도움의 손길을 펼칠 수 있는 사회적, 구조적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나 아닌 이라 생각할 치매가 아닌, 나 역시도 라고 생각해야 할 치매에 대해 이젠 사회적인 공론화의 대상으로 끌어 내 치매에 대한 모든것을 대중에게 알리고 그들이 치매 환자들과 함께 하는 삶을 어떻게 만들어 나갈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열린 사회로의 기능을 구축하는 길이 좀 더 인간에 대한 인간다운 삶을 보이는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전해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