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학의 시간 - 세상에 없던 새로운 기회를 선취하는 디지털 대전환기
이순석 지음 / 청림출판 / 2022년 9월
평점 :
이 시대를 이르는 말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기술과 과학의 시대니 정보화의 시대니 하는 등의 시대를 이르는 말들이 보여주는 표상을 우리는 시대적 산물들로 확인하며 살아가고 있다.
과학도 아니고 기술도 아닌 공학의 시대라니 공학? 어쩐지 살짝 생소함을 느끼는듯 한 감정이 든다.
공학은 ‘기술적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지만 좀 더 쉽게 말하자면 천연자원을 인간에 유용하게 변환시키기 위하여 자연과학적 원리와 방법을 응용하는 공업기술에 대한 학문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그런데 왜 기술이 아니고 공학의 시대라 말하는 걸까?
기술은 엄밀하게 말한다면 공학의 한 범주에 지나지 않는다. 하여 포괄적 범주로의 공학은 자연과학적 학문을 응용하는 다차원적 실제로 오늘 우리 사회를 구성하고 또 앞으로의 발전과 변화를 야기하는데 필수적일 수 밖에 없는 영향력을 미치기에 공학의 시간이라 지칭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도 된다.
세상은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지고 운용되고 있다 판단하는 저자의 통찰이 빛나보이는 이야기를 들어보려 책을 읽어본다.
이 책 '공학의 시간" 에서 저자는 공학의 의미를 건축물의 건축재 즉 유무형의 건축재와 같아 다양한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전략적 자산으로의 공학임을 제시한다.
하지만 기술과 과학의 번창으로 인해 공학의 쇠퇴한 느낌이 드는건 우리의 지적 가늠에 있어 활용의 부적절함에 기인하는 영향이라 할 수도 있다.
무언가의 범주를 논할 때 대부분 미시적 부분에 한정해 깊이 파고드는 외골수적 방향성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거시적 안목의 얼개가 반듯이 존재해야 미시적 채움의 빛을 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공학에 대한 의식, 인식의 부족함은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저자는 그런 공학의 부활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선두에 공학이 나서길 희망한다는 의미를 들려주며 오늘 우리 시대의 사회가 보여주는 디지털 혁명의 파고 속에 존재하는 메타버스처럼 현실과 가상, 아나로그적 존재의 물질세계와 디지털적 존재의 비물질 세계와의 연결고리에서 우리의 지난한 입장을 확고히 굳힐 수 있는 기회로의 공학적 데뷰가 미래 우리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확립시켜 줄 수있다고 판단하는 책이다.
저자는 그러한 새로운 세상을 열어 갈 수 있는 조건에 대한 공감대를 독자들과 함께 하고자 하는 희망에 부풀어 있다.
누군가의 의도로 만들어진 세상이기에 그러함을 이룰 수 있게 한 조건들을 파악하고 확보할 수 있다면 이제부터의 우리의 삶과 미래의 방향은 한 발 더 나아간 모습으로의 우리를 확인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을 갖게된다.
공학을 통해 세상을 움직이는 다양한 조건들을 확보하고 이해할 수 있다면 인류가 살아 온 그간의 세대 속에서 일으켜 온 시행착오에 대한 분별과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일이 될 것이다.
나아갈 방향을 알 수 있다는 것은 현재의 위치부터 시작해 자신이 가진 질서들을 파악하고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조건화해 낼 수 있다는 의미와 같다.
결과적으로는 지금까지의 세계와는 다른 새로운 판짜기로의 가능성을 항상 희망으로 염두에 두고 있는 공학이기에 세상을 만드는 당당한 주역으로의 나, 우리가 될 수 있는 일이며 이는 새로운 세계를 향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디지털 대전환기를 맞고 있는 우리의 역량을 현재와 미래를 잊는 가교를 만드는데 활용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공학은 인간인 우리에게 교두보이자 양날의 검이 될지 아닐지를 판가름 하게 되는 커다란 에젠다가 될 것이다.
**출판사 청림출판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