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엇이 대전환을 만들었는가 - 인구, 식량, 에너지, 경제, 환경으로 본 세계의 작동 원리
바츨라프 스밀 지음, 안유석 옮김 / 처음북스 / 2025년 8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류의 삶은 오래전 과거부터 시작해 오늘날의 삶의 시간 까지 많은 변화를 거쳐 왔다.
물론 크고 작은 변화들이 있어 왔지만 가장 획기적인 변화로의 대전환은 매우 빠른 속도로 전환되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 볼 수 있다.
과학, 기술의 발달이 경제의 발전과 또다른 부분으로 확장되어 대전환이 이루어 졌으리라 판단해 본다.
과연 나, 우리가 생각하는 인간의 대전환은 무엇에 의해 이뤄졌고 어떻게 이뤄져 왔는지를 이해하고 있는지 그러한 과정들이 어쩌면 이전보다 오늘 이후의 삶의 변화를 더욱 가속화 시키는 근본적 원인이 되지나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인류의 삶의 대전환에 중요한 변곡점이 된 다섯 가지 요인에 대해 설명하며 대전환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설득적으로 알려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무엇이 대전환을 만들었는가" 는 인구, 식량, 에너지, 경제, 환경이라는 다섯 가지 요소에 의해 우리의 삶이 과거 아날로그식 삶에서 디지털식의 삶으로까지 획기적으로 변화한 대전환 시대를 맞았다고 주장하는 환경과학자, 경제사학자, 사상가로 이름을 높인 바츨라프 스밀의 통찰적 시각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오늘날의 우리 삶의 주무대인 현실이 기술의 특이점으로 인한 장밋빛과 환경파괴,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인류의 멸망이라는 극단적 비관론 사이에 있다며 많은 사람들이 혼란을 느낄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사실 그러하다고 할 만 하다.
톡서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다양한 책들을 마주하지만 저자가 말하고 있는것 처럼 극단적인, 장밋빛으로 현실을 재단하는 수 많은 저자들이 존재하기에 독자뿐 아니라 현실을 살아가는 나, 우리 모두에게는 혼란스러움이 현실적인 딜레마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어느쪽이라도 우리에게는 변화를 태동하는 근원으로 작용하는 기회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저자는 통계분석의 대가로 알려져 있어 그의 저작에서는 대부분 단순 예측이 아니라 방대한 역사적 데이터와 통계를 기반으로 하는 내용들을 섭렵할 수 있어 저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준다.
저자가 말하는 다섯 가지 요소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 보아도 역사적으로 이해하는 한 인구, 식략, 에너지, 경제, 그리고 환경이라는 요소는 우리가 궁극적으로 꾀하고 있는 지속가능한 인간의 미래에 대한 가능성의 여부를 의심케 한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해 저자가 말하는 바에 의하면 '우리는 기술이 모든것을 해결해 줄 것' 이라는 사고를 갖고 있으며 그에 너무 의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실질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적 변화는 지지부진한것이 사실인데도, 서로의 눈치만을 보고 있는 격이라는 사실을 실감하게 된다.
저자는 자신이 주장하는 바를 충실히 이해하길 원한다.
극단적 비관론에 휩쌓이거나 장밋빛 낙관론에 휘말리지 안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올바르게 보고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주지하고 있다.
그러한 주장을 위해 저자는 자신이 주장하는 바를 냉정하고, 정량적인 데이터를 통해 우리기 이뤄온 성과를 들춰 내며 그 이면에 감춰진 현실의 그늘도 볼 수 있게 해주는가 하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우리가 성찰해야 할 지적 지도를 알려주기도 한다.
우리의 오늘은 심각한 기후변화의 영향력 아래서 고통받는 현실을 등한시 할 수 없다.
수 많은 학자들의 주장이 설혹 틀리더라도(기후변화에 의한 것이라는) 더이상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에 의한 인간의 지속가능성이 무너지는 것을 방치할 수 없다.
복잡한 세상을 좀 더 깊이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꿈꾼다면 저자가 주장하는 바를 이해하고 무엇을 어떻게 해 우리 삶의 변화를 이룰 것인지를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