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신, 우리 괴물 2 - 고전을 찢고 나온 괴물들 ㅣ 우리 신, 우리 괴물 2
송소라 지음 / 페이퍼타이거 / 2025년 9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간이기에 상상이라는 존재를 통해 많은 것들을 창조해 마지 않았다고 본다.
인간이 아닌 동물, 동물이 되어 보지 않아 모르겠지만 인간만이 상상력을 품고 상상을 통해 많은 것들을 만들고 이야기 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 기원이야 너무 오래되고 확인할 방법이 없거나 관련 자료나 증빙할 수 있는 사료들이 없어 명확히 있다 없다를 말하기 어렵지만 우리는 신과 신이 아닌 괴물들의 이름의 존재들과 삶을 함께 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오랜 과거부터 인간에게는 초자연적인 것들에 대해 신적인 의미를 부여했거나 상상속의 존재들을 현실적인 존재로 인식하거나 하는 혼돈?의 세계를 살아왔다고 해도 틀리지 않는다.
우리 신, 우리 괴물은 시리즈 물이다.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아쉽게도 2권만이 가까이 할 수 있어 기쁜 마음으로 접해 읽어볼 수 있었다.
이 책 "우리 신, 우리 괴물 2" 는 오늘날 회자되는 많은 상상속의 존재들로 치부할 수 있는 존재들에 대해 연구하고 추적해 밝힌 내용들을 전하고 있어 이 분야에 관심을 둔 많은 이들에게는 즐거움을 넘어 더 많은 상상력의 자산으로 삼을 수 있는 이야기들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자는 고전을 찢고 나온 괴물들이란 부제를 통해 신과 괴물, 귀신, 요괴 등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려 준다.
사실 명확한 정의를 할 수도 없었지만 관심도 없었을 뿐이었으나 이 기회를 통해 나름 분류와 정체성에 대한 명징한 지식을 알 수 있다.
천 만 영화 <파묘>는 우리의 눈과 귀에 보이고 들리지 않지만 무형의 존재, 악의 존재가 엄연히 실제함을 그려 놓은 영화로 이해할 수 있다.
영화를 통해 공포스러움과 두려움을 느낄 수도 있지만 그러한 현상들에 대해 갖는 왜? 라는 물음은 항상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하지만 그에 대한 대답을 속시원히 내릴 수 없는 현실이 우리를 더욱 짜릿하고 전율이 흐르는 세계 속으로 초대를 한다.
저자는 2권에서 괴물의 세계를 범주화하며 원귀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가 하면 한국의 괴물, 도깨비의 특별함을 드러내고 변신의 귀재인 요괴와 더 깊이 알아 보면 좋을 괴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 낸다.
이야기로만 끝난다면 독자와 우리는 이 책에서 손을 놓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저자는 그러한 우리의 게으른? 특성을 감안 해 이 책에 실린 신과 괴물들에 대한 원문, 혹은 근거가 되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어 관심이 있다면 필수적으로 한 번씩은 찾아 보아야 할 부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언제 우리가 삼국유사의 기이 편을 통해 신비스러운 이야기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며 한국인들의 정서에 드리운 구비문학의 체계와 종류 등을 만날 수 있을것인가 생각해 보면 이러한 계기가 아니고는 접할 수 없는 기회라 생각할 수 있다.
상상력의 소산으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한국인의 정신, 정서에 영향을 미친 대상들이라 생각해 보면 그 근원에 대한 이해를 갖는 일은 우리의 뿌리에 대한 이해를 더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날은 상상력이 돈이 되는 시대이며 상상력이 힘을 갖는 시대라 할 수 있다.
우리것이 최고라고 말할 수 있는 시대를 '케데헌' 이 열어가고 있듯이 우리 신, 우리 괴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이 필요한 시대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