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석가모니가 아들러를 만났을 때 - 금강경으로 배우는 마음 청소법
우뤄취안 지음, 하은지 옮김 / 이든서재 / 2025년 11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평소의 우리라면 삶과 인생을 종교적으로 귀의하기도 하거나 혹은 종교와는 무관하게 만들고자 할 것이다.
불교는 종교적 성향을 베외하더라도 반여심경과 금강경 같은 독송은 우리의 정신적 자아의 성숙을 위해 바람직한 권유의 상징물로 이해될 수 있다.
인간은 혼자이지만 혼자만의 삶을 살 수 없도록 되어 있는 존재라 공동체적 삶을 통해 나,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러한 공동체 속의 나, 우리라는 존재는 필수적으로 경쟁적 상황을 맞닥트리게 되고 온갖 물질적인 욕망에 시달리는 존재가 되고 만다.
반야심경과 금강경은 그러한 나, 우리의 정신적, 심리적 자유를 위한 욕망의 근절, 욕망의 컨트롤을 위해 비움의 철학을 깨달을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준다.
그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석가모니가 아들러를 만났을 때" 는 인간이 갖는 모든 고민은 바로 인간관의 관계에서 비롯되며 우리는 그러한 관계가 발생시키는 다양한 욕망의 노예가 되어 오늘을 살아가는가 하면 그러한 삶에 염증을 느끼고 새로운 나, 우리의 삶을 위해 변화를 꾀한다면 반야심경과 금강경의 내용을 통찰해 비움의 인생, 삶을 터득할 수 있도록 도움주는 책이다.
인간이 갖는 욕망은 오욕칠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 우리 자신의 본질을 망각한 채 물질욕을 비롯해 정신적, 심리적으로도 자꾸 채워 넣으려는 일에서 비롯된다.
차고 넘치는 일은 부족함만이 못하다고 한다.
하지만 오늘날의 사람들은 부족함 보다는 차고 넘치는 쪽으로 우리의 삶과 인생의 방향을 틀었다고 볼 수 있다.
과연 그러함이 만든 우리의 인생과 삶은 고스란히 백팔번뇌의 고통이 되어 나, 우리의 삶과 인생을 흔들어 댄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가 갖는 고통을 정의하며 그것을 끊어내는 단사번뇌를 설파하며 세상의 물욕에 어두운 나, 우리를 무아의 경지로 이끌어 가는 무아도생의 삶을 추천하며 보이는 것에 얽매이지 않고 베푸는 삶으로의 무상보시의 삶, 어디에도 머무르지 않는 무주생활과 수행을 통해 마음을 경건히 할 수 있는 무득이수의 삶을 구가하라고 주문한다.
이와 같은 다섯가지의 조건들은 우리를 욕망에 물든 존재를 벗어나 새로운 나, 우리만의 삶을 개척해 나가는데 유익한 도움을 준다.
인간은 태어날 떄 빈손으로 왔다가 죽음을 맞이할 때 빈손으로 간다.
그러한 사실은 반야심경과 금강경이 들려주는 비움의 철학과 맥을 같이 한다.
읽는 것만으로는 반야심경과 금강경이 어떻게 좋은지 수 쉽게 구분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읽고 써 보는 필사의 시간을 통해 문장과 철학적 사유를 곱씹어 볼 수 있다면 오래도록 우리 자신을 채찍질하는 회초리로 생각해 더욱 오랜 시간 기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모든것을 비워야 모든것을 채울 수 있다는 말씀'은 자꾸만 욕망의 덩어리가 되어가는 나, 우리를 파쇄하고 분해해 더 나은 나, 우리를 만드는데 일조한다.
나를 내려 놓는 연습, 우리의 욕망을 비워 내는 연습을 하는 일은 비로소 나 답게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이라 생각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일들이 마음먹기 달렸다는 노랫말 처럼 그러한 말이 허투루 나온 말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 비로소 나, 우리의 마음을 채운 욕망들을 덜어내고 비움의 공간을 마련해 새로움을 채울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으리라 판단해 보며 오래도록 지닌 욕망들을 비워내는 소중한 기회를 얻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