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회사만 다니다 인생 종쳤다 - 떠났을 뿐인데 수입 30배를 달성한 비결
나가쿠라 겐타 지음, 김진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5년 10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정말일까? 회사만 다니다 인생을 종친다는 말이...
아마도 이는 변화를 거부한 채 안이하고 평이한 삶을 구가하는 오늘의 나, 우리와 같은 이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한 의미는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지만 진짜 의미는 책을 읽어보기 전에는 알 수 없는 법이다.
어떤 의미이든 안정적인 직장을 갖기 위해 우리는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또한 그러한 직장과 더불어 우리의 일상적인 삶 역시 불안함 보다는 안정감이 있는 평화로운 일상, 삶을 많은 사람들이 누리길 바라 마지 않는다.
그런데 저자는 왜 그러함이 인생을 종치는 이유라고 꼬집었을까?
생각컨데 일상에서 느끼는 안일함과 무기력함이 우리를 변화에 나서지 않게 하는 원인이자 불행이나 악의 근원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자연은 안정가 평온함을 속성으로 하지 않는다.
변화와 불안함이 속성이라 볼 수 있는 자연에서, 자연인 속 인간의 삶을 살고 있는 우리로서는 새로운 변화를 추구해야 비로소 지속가능함을 구축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비약이 심하기는 하지만 저자의 변화에 대한 추종과 그러함이 나, 우리의 삶, 인생을 새롭게 거듭나게 한다는 깨달음을 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나는 회사만 다니다 인생 종쳤다" 는 안정과 평온, 무기력이라는 일상에 내 맡겨진 우리가 아니라 이동을 주 무기로 하는 상태로 만들어 우리가 꿈꾸는 일들을 달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함을 일깨워 준다.
인간은 오랜 과거부터 생존을 위해 다양한 이동을 해 왔던 존재이다.
하지만 현대에 있어서는 이동보다 정착이라는 방식을 더욱 선호해 본래의 이동성에 대한 DNA를 잊고 지내고 있다.
그렇다면 왜 '이동' 에 대해 강조하는지 알아야 한다.
이동은 환경에 큰 영향을 받는 인간 역시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역동적인 모습으로 성장 가도를 달릴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기에 그러하다고 한다.
저자는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바꿔야 비로소 인생과 삶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하며 그러한 측면에서 행동을 바꾸기 위해서는 환경부터 바꿔야 하며 환경을 바꾸는 가장 빠른 방법이 바로 이동을 통해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즉 이동은 불안을 싫어하는 나, 우리를 역동적으로 만들어 새로움에 적응하게 만드는 일을 하게 되며 우리의 다양한 능력을 키우는데 마중물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삶과 인생을 바꾸는 일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라고 본다.
흔히 하는 말로 '사람은 안변한다'고 하듯이 우리는 그 어떤 환경이나 조건으로도 변하지 않는 존재로 기억될 수 있겠지만 그러한 상황적 모습이 인간을 고스란히 대표하는 성격이라 말할 수는 없다.
우리의 삶과 인생을 바꾸고자 하는 이들은 저자의 강한 주장처럼 '이동'이라는 선택지를 통해우리가 바라고 원하는 소기의 목적들을 달성할 수도 있을지 모른다.
경제적 자유를 원하면서도 직장에만 숨어 지내듯 한다면 결단코 부자가 되거나 변화를 수용, 받아들이는 일을 등한시 하게 될 것이다.
우리의 인생은 '이동' 했기에 달라진 것이 아니다고 했다.
삶과 인생의 변화를 구축하는 이동은 우리에게 다양함에 대한 선택지를 늘리는것으로, 늘리는 조건으로 작용될 수 있다.
그러한 조건들을 충족하기 위한 30가지 액션 플랜의 제공은 가득이나 귀차니즘에 빠져 있는 오늘날의 나, 우리에게 변화를 의식하지만 당위적인 이동을 꾀하게 한다.
일상이 무력하고 단조로우면 우리는 매너리즘에 빠져 우울한 나, 우리 자신을 만든다.
작은 기회라도 이동을 수시로 경험함으로써 더 많은 기회를 선택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보길 권유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