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2 - 한순구의 게임이론으로 읽는 역사 : 리더십편 ㅣ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2
한순구 지음 / 삼성글로벌리서치 / 2025년 10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간의 삶의 변화는 필연적이면서도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성향 때문에 늘 저항에 부딪히곤 한다.
그래서 인간의 역사는 수 많은 변화와 저항의 전쟁터로 이해할 수도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과거 인간이 가진 고민들은 오늘 해결 되었는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는 듯 하다.
더구나 오늘날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리더들의 고민은 탁월한 멘토가 있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외면하기에는 리더로의 자격을 의심케 하는 일들이 허다하다.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나,우리를 이끌어 줄 역사 속 인물들의 이야기들을 통해 실패와 성공의 간극을 오가는 전율을 느끼며 자신의 선택을 합리적으로 만들어 줄 기회를 얻을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그런 문제들을 역사와 게임 이론에서 찾아 접목해 보고자 한 저자의 책이 있어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2"는 익히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유비, 도쿠가와 이에야스, J. P. 모건, 이순신, 알렉산드로스 대왕, 주몽, 그리고 정도전과 이방원까지 고독한 결단의 순간을 마주한 이들이 어떤 선택을 했고 그 선택이 어떻게 운명을 가르고 역사가 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데 게임 이론을 적용해 상식적인 서사를 넘어서는 내용을 알려주는 책이다.
삼국지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를 경제적 시각이나 게임시각 처럼 담합으로 보는 일은 조금은 불편한 시선이지만 납득하지 못할 수준은 아니며 오히려 그러한 시각으로 삼국지를 톺아 볼 때 새로운 삼국지를 열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결과적으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리더들이 갖추어야 하는 리더십의 본질에 좀 더 깊이 있게 다가가고자 하는 의미를 읽을 수 있다.
다양한 인물들의 26가지 이야기가 펼쳐지는 가운데 오늘의 리더들이 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라는 조건들을 통해 그틀이 이룬 성공과 실패의 장을 지금의 나, 우리라면 어떻게 할까? 할 수 있을까를 십분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그러한 과정을 간접적으로 경험해 보면 마치 나, 우리 자신이 역사적 인물인 리더들이 된 양 기시감과 함께 과거와 현실을 아우르는 통찰적 시각으로 문제를 대하게 됨을 느끼게 한다.
새로운 경험이자 리더십에 대해 재미를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도 같다.
오늘을 이끌고 있는 리더들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그 옛날의 유비, 도쿠카와 이에야스, 이순신의 선택과 결단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선택에 따른 결과의 책임은 리더라면 당연히 져야 하지만 합리적 명분과 이해, 지지와 수용이라는 조직원들의 새로운 변화도 이끌어 낼 수 있는 가능성도 만들수 있다.
인간은 보편적으로 불안함을 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딘.
또한 안전한 상태를 지속하고자 하는 항상성도 가지고 있지만 그러한 경향만을 고집한다면 우리에게 미래라는 변화의 물결은 도달하지 못할 파도가 될 수도 있다.
현재의 상황을 읽고 유연하게 위험에 대처할 줄 아는 감각이야말로 불확실성이 높은 시대에 조직을 이끄는 리더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불확실성은 우리의 피를 들 끓게하는 윈동력으로 삼아 새로운 지평을 열어 나갈 기회로 삼는 리더들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