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혁명 - 바스티유의 포성에서 나폴레옹까지 ㅣ 북캠퍼스 지식 포디움 시리즈 5
한스울리히 타머 지음, 나종석 옮김 / 북캠퍼스 / 2025년 8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흔히 우리는 사회적, 국가적 변화를 꾀하면서 보수와 진보라는 사상적 범주로 표현한다.
하지만 진보와 보수라는 이념적 범주 이전에 우리는 오랜 시간 구시대적인 삶에서 항상 변화를 꿈꾸며 살아 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한 변화들이 돌출구가 되어 새로운 시대를 열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온 과정들이 인류사에는 많다.
단적인 예를 들어 보자면 '프랑스 혁명'과 같은 예라 할 수 있다.
과거 유럽은 앙시엥 레짐이라는 구체제(舊體制) 또는 구제도(舊制度)로 설명되는 사회, 국가적 요구를 넘어서는 혁명의 기폭제로 경제와 사회 구조의 변동, 정치와 행정의 집중화된 요인들이 결집되 혁명의 도화선이 된 프랑스 혁명이 오늘날의 우리 사회, 국가의 근대화에 미친 영향력뿐만 아니라 기폭적 역할을 했던 요인들에 대한 이해의 과정이 필요하다.
오래전 프랑스 혁명이라 오늘날의 삶과는 무관한 일이라 생각할 수도 있는 일이겠지만 여전히 프랑스 혁명의 가치와 의미는 우리 삶의 근본을 이루는 토대에 녹아 있다.
이전의 프랑스 혁명에 대한 이해가 정치적 수사에 그친 방향성을 담았다면 헌법의 발전, 지배의 정당화 방식, 인권과 시민권 선언, 민주적 정치 문화의 창립행사, 새로운 정치적 대변과 통합 형태의 기회라는 측면을 부여한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프랑스 혁명"은 앙시앵 레짐의 위기 요인들이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구조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것이 절대왕정의 재정위기와 왕권강화에 대해 심각한 부담이 되었으며 그러한 앙시엥 레짐의 구조와 변동을 이해하고 혁명에 대한 문화적 기원으로의 서사를 담아 독자들의 프랑스 혁명에 대한 지적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책이다.
저자는 바스티유의 포성에서 부터 나폴레옹의 등장까지 약 10년 이란 기간의 격변의 시간들을 조명해 낸다.
인류의 역사를 살펴 보면 알수 있는 일이지만 거의 모든 혁명은 인간 삶의 욕구를 담아내고 있어 "빵과 자유' 라는 커다란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한다.
혁명이 어디 말로만, 글로만 이뤄지는 혁명이던가?
목숨을 내 걸고 하는 혁명이자 수 많은 폭력과 혼란이 혁명의 목적을 위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저자가 구성으로 보여주는 앙시엥 레짐의 위기, 세가지 사건, 두 번 째 혁명, 부유하는 혁명, 혁명의 정치, 혁명의 문화, 혁명이 끝나다는 과정은 온전히 프랑스 혁명에 대한 통찰적 시각을 갖게 하는게 유익하다.
근대 시대를 여는 프랑스 혁명의 모든것을 통찰하는 지식을 얻는데 허투루 이해하고 넘길 수는 없다.
이러한 프랑스 혁명에 대한 이해는 오늘날의 우리 사회 변화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을 꼬집어 반성의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해 준다.
현실의 상황들이 마치 앙시엥 레짐을 연상시키는 사회, 국가가 아닌가 하는 의문을 스스로 던지고 답해 볼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과거와 오늘의 사회, 국가는 많이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어 비교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 생각할 수 있다.
모든 혁명의 순간들은 더 나은 인간의 삶을 위한 욕망의 전차로 이해할 수 있다.
저자는 프랑스 혁명에 대한 이야기를 담으며 프랑스 혁명에만 촛점을 맞춘것이 아니다.
우리의 현실적인 상황을 되돌아 살펴보며 변화에 대한 타당성과 합리적 변화를 꾀해야 함을 추구하며 자유를 향해 갈구하는 나, 우리의 외침을 프랑스 혁명사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의미를 읽을 수 있으면 좋겠다.
프랑스 혁명은 국가 체제, 시대의 전환점이 되는 변화의 혁명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의 나, 우리가 맞고 있는 사회적, 국가적 전환점으로의 시대 변화 역시 프랑스 혁명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면 과연 나, 우리는 어떤 혁명적 사유와 행위를 할 수 있을지 판단해 보아야 한다.
앙시엥 레짐만을 외치는 보수가 될 것인가? 새로운 시대를 여는 진보적 혁명가로의 기치를 드높일 것인가의 문제는 여전히 나, 우리 자신의 의사에 맞길 수 밖에 없지만 우리를 둘러 싼 사회적, 국가적 현실을 보다 명확히 판단,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판단, 도출해 낼 수 있다면 지금이 바로 우리에게는 프랑스 혁명과 같은 거사를 이룰 시기가 아닐까 하는 기대감을 가져보게 된다.
표면적 프랑스 혁명이 아닌 현실과 비교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프랑스 혁명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 흡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