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는 사람은 바보가 아니다 - 동네 의사 30년의 결론
나가오 가즈히로 지음, 박현아 옮김 / 지상사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요즘 같이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에 걷는 사람은 바보가 아니라고 외친들 그 누가 믿어 주기나 할까 싶지만 이는 현대인의 삶에 근본적인 영향인자로서의 걷기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라 해도 틀리지 않다.

물론 젊은이들에게는 걷기보다 러닝이 더 효과적이라 생각할 수도 있으나 모든 사람이 다 러닝이 건강상 적합하다 말할 수 없고 보면 근원적으로 걷기는 우리의 건강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노화는 나이를 가리지 않고 찾아온다.

노화가 되면 인간은 불편함을 공기처럼 껴 안고 살아야 한다.

그러한 삶이 대다수 노인들의 삶이고 보면 아무리 100세 시대를, 그 이상의 수명을 얻는다 해도 건강하지 못한 몸으로 오래 사는 일은 행복이 아닌 고통을 친구로 삼아 사는 일과도 같다.

바쁘게 살아가는 나, 우리이기에 잠시 건강에 대한 의식을 내려 놓거나 잊어버리고 사는 경우가 많다.

걷기는 인간이 자유롭게 건강을 지키거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고의 운동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야기, 걷기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며 걷기에 대한 편견을 가진 나, 우리의 의식을 바꿔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걷는 사람은 바보가 아니다"는 현대인의 삶에서 걷기의 유용성을 간과하고 있는 경향들을 소개하며 그러한 사례들이 최근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고 무서워하는 치매발병과도 관련이 있음을 주장하며 걷기를 통해 노화현상의 근육감소와 질병과의 상관관계 등을 밝혀 우리의 의식을 개선 걷기에 나서도록 꾀하고자 하는 책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걷기에 대해 잘못된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걷기로 운동이 되려면 1~2시간을 걸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니 바쁜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1~2시간의 걷기를 위한 시간을 만드는 일은 낭비처럼 여겨질 뿐이다.

지금 당장은 젊다 생각해 서 있거나 걷기 보다 앉아 생활하는 시간을 선호하지만 그러한 상황이 어떤 결과를 만들어 내는지 저자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으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더구나 저자는 의료인으로 2,500여 명의 사람들을 치료, 치유 시키면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근본적인 걷기에 대한 인식 개선과 실천 방법에 대해 알려주고 있어 그간 우리가 걷기에 대해 알고 있던 고정관념적 의식들을 털어내고 새로운 의식으로의 걷기와 실천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틈틈히 걸을 수 있는 방법을 찾으라는 저자의 주문이 그저 허투루 들리지 않는 나이기에 지금까지 하지 않았던, 할 수 없었던 걷기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가져 본다.



치매는 세계 최장수국의 명예를 얻은 일본에서도 심각한 사회현상임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본처럼 한국인 역시 초고령화 되어가는 사회가 되고 있음에 늘어가는 걱정에 한숨만 늘어 나지만 여전히 우리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꿈꾼다.

꿈은 이뤄야  비로소 행복함을 느끼지만 꿈으로만 끝단다면 커다란 아쉬움이 남을것이 분명하다.

지금처럼 운동과 건강을 등한시 하는 상황이 지속 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프레일티'가 될 가능성이 높다.

프레일티는 거동하지 못하고 누워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데 그러한 불행을 막는 최고의 약이 바로 걷기임을 자각해야 한다.

가슴을 앞으로 내밀며 배를 당기고 머리를 위에서 잡아당기는 듯한 자세로 자유롭게 걷기를 하라고, 시간과 속도와 거리를 상관하지 않고 오로지 걷기에만 몰두해도 전신 운동으로의 걷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음을 알려준다.

예전과 같지 않음을 느끼는 나이라면 이제 걷기를 실천할 때가 왔음을 깨닫고 실생활에서 실천하는 걷기 현명한 선택으로 나, 우리의 노후 건강한 삶을 만들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