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길 것인가 준비할 것인가 - 돈 걱정없는 노후를 위한 7단계 준비
백승호 지음 / 새로운제안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딜레마적 상황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나, 우리 자신이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알 수 있다.

무슨 말인지 궁금할 수도 있다.

바로 나, 우리의 삶과 관련된 문제라 할 수 있다.

노년의 삶에 대한 문제이기에 닥쳐서 고민할 때는 이미 늦어 불편한 삶, 인생을 살아야 할 지도 모른다.

지금 자신의 위치를 생각하면 200만원의 가치가 그리 크지 않을 수도 있다.

워낙 현시대의 근로소득 임금들이 높다보니 200만원 쯤이야 아무것도 아닌것 처럼 느껴질 수 있음을 저자 역시 경고하고 있다.

문제는 고임금이든 저임금이든 월급이 계속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며 나, 우리는 그러한 때를 위해 과연 지금 무엇을 생각하고 해야 하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40대 파이어족을 꿈꾸는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임과 동시에 오래도록 경제적 여력을 가질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야 함을 일깨워 준다.

지금 당장의 문제, 앞만 볼것이 아닌 미래의 나, 우리의 삶, 인생을 위해 즐길 것인가 준비할 것인가의 질문으로 변화를 촉구하는 책이 있어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즐길 것인가 준비할 것인가" 는 현재의 상황대로라면 우리 모두의 노후는 그리 밝지 못함을 일깨우며 사회적으로 보편화된 '파이어족'에 대한 경각심을 제시, 지금부터 미래 우리의 노후에 대한 삶을 현명하게 선택하도록 돕는 책이다.

누구나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즐기고 싶은것은 사실이나 현실적으로 부합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선택은 달라질 수 있다.

부모님으로 부터 물려받은 재산이 많은것도 복이지만 대다수 사람들은 스스로 삶을 개척해야 하는 현실이기에 녹록치 않은 현실의 무게감을 버티며 즐김을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것으로 생각해 본다.

저자는 그런 우리 대다수의 사람들의 노후에 대한 걱정과 염려를 불안한 마음으로 두기 보다 지금 부터라도 차근차근 준비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준비된 자의 여유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의 노후의 삶 역시 준비만이 여유로운 노후를 맞이할 수 있음을 깨우쳐 주기에 지금의 나, 우리의 사고가 '즐김'으로 치우쳐 있다면 저자의 설명과 주장에 따라 변화를 꾀해 보는 일도 바람직하다 하겠다.

저자는 우리 개인이 가질 수 있는 거의 모든 자산에 대해 포괄적이고 상세한 설명으로 자산 준비에 대한 안내를 하고 있다.

더불어 수 많은 도표, 데이터 기반의 이미지 들을 통해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어 월등히 오래 기억 속에 자리하게 한다.

우리의 삶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어제의 200만 원이 오늘, 내일의 200만 원과 같은 가치가 있다 생각할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음에 그 어떤 지식, 상식 보다도 미래 나, 우리의 삶에 관한 지식이나 상식, 지혜등이 오늘 우리에게 선택받고 더욱 가치있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베이비 부머 세대에 속한 900만 명의 은퇴가 이뤄지고 있는 지금, 당사자인 나, 우리는 저자의 밀도 높은 분석과 해법을 적용해 과연 바라마지 않는 노후의 삶을 살 수 있을것인가 하는 걱정스러움이 앞선다.

그 결과는 나, 우리 스스로의 현재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한다.

변화 역시 그러한 현재 나, 우리의 상태를 깊이 있게 분석, 이해할 때 비로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관심과 실행으로의 선택을 할 것이다.

저자의 주장은 명확하다.

파이어족으로 보다 빨리 늙는것 보다 일 조차도 건강과 삶에 여유를 주는 존재로 나아가야 함을 생각하면 젊디 젊은 시절의 지금 나, 우리의 생각과 미래에 대한 사고를 바꾸어 충실한 준비태세를 갖추는데 매진해야 함을 깨닫게 된다.

그 시간들이 결코 헛된 시간이 되지 잃을것 임을 확인하게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