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봇 - 로봇시대, 세상의 변화를 스스로 주도하는 법
김영재 지음 / Mid(엠아이디)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간과 AI, 로봇이 공생하며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은 오늘의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현실속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어쩌면 우리는 인공지능 AI가 인간의 삶을 어떻게 변화 시키고자 하는지에 대해 두려움과 설램을 갖고 있지만 명확히 그 결과가 어떨지는 아무도 예상할 수 없는 미지수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 AI 는 사람과 어떻게 다르고 무엇이 다른데 인간의 삶을 위협하기도 하고 바꿀 수 있는 체인저 역할을 한다 할 수 있을까?

고맥락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는 달리 인공지능 AI와 로봇은 저맥락 언어를 사용한다.

저맥락 언어는 언어가 가진 뜻과 의미가 거의 정해져 있어 혼동이나 실수를 할 수 있는 경우가 없는 언어라 할 수 있어 수학공식, 통신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소스코드 등과 같은 언어로 이해할 수 있다.

인공지능 AI 가 인간의 삶을 변화시키고 종국에는 인간마저 위험에 빠트릴 것이라 염려하는 이면에서 우리는 저맥락 언어를 사용하는 인공지능 AI와 로봇이 어떻게 고맥락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성이 있다.

그 내용을 담아 어떻게 로봇이 사라보다 과하ㄱ 기술을 더욱 빨리 발전시키고 그 결과 사회는 어떤 변화를 겪게 될지를 설명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AI + 로봇" 은 인공지능 AI가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 해석에는 언어라는 인간과 인공지능이 사용하는 채계가 존재하며 인간과는 달리 저맥락을 사용하고 있는 인공지능 AI의 있는 그대로의 언어 해석법은 언어에 다양한 의미와 중의성을 부여하는 고맥락 체계의 언어와는 차원이 다르게 빠른 속도와 효율성을 두드러지게 나타낸다.

어렵게 생각하기 보다 인간이 쉽게 할 수 없는 계산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거의 모든 문제를 풀어 낼 수 있는 상황을 생각하면 가장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은 가까운 지인에게 '밥 한번 먹자' 라는 말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두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 인간에 비해 저맥락 언어를 사용하는 인공지능 AI가 가진 힘은 효율적 의사소통과 진실을 외면치 않으며 있는 그대로 사물을 바라보는 비파사나에 최적화 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 인공지능 AI에 추론의 기능이 더해져 이제는 사람들이 하는 생각이나 사유처럼 고맥락적 의사소통을 하기 시작하게 되면서 우리는 인간이 가진 고유의 특징적인 부분들에서 조차 인공지능 AI와 로봇에 우리의 자리를 내어 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한 사실을 알고 느끼는 사람이라면 인공지능 AI를 어떻게 활용해 로봇에 적용할지를 고민하게 될 것이다.

인간으로의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아내지 못하는 이들에게 인공지능 AI 와 로봇의 결합이 만들어 내는 인간에 필적하는 존재로 거듭나게 된다면 이제는 정말 우리의 미래를 걱정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슬그머니 갖게 된다.



저자는 로봇이 세상을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AI 역시 정의로운가에 대한 철학적 사유로의 문제를 고찰한다.

세계적인 바둑기사나 체스 챔피언들을 격파한 인공지능 AI, 우리는 그 존재를 천재라 부를 수 있는걸까?

저자는 AI+로봇 시대를 위한 자기계발을 강조한다.

나, 우리라는 존재의 자아는 인공지능 AI와 로봇이 따라할 수 없는 대체 불가의 존재이다.

그러한 부분을 통해 우리 자신의 주도적인 자기계발을 시행하고 로봇으로 대체될 인간이 아닌 로봇이 하지 못하는, 로봇을 대체할 수 있는 인간으로의 역할을 주문하고 있다.

AI + 로봇 시대를 맞이한 인간의 새로운 생각법으로 나, 우리 자신의 삶의 변화를 스스로 주도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길 고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