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상의 모든 순간이 화학으로 빛난다면 - 원자 단위로 보는 과학과 예술의 결
데보라 가르시아 베요 지음, 강민지 옮김 / 미래의창 / 2025년 7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오늘날의 우리는 물질적 환경에 둘러 쌓여 살고 있다.
그러한 물질들은 우리가 중, 고등학교 때 배웠던 '화학'을 기반으로 한다.
물론 제조된 물질이 있는가 하면 원천적인 원소로의 화학도 존재한다.
우리의 일상 모든 것들을 둘러 보면 화학을 기반으로 하지 않은 것들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화학은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마치 공기가 있어도 의식치 못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복잡한 수식과 기호로 이뤄진 화학을 생각하면 머리가 아플지 모르지만 꼭 그러한 방법으로 화학을 이해하고 배워야 할 필요는 없다.
세상의 모든 것들의 근본이 화학이라 생각하면 멀리도 아닌 우리의 일상의 모든 순간들이 화학으로 이뤄진 시공간임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순간들을 스토리 텔링으로 보다 쉽게 화학에 대해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일상의 모든 순간이 화학으로 빛난다면" 은 어쩌면 이런 이야기는 화학자가 할 법한 이야기라 생각할 수 있지만 전혀 의외의 인물인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에서 재료과학을 가르치는 화학공학자인 저자가 예술과 화학을 버무려 독자들의 화학에 대한 고착적인 인식을 깨트리고 재미있는 화학, 예술과 궁합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책이다.
세상의 모든 물질들은 재료로 활용된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고 인식하는 태도에 따라 재료가 물질인지 아닌지를 달리 생각할 수 있다.
저자는 재료는 물질이 아니라고 하며 시대의 감각이고, 감정의 껍질이며, 한 사람의 선택과 세계관이 담기 언어라고 지칭한다.
즉 물리적 존재로서의 본연의 가치를 말하기 보다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며 의미를 부여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다각적 의미를 말하고 있다.
어쩌면 이러한 방향성이나 정체성은 시인이 단어를 조탁해 시를 짖는 일과 비슷할 지도 모른다.
같은 시어라도 부여하는 의미에 따라 전해지는 시의 서사가 달라질 수 있음은 시를 읽고 사유해 본 이들이라면 확연히 알 수 있는 일이다.
그러한 측면으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을 화학으로 연주할 수 있다면 화학은 그야말로 빛나는 존재가 아닐 수 없다.
과학과 예술의 결합, 쉽게 이해가 안될 수도 있지만 예술적 대상을 과학적 분석 또는 과학적 제조와 그에 관련된 스토리들로 엮어 낸 수 많은 이야기들이 우리를 이야기 속으로 흠뻑 빠지게 한다.
특히 나는 립스틱 이야기에 놀라움을 금하지 못했다.
'립스틱을 바르는 엄마' 편에서는 화장, 머리 스타일, 하이힐은 과거 남성의 전유물이었다 여성에게 전가된 것이라는 사실에 설마? 라는 의문을 가졌지만 저자의 폭넓은 지식을 통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이야기들임을 이해하게 되었다.
어쩌면 모든 물질은 권력적이고 유혹적인 존재일지도 모른다.
그러한 것들이 화학적으로 얼마나 희소성을 띠고 있느냐에 따라 우리는 가치를 새롭게 매기고 신분적 지위와 연결지우는 인간사회의 권력, 명예, 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저자가 들려주는 무수히 많은 화학적 스토리들이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것들을 새롭게 보고 인식하며 수용하게 하는 새로운 기회가 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