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정신철학 입문 - 개념과 쟁점 북캠퍼스 지식 포디움 시리즈 4
알베르트 네벤 지음, 김하락 옮김 / 북캠퍼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간의 특징은 정신에 있다고 한다. 즉, 정신현상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임을 생각하면 우리는 그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이 있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인간은 정신현상을 내제하고 있는 뇌를 소우하고 있으며 뇌가 가진 정신의 다양한 현상들을 통찰해야 한다.

의식, 정서, 자유의지, 본성 등 우리가 쉽게 알수 없는 것들에 대한 질문들을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보다 오늘 사는 정신적이고 철학적인 사유의 확장을 꾀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의 정신의 특징과 정신현상이 도대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일은 우리를 보다 이성적으로 인지하고 판단하는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인간의 정신세계가 철학과 과학으로 풀어 내야 할 사유의 지대라면 그 사유의 지대를 체계적으로 탐구할 수 있게 도와 주는 저자의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현대 정신철학 입문" 은 인간의 정신세계가 보이는 정신현상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

물론 그 기반은 저으기 철학적 이론이 중심이 되지만 의식, 정서, 자유의지 등과 같은 구체적 현상과 같은 분야를 최근의 연구 성과와 연결해 반영하고 소개한다.

철학을 기반으로 하기에 철학 전공자 뿐만 아니라 보통의 나, 우리와 같은 이들에게도 정신철학을 가깝게 하거나 관심 영역을 넓히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안성맞춤의 기회라 할 수 있다.

정신현상이란 명확히 무엇을 말함인가? 

그에 대한 물음의 답으로 저자는 다체로운 일상 경험의 한묶음이라고 지칭한다.

즉 지각, 감정, 고통, 소망, 신념, 희망, 생각, 기억 등 우리의 지각과 느낌과 사고를 형성하는 정신적 사건과 정신적 성향의 아우름을 말한다고 볼 수 있기에 정신적 현상은 그 다양성을 폭 넓게 이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저자는 정신적 사건 보다는 정신적 성향에 더욱 촛점을 맞추고자 한다.

정신이라는 일반적인 특질은 지향성, 체험적 성격 등에 따라 정신적 사건과 성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사유를 읽어볼 수 있다.



특히 정신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으로 심신 문제에 관한 주요 견해로 정신현상과 물질현상의 동일시를 주장하는 이원론과 현대 정신철학의 기본 개념의 핵심이 지향성임을 밝히는 가운데 현대 정신철학의 주요 적용분야에 대한 이해를 돞아 볼 수 있다.

그러한 정신현상으로의 사유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자유의지'에 대한 밀도 있는 분석과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의 정신에 관한 개념과 실증적 논리로의 개념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떤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아마도 삶에 치여 그러한 논의를 거부하거나 제외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도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사유하는 존재로의 '호모 사피엔스'를 가장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일은 인간의 정신에 대한 연구에 더더욱 깊이 몰입해 명확한 정리, 체계를 세우는 일이라 할 수도 있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정신 현상을 바탕으로 하는 정신철학에 대한 통찰을 통해 나, 우리의 사유가 존재하는 근원적 이해를 인지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인간에 대해 접근하는 철학과 과학이 풀어야 할 실증적 문제인 정신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서사를 즐겨봄도 이 뜨거운 여름을 잠시 식혀 줄 서늘한 바람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전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