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메이트북스 클래식 23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정영훈 엮음, 최기원 옮김 / 메이트북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을좋아하는사람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자유(自有), 오늘을 사는 나, 우리는 자기 삶이 자유를 누리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내 마음대로 사는것이 자유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쩌면 그것은 방종에 가까운 자유가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든다.

그럼 자유란 도대체 무엇이고 또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것인가? 하는 물음을 생각해 본적이 있는지 묻고 싶어 진다.

인간은 혼로 삶을 살 수 없는 사회적 존재이다.

그런 사회적 존재로의 삶이 자유를 누린다면 과연 어떤 자유가 되어야 할 것인가 대충은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가 싶다.

자유는 공리주의자로 알려진 존 스튜어트 밀이 주장한 자유에 기반하고 있다 생각하면 과히 틀리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너무도 흔한 말이지만 어쩌면 가장 오해하고 있는지도 모를 자유, 그 자유에 대해 존 스튜어트 밀이 주징한 자유론을 깊이 있게 만나 본다.



이 책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은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면서도 분명 나 답게 살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함을 깨닫게 하는데 우리가 생각하는 자유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통해 함께 사는 사회적 존재로의 자유를 고민하게 하는 책이다.

의식이 채 성장하지 못했던 어린시절 영어를 처음 배우기 전에는 되지도 않는 말을 쏟아 내었던 상황처럼 자유라는 개념도 어쩌면 우리가 지금 나 좋을 대로 사는 자유분방함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전혀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공리주의자 존 스튜어트 밀에 의하면 자유는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나, 우리의 삶은 자유롭다는 한정적 상황을 드러낸다.

그러한 한정적 상황 속에서의 자기 주도적 삶을 자유롭게 가질 수 있다는 말인데 오늘을 사는 나, 우리는 그러한 자유론에 대해 많이 착각하거나 오해하고 사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인간의 삶은 도덕,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제도적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삶이 하나의 모습으로만 생각할 수 없는 다의적이고 다층적인 존재감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일이다.

이른바 사회적 삶이라 지칭하며 개인이 사회적 존재로 삶을 살아가는 가운데 누리거나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자유의 침해에 관한 이야기들을 살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된다.

특히 정치와 대중은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가장 큰 권력이기도 하며 정치는 제도적으로, 대중은 심리적으로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고 제한하는 힘을 갖고 있음을 설명해 준다.



진정한 자유란 우리가 옳다고 믿는 방식으로 자신의 선(善)을 추구하려는 노력을 방해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그러한 자유를 제한하는 존재가 정부, 권력, 대중, 혹은 부모라 할지라도 나, 우리의 삶이 타자를 불편하게 하고 피해를 입히는 방식이 된다면 우리에게 자유는 제한 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않음에도 오늘날의 개인들의 자유는 상당히 억압받고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흔히 인간은 인간만의 특유함을 내세우는 경향이 강하다. 물론 이러한 자유를 논하는 일도 인간이기에 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무지와 감춰진 진실을 맹종하는 상태로의 자유를 말하는것은 하지 않는것 보다 못하다.

저자는 너무도 쉽게 말하는 자유에 대한 개념 정의부터 시작해 과연 어디까지 우리의 현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까지 폭 넓게 사유하고 있어 우리가 간과하고 있던 자유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만들어 준다.

고전이 주는 아름다움을 만끽해 볼 수 있는 자유론이자 공리주의자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에 대한 통찰이 놀랍기만 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