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억을 비울수록 뇌가 산다 - 뇌를 젊게 만드는 습관
이와다테 야스오 지음, 곽현아 옮김 / 이든서재 / 2025년 7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기억에 의존하는 경향이 무척이나 많다.
사회적으로나 인간적인 모습으로나 모두 기억에 의존한 채로의 과정과 결과를 우선시 하기에 그렇다고 볼 수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우리의 뇌가 가진 기억의 성향도 망각이라는 존재가 없었다면 기억 그자체로는 의미가 없을지도 모른다.
기억이 유효한 과정이 될 수 있는 건 불필요하고 쓸데 없는 기억들을 망각시켜 주기에 우리는 새로운 기억들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왜 우리는 망각을 터부시 하고 기억에만 의존하려 하는가? 하는 물음은 아직 우리가 뇌의 기능적 효용성을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뇌의 기능은 기억과 망각이라는 조합으로 운용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그런 뇌가 가진 기능으로의 기억을 비울 수록 우리의 뇌가 살 수 있음을 깨우쳐 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기억을 비울수록 뇌가 산다" 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망각, 어쩌면 기억에만 의존하는 우리의 인식을 망각이라는 존재로 바꿔 기억과 망각의 관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기억을 비울 수록 우리의 뇌가 더욱 활성화 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책이다.
하지만 우리는 일상적으로 인간의 거의 모든 일들을 기억에 의존해 과정과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러함에 우리가 기억에 더욱 심취할 수 밖에 없는 일이고 특히나 학업을 하는 학생들에게는 기억의 존재만큼 아쉽고도 필요한 것이 없을 것으로 안다.
기억을 잘하려면 기억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나 노하우가 필요하기도 하지만 인간의 뇌 역시 하나의 물리적 저장소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면 가득차면 비워야 하는 통과 같은 이치를 갖고 있어 무한정 기억만 할 수는 없는 일이다.
더우기 현대의 인간에게는 망각의 증상이 도를 넘어 치매로 까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을 생각하면 더더욱 우리는 망각에 대해 불편한 생각을 가질 수 밖에 없다.
건망증이 심해 지는 일을 두고 치매를 걱정하는 우리지만 그런 모든 일련의 과정들이 모두 기억과 망각과의 관계를 잘 알지 못하는데서 온다고 생각하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기억을 비워 내는 일로의 망각도 우리가 기억에 기대는 만큼의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저자는 28년간 뇌신경 외과 교수로 재직하며 신경외과 임상 기초 연구에 공로를 세웠다.
그런 저자의 망각에 대한 주장은 망각이 뇌의 진화라고 전한다.
망각이 뇌의 진화라고 하다니 뭔가 잘못 판단하고 있는것이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노화로 인한 망각은 신선한 자극으로의 정동이 줄어 들었기 떄문이라 말하며 이는 모든 인간이 갖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뇌는 자율적으로 기억과 망각의 과정을 갖지만 우리의 기억은 망각의 존재가 있기에 새로운 기억을 할 힘을 얻게 된다.
하지만 기억 가운데서도 절대 잊지 않는, 잊고 싶지 않은 기억들이 있을 수 있고 보면 그러한 기억을 만드는 방법들이 존재한다.
기억만이 우리에게 이로운 존재가 아니라 망각이 오히려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 힘이 됨을 이해할 수 있다.
결국 망각이 우리의 미래를 만든다고, 잘 잊어야 새로운 미래를 열수 있음을 알려주는 저자의 망각과 기억에 대한 통찰을 깊이 있게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는것도 우리가 기억에 의존하는 경향을 바꿔 줄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판단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