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턴 숲의 은둔자 캐드펠 수사 시리즈 14
엘리스 피터스 지음, 김훈 옮김 / 북하우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12세기 중세시대는 왕권의 엄함도 있었지만 그에 못지않게 종교의 막강한 힘도 무시할 수 없었던 시대였음을 우리는 이해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에 종교의 영향이 미친 막강함은 사회 모든 부분에 걸쳐 유지되는 근본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현대와 같은 시대라면 경찰이나 형사의 활약으로 인한 사건의 해결로 종말이 된다 하지만 중세 시대에 그러한 일들이 발생한다면 종교적 힘에 의한 영향력이 절대적인 모습으로 비춰지리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마치 이 책의 캐드펠 수사가 보여주는 서사처럼 인간의 삶이라는 모습이 투영되는 사회에서 우리는 사회적, 종교적 인간관계를 맺고 삶을 살기에 중세시대에 막강한 힘을 자랑했던 만큼 그 해결법에 있어서도 수사들의 힘이 작용했으리라 판단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책의 표지 사진들이 보여주는 부릅뜬 눈들애서 공포감을 느낄 수도 있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상상으로 추리하지 않고 관찰로서 해결해 나가고자 하는 수사들의 역할론에 무게를 둔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을것 같다.

그 작품 속으로 들어가 본다.



이 책 "캐드펠 수사 시리즈 14 에이턴 숲의 은둔자" 는 에이턴 숲 영주의 죽음으로 인해 상속자 리터드를 이용해 재산 증식을 꾀하려는 할머니의 욕망과 소년을 보호하려는 수도원 사이의 팽팽한 기싸움에서 시작된다.

과거나 현재나 인간을 탐욕에 물들이게 하는 것은 부에 대한 욕망이라 할 수 있다.

어쩌면 소설이 보여주는 영주의 어머니이자 손자의 할머니인 디오니지어 부인의 행위는 살아남기 위한 잔략으로 이해할 수도 있을지 모른다.

오늘날의 많은 인물들이 그와 같은 일들을 스스럼 없이 하고 있기에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쨋든 이는 부츼 축적 뿐만 아니라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의 정략결혼 등과 같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부분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런 와중에 손자인 소년이 죽은 시신츠로 발견 된다면 부인은 물론이거니와 그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는 충격적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캐드펠 수사가 사건에 관여하게 되면서 숲속에 은둔자로 살고 있는 커스레드와 히아신스가 등장하고 사건은 새로운 인물을 중심으로 두고 새로운 국면으로 치달아 나간다.

사람은 표면적인 모습만 보아 알 수 없는 존재들이다.

소설에서도 여실히 그러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우리으 대인관계에 대한 인식에 대해 경각심을 불어 넣어 주기도 한다.

캐드펠의 조사로 하나 하나 비밀들이 벗겨지고 우리는 작지 않은 감탄으로 기쁨을 맛보기도 한다.



저자 엘리스 피터스는 중세시대를 배경으로 단순한 살인사건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인간이 가진 거의 모든 것들에 대한 욕망과 사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부분들이 현대의 우리 삶보다는 좀 더 끈끈하고 유대적인 중세시대에 일어난 사건들이라 오히려 저자가 더욱 그 시대를 배경으로 삼았는지도 모를 일이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사회적 규범이나 종교적 규율들이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적잖은 영향들을 마주하게 되면서 캐드펠이 펼쳐 나가는 수사에 대해 이해하는 일은 시대에 대한 통찰적 의미를 엿보게도 한다.

다양한 함의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의미를 느껴볼 수 있는 캐드펠 수사 시리즈 14의 소설 역시 저자의 탁월한 이야기를 통해 우리 삶의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반추해 보는 소중한 시간을 만들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