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반도체의 미래 3년 - 2027년 반도체 골든 타임, 무엇을 준비하고 실현할 것인가
박준영 지음 / 북루덴스 / 2025년 6월
평점 :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최근 불거진 반도체 시장의 미묘한 변화는 우리가 가진 자부심에 상처를 내었다.
삼성의 위기라는 인식이 반도체 시장에 등장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우리에게는 충격이었다.
더구나 삼성과 TSMC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으며 반도체 전문가들에 의한 다양한 의견들이 우리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회의를 일으키고 있다.
과연 우리는 지금 여기서 멈추게 될 것인가? 하는 물음에 쉽게 답할 수 없는 일이지만 여전히 우리는 미래를 향한 질주를 계속하고 있다는 말을 할 수 밖에 없다.
그것이 진실이고 사실이니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반도체의 골든타임이라는 2027년, 그 때를 위해 한국의 반도체는 무엇을 준비하고 무엇을 실현해야 하는지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국민들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반도체의 위기에 대한 의심을 불식시키고 다가 올 반도체 골든 타임에 맞서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하고 실현해야 할지를 알려 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한국 반도체의 미래 3년" 은 과거 시대에는 철강이 산업의 쌀 역할을 했지만 오늘날의 시대는 반도체가 그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 그런 반도체의 발전을 꾀한 우리의 현실을 되 돌아 보고 다가 올 반도체 골든 타임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 더 나은 우리의 삶을 위한 반도체 산업의 변화에 대해 우리가 준비해야 할 과제를 설명해 주는 책이다.
산업계의 변화와 발전은 일정한 속도가 존재한다.
여타의 산업계와는 다르게 반도체 시계의 속도는 한층 빨라지고 있으며 이는 우리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하지만 세계적 기업이라 자부심을 주었던 삼성의 부진은 한 순간에 반도체 시장의 변화가 어쩌면 한계에 다다른것이 아닌가 하는 불길한 생각을 하게 한다.
그도 그럴것이 K-반도체의 기술력과 기술적 한계가 다했다는 세간의 평가를 무시하지 못하는 현실이 대두되고 있고 보면 과연 무엇이 어떻게 흘러 가고 있는지를 곰곰히 살펴보고 그 해법을 강구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저자는 K-반도체의 미래 3년, 과거 현재, 미래의 현장에 주목하고 있는 만큼그가 분석, 통찰해 내는 반도체 산업과 K-반도체 산업의 향방은 무척이나 중요하고 의미심장한 기회가 아닐까 싶다.
위기론에만 치우치기 보다 왜 위기가 닥쳤으며 그 위기를 과연 우리는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통찰이 필요하다.
저자는 삼성의 위기로 치부되는 HBM 사태와 삼성이 가진 본질적인 문제를 주시하며, 삼성과 TSMC의 외부환경적 변화를 통해 수율의 문제와 변화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으로 삼성의 위기에 대한 인식을 가중시킨다.
그런가 하면 한국 반도체 생태계에 대한 주목으로 미래 3년 반도체 세계에서의 생존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가 하면 골든타임을 맞이할 한국 반도체의 숙제를 제시한다.
반도체의 위기, 골든타임 등등 다양한 반도체의 이슈들이 터져 나오고 있지만 현장에서 묵묵히 자리를 지키며 변화를 위한 혁신을 꾀하는 영웅들이 존재한다.
반도체 산업 중심을 이끌었거나 이끌고 있는 영웅들, 그들에 대한 조명으로 우리는 새롭게 다가 올 미래에 대한 인간과 사회에 대한 기대를 한층 더 확대해야 함을 느끼게 해 준다.
삼성과 하이닉스의 순위 바뀜이 문제가 아니라 K-반도체의 위상이 흔들리는 문제이자 한국의 지속가능함에 대한 문제라 생각할 수 있는 바 저자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K-반도체의 과업과 숙제를 이해하고 풀어 나가는데 유익한 기대감을 얻을 수 있다.
독자들의 다독을 통해 K-반도체의 미래 향방을 터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단초가 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