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 - 창의성은 어떻게 현대사회의 중요한 가치가 되었는가
새뮤얼 W. 프랭클린 지음, 고현석 옮김 / 해나무 / 2025년 6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어쩌면 인류의 오랜 삶이 바로 창의성을 요구하는 힘에 의해 개척되어 온 모습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하게도 된다.
하지만 과거 그 어느때 보다 지금의 시대가 더 창의성에 집착하고 목말라 하는 시대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조직들의 문화는 지금껏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기 보다 조직 차원의 명령체계에 순응하는 조직형 인간을 원했다.
하지만 더 이상 그러한 방식으로의 조직의 발전은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우리는 그간 돌아보지 않았던 창의성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다.
또한 조직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역시 리더로의 자질을 평가하는 항목으로의 창의성에 대한 삽입은 완전히 우리 사회의 지도를 재편하는 일고 전환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야 함을 일깨워 준다.
그렇다고 창의성을 독특함이라는 단어로 대치하기에는 너무 단순하다 생각할 수 밖에 없다.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에 창의성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 는 새상을 바꾼 창의성이라는 단어의 개념과 왜 시대적 요구성을 갖추어 우리 사회와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는지 그 현상의 창의성에 대해 심도 깊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그렇다면 과연 창의성은 무엇을 말함인가? 개념적 정의를 생각해 보면 창의성은 무척이나 모호한 단어이다.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창의성보다 우리는 업무적인 능력으로의 창의성을 더욱 요구하는 시대를 살고 있음을 생각하면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창의성의 개념에 대한 아웃라인은 대략적으로 감 잡을 수 있다.
칙센트미하이는 창의성을 '우리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원천' 이자 인간을 다른 동물과 근본적으로 구분짖는 요소라고 지칭했다.
이러한 창의성은 개인적인 능력이나 직업적 능력을 모두 내포하는 것이기도 하며 우리 문명을 앞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핵심 요소중의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
창의성이라는 현상의 존재를 설명하는 과정은 창의성 개념을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물론 창의성 개념이 모호하기는 하지만 천재성, 발명성, 영리함, 독창성, 상상력, 환상 등의 의미들을 조합한 그 무엇으로의 의미라 생각하면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진실이 그렇다. 그 어떤 개념 정의도 마뜩치 않지만 분명 우리 사회에서 창의성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음은 해석의 풍부함에 따른 적정 요법에 대응하는 선택으로만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다른 모습을 보임으로써 인간다운 모습을 지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보다 인간적인 면모는 바로 창의적인 존재인지에 따라 보다 인간 다운 존재로의 인식을 갖출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창의는 그렇게 인간 자신의 내재적 동기와 열정을 추구하며 스스로가 보다 인간다운 면모를 보일 수 있음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바로의 창의성 현상을 이해하는 일이라면 우리는 대중성이라는 개념과 상치하는 창의성 개념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대중성은 일반 대중이 친숙하게 느끼고 즐기며 좋아할 수 있는 성질을 뜻하며 인간의 존재감을 느끼게 해주는 성질로 이해할 수 있으나 창의성과는 그 느낌이 다르게 전해진다.
창의성의 역학적 사례와 연구, 창의성의 역사와 관련된 서사 등 우리 시대가 창의성에 집착하게 된 배경으로의 이야기들을 마주할 수 있어 심심치 않게 사용하는 창의성에 대한 분명한 근거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그 기회를 통해 창의성에 목마른 오늘의 시대를 좀 더 깊이 이해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