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엔비디아 세계 최강 반도체 기업이 만드는 2040 AI 세계
츠다 켄지 지음, 한선주 옮김 / 시그마북스 / 2025년 4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엔비디아(NVIDIA), 아마도 지금쯤은 엔비디아라는 기업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을것이라 생각한다.
실리콘 벨리에서 출발한 엔비디아는 반도체 기업이지만 그들의 실체는 인공지능 AI와 깊은 관련이 있는 기업이라 할 수 있다.
인공지능 AI인 챗GPT와 같은 LLM의 등장은 기존의 IT 산업의 발전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 특이점이라는 새로운 변화의 시점을 불러 왔다.
엔비디아는 그러한 특이점을 좌우하는 반도체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최근의 기사나 뉴스를 통해 삼성전자의 HBM3 반도체의 시험 TEST 통과에 대한 문제, SK 하이닉스의 HBM3 반도체의 공급, TSMC 등과의 거래 등에 따라 세계의 인공지능 AI 산업계는 초미의 관심사이자 나날이 엔비디아의 행보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강 반도체 기업이라는 엔비디아가 만드는 인공이즌 AI의 2040년의 상황은 어떻게 변화될지를 상상해 볼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NVIDIA 세계 최강 반도체 기업이 만드는 2040 AI 세계" 는 국제 기술 전문 저널리스트인 츠다 겐지 저자가 2040년 AI, 반도체 전망과 엔비디아가 바꿔 갈 변화에 대해 설명하는 책이다.
인공지능 AI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투자하고 오픈 AI가 개발한 챗GPT를 통해 IT 산업의 특이점을 가져왔다.
그러한 이면에는 엔비디아의 물리적 조건으로의 컴퓨팅 시스템의 변화가 당연히 이루어 졌음을 생각할 수 있으며 TSMC,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등 여타의 반도체 기업이 만든 최고의 반도체들을 통해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냈음을 생각하면 엔비디아와 CEO 젠슨 황의 행보에 귀추가 쏠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닐까 싶다.
그러나 인공지능 AI라 하더라도 여전히 스스로를 만들고 발전시키는 일은 미진하며 인간이 인간의 모습을 뛰어 넘는 인공지능 AI를 만들고자 한 조건들을 충족시켜 나가고 있는 중이라 생각하면 좀 더 먼 시간에는 분명 인간의 역량을 뛰어 넘는 인공지능의 출현이 가능하리라 판단해 볼 수 있다.
인공지능 AI가 가진 불편한 진실을 우리는 할루미네이션이라 지칭한다.
이는 인공지능 모델이 실제 데이터와 무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일로 인간에게는 윤리적 , 도덕적 문제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한 할루미네이션에 대한 대응책으로 우리는 인공지능의 윤리, 도덕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바탕으로 미래에 대한 준비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걷지 말고, 뛰어라' 라는 주문을 한다.
인공지능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급속도로 변하는 IT 시장과 환경은 우리 삶의 환경을 매우 빠르게 변화시키며 자신의 경엉 철학을 엔비디아를 통해 실천하는 그는 위기의 순간일수록 과감한 투자와, 기술중심의 경영 전략을 실천해야 함을 강조한다.
엔비디아는 단순한 하드웨어 제조사가 아닌 AI 생태계 플랫폼이라는 거대 기업으로 변모 했다.
그들의 역사와 기업의 성공 스토리와 미래 2040년 까지의 기술 변화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
인공지능 AI를 통해 이미 우리 주변에는 자동차의 자율주행,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슈퍼컴퓨터 등과 같은 변화들이 인간의 삶을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만들어 주고 있어 저자의 친절한 설명을 따라 엔비디아가 과연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을 머련해 주고 있다
단편적인 엔비디아에 대한 지식이 아닌 그들의 역사와 조직, 조직원으로의 엔비디아가 어떤 모습으로 무엇을 위해 나아가고 있는지를 살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판단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