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좀 그만 버려라
강철수 지음 / 행복에너지 / 202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만화계의 깡철수, 강철수 작가는 어린이, 성인 가릴것 없이 모두가 좋아하는 각각의 장르에서 독보적인 작품으로 인기를 끌어 대중문화의 아이콘 같은 존재감을 가진 인물이다.

책의 저자 소개에도 드러나 있듯이 저자는 만화가이자 방송작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나의 오랜 기억속에 존재하는 그의 만화는 <사랑의 낙서>, <발바리의 추억>, 어린이 만화 <명탐정> 등으로 기억된다.

그런 그의 시선에 과거와는 달라도 너무 다른 개들의 세상, 반려견이자 유기견이 되는 개들의 삶이 적나라하게 그려지고 있다.

사실 현실의 반려견의 모습을 보면 가히 과거 보신탕용 쯤으로 생각했던 개들의 삶이 천국처럼 변화한것은 맞지만 그 한편으로는 사람들의 냉혹함을 더욱더 짙게 드리운 유기견 세상이라는 지옥도 낳았다.

우리의 깡철수 작가가 개의 언어를 사람의 언어로 바꿔 쓴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보자.



이 책 "개 좀 그만 버려라" 는 더 작고 어린 개, 찌끄만 개를 원하고 자신들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조금만 성견이 되어가는 모습이 되면 가차없이 파양하거나 버려지는 슬프고 왜곡된 현실의 문제를 통해 그러한 개들의 삶, 유기견 보호소에서 시작해 입양, 파양, 안락사에 이르기까지의 내용들을 삶의 주체적 결정권을 가진 개의 시각으로 세상을 보는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다.

왜 우리의 깡철수 작가는 이러한 무모한 일을 할까?

인간도 아닌 개의 모습을 통해 과연 나,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자 함일까?

나, 우리라는 인간이 같은 존재인 인간을 놓고 질타를 하는 일은 어떠한 상황으로도 마뜩치 않음을 깡철수 작가도 느끼고 있는것이리라.

하물며 그것이 만화가이자 방송작가라면 더더욱 사회적으로 인간에 대해 분노하고 인간의 잘잘못에 대해 논하는 일은 자칫 자신의 삶에 있어서도 탐탁치 않은 일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인들이 트랜드에 민감고 트랜드를 껴안고 살고자 하는 특성을 파악해 애완견을 넘어 반려견으로의 상황으로 까지 변화한 개 기르기 상황과 변절한 사람의 마음으로 파양되거나 유기견이 되는 과정에 대해 반성하고 변화를 꾀해야 할 일들을 꼬집어 내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한 역할자로의 주인공이 바로 037 잡종 2살 수캐로 표현되는 개이다.

인간은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하고 말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어쩌면 그것 또한 착각일지도 모른다.

개나 고양이 또는 다른 동물들 역시 그들만의 언어로 말을 하고 있지만 인간이 못알아 듣는 일이라면 분명 이는 인간의 오만함이 빚어낸 치명적인 무지함이라 할 수 있는 일이다.



저자 깡철수 작가의 윗트 넘치는 문장력들이 슬그머니 웃음짖게 하는 시간이 많아 즐겁게 읽을 수 있다.

더우기 개의 시선, 사유로 인간 세상에 대해 재단하고 판단하는 일은 새로운 사유를 만들어 낸다.

그러한 부분이 신선하고 윗트넘치고 재미있음을 말해 무엇하랴. 읽어보지 않고는 그 재미와 그의 속내를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는게 읽은 후의 느낌이라면 알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만화가 강철수의 만화를 생각해 보면 그의 작품에 배어 있는 스타일이 고스란히 소설에서도 그러한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소설로 읽는 만화, 그 즐거운 시간을 만끽해 보길 권유해 본다.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