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쿄를 걷다 서점을 읽다 - B급 디자이너의 눈으로 읽은 도쿄 서점 이야기
김경일 지음 / 디앤씨북스 / 2024년 3월
평점 :

서점이 없어서 일본까지 가서 들여다 보았을까? 아니다 어떤 의미로도 그러한 일은, 더구나 서점을 탐방하는 일은 온라인에 밀려 점차 사라져 가는 서점들을 존재케 하며 냄새도 촉감도 부피도 중량도 없는 온라인 속 책보다는 다양한 감각적 느낌을 전해주는 책들을 만날 수 있는 시공간으로의 존재감을 자랑한다.
그러한 일본의 서점, 도쿄에만 1천 4백여곳에서 900여 곳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사람들에 의해 유지되는 서점들이 즐비하다.
B급 디자이너의 시각이든 독자로서의 작가를 찾아 나서든 우리와는 다른 일본의 서점, 도쿄를 걸어보며 서점을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얻는 일은 무척이나 행복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찾는 이들에게는 행복한 방문이 될 수 있겠지만 서점의 존재는 다양한 의미를 내포한 채 오늘도 시장에서 버겁게 버텨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그러한 일본의 서점들의 현실, 어쩌면 일본만이 아닌 전세계 서점들이 맞이한 온라인이라는 무기가 보여준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 극복해야 할지를 숙제로 고민하고 있을지 궁금해 진다.
책을 좋아하는 독자로서 도쿄의 서점들을 읽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도쿄를 걷다 서점을 읽다" 는 온라인 서점과 온라인 북에 맞서 숙제를 안고 있는 일본 도쿄내의 스물 일곱 곳의 서점들을 방문해 그곳만의 독특함과 특별함을 오롯이 보여주는 책이다.
한국에 출판문화단지로 파주의 문발동이 있다면 일본에는 진보초가 있다.
진보초는 메이지대학 등 다양한 대학교들이 밀집해 있고 그로 인해 대학교재를 비롯한 책 수요가 늘어 고서점 140개와 새책을 판매하는 30여 곳의 서점이 몰려 있는 출판문화단지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진보초가 일본내에서 책의 출판과 판매에 있어 핵심적인 공간이라는 사실은 가깝고도 먼나라인 일본에 대한 인식을 잠시 바뀌주는 역할을 한다.
1880년 부터 거리서점, 출판사 등이 존재해 온 진보초는 카레가게들을 만날 수 있다며 식사와 함께 책을 읽을 수 있는 색다른 경험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품어보게 한다.
신간을 판매하는 서점들과는 달리 오래된 거리서점에서 혹시라도 소중한 보물을 발견할 수 있을지 누가 알수 있을까?
오래된 고서점을 벗어나면 우리에겐 없는 새로운 개념의 서점인 '파사주' 가 있다.
파사주는 서점의 독특함도 존재하지만 그보다 운영 방식의 독특함이 존재하는 서점이라 한다.
한마디로 '공동서점'의 개념을 갖고 있으며 360여개의 작은 서점과 360여명의 서점 주인이 있다는 가히 우리로서는 생각해보지 못한 서점이라 할 수 있다.
어찌보면 이러한 서점은 출판사나 독립서점 뿐만이 아니라 일반인들이라도 서점을 열고 자신이 판매하고 싶은 책을 팔 수 있는 공동서점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고 바람직한 서점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독특한 서점이라면 우리나라 역시 제도의 개혁과 더 많은 독서인구 저변을 확대하고자 하는 의미를 더해 도입해 볼 근거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한다.
일본의 추리작가 혹은 일본작가들의 작품을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러한 유명 작가를 위한 전문화된 서점은 역시 우리에겐 없는 서점이라 할 것이다.
일본의 지난 천 년간 최고의 문인은 누구인가를 조사한 설문조사에서 부동의 1위를 한 인물은 우리가 잘 아는 다자이 오사무도 아니고 가와바타 야스나리도 아니고 무라카미 하루키는 더더욱 아닌 '나쓰메 소세키'이지만 일본인들의 맹목적인 작가 사랑으로 넘쳐나는 그래서 독립된 하나의 서점으로 오직 다자이 오사무만을 위한 공간으로 탄생한 '포스포렛센스'가 있다.
900여 곳이나 되는 서점들을 탐방하는 재미도 쏠쏠할것 같다. 하지만 지면상의 이유로 제한된 서점만 수록하고 관련 사진들과 독특한 부분들을 맛볼 수 있는 시간은 분명 책을 좋아하고 서점에 있으면 먹지 않아도 배부른 나와 같른 이들에게는 행복한 장소가 될 것임이 분명하다.
언어의 한계로 인한 버거움이 느껴지겠지만 마음만은 풍성해지는 도쿄를, 서점을 읽고 맛보는 시간은 언제고 나를, 우리를 부르는 행복선물이라 하겠다.
그 시공간을 누비며 행복을 맛볼 나, 우리가 되었으면 좋겠다.
**네이버 카페 책을좋아하는사람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