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 있는 당신께, 다르마 톡
영화 지음, 대지 외 옮김 / 어의운하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복(福)은 흔히 재수, 행운 등과 같이 생각하지만 이는 인간의 힘을 초월한 존재, 천운에 의해 저절로 돌아가는 길흉화복의 운수로 이해되는 부분이다.

그러한 복은 한국인의 삶의 밑바닥에 존재하는 가장 끈질기고 보편적인 거의 모든 행위의 동기로 작용하는 근원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하기에 복받는다는 의미, 복을 얻는다는 의미를 우리는 바라며 염원하기도 한다.

미국에서 대승법을 수행하며 수많은 대중들에게 선 명상, 정토법문으로 다르마를 전하는 영화스님의 대중법문집을 만나 읽어보면 미국뿐 아니라 한국의 불자들이나 복을 염원하는 이들에게도 법문집이 주는 효용은 의미가 깊다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보편적인 사람들이 바라마지 않는 일들은 종교적 구원이나 혜택이 아닌 평화와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며 그러함을 얻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명상임을 깨달을 수 있다.

스님의 대승법 수행에서의 시작은 바로 명상에서 시작하고 있기에 세가지 명상에 대한 이해를 올바르게 갖는다면 나, 우리가 바라마지 않는 명상을 통해 목적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으리라는 판단을 해보게 된다.



이 책 "복있는 당신께, 다르마 톡" 은 영화스님의 대승법문집의 수행을 위한 방도를 명상으로 시작함을 알려주며 그러한 명상이 나,우리가 바라마지 않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임을 일깨워 주기도 한다.

명상, 참선, 염불, 참회, 업, 보시, 복, 사십구재 등 종교적 색채가 강한 내용들이라 시선을 거둘 사람들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나름대로 불교에 귀의하거나 불교관련 공부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영화스님의 대승법문에 대한 지침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리라 판단할 수 있다.

영화스님은 명상을 통해 회피가 아닌 직면을 선택함을 원하고 그것이 사태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임을 알려준다.

더불어 부처님의 말씀에 따르면 복에는 다섯 종류가 있다고 하며 장수, 부의 소유, 좋은 명성, 안락(근심과 걱정이 없는), 건강을 말하며 나, 우리가 바라는 돈과 부는 복을 발현하는 일이며 우리 모두는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복을 누리길 원하면 복을 지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한 복을 짖는 방법은 첫째, 보시로 기부 또는 가난한 이들을 돕는 것이며 둘째, 계율을 지키는 도덕적인 사람에게 하는것이며 셋째, 선(禪)을 뜻하는 수행으로 복을 지어야 한다고 한다.

세상을 살면서 나, 우리는 그 누구보다 더 많은 복을 누리고 싶어한다.

하지만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되는 복이 아니라 나, 우리의 생각과 행위의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복이며 어떻게 복을 짖느냐에 따라 더 많은 복을 누릴 수도, 없을 수도 있음을 생각하면 저으기 스님의 법문이 가슴속에서 길을 찾듯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것 같다.



종교적 행위가 아니라도 명상은 나, 우리의 심신을 안정화 기키고 유용한 효과를 만들어 낸다고 알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의 명상을 유익하게 생각한다면 나, 우리에게 복을 짖는 마음으로 생각을 바꿔 명상을 할 수 있고 생각을, 행동을 실천할 수 있게 만든다면 스스로 만족하는 삶의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라 하겠다.

복있는 당신이 당신의 복을 누군가를 위해 쓴다면 그것이 바로 세상을 위한 복을 내어 놓음이요 사람들을 위해 보시하는 마음으로 복을 짖는 행위 일진데 더 큰 복으로 보답 받으리라는 순환적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종교적 색채를 염려해 따분함을 걱정할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 싶지만 스님의 대승법문에 대한 이야기는 웃음과 즐거움이 넘치는 깨달음의 장이 될 것이라 판단해 본다.

독자들의 일독을 추천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