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자본론 - 나의 제주에서 7년간 창업생태계 실천커뮤니티를 만들어간 이야기
전정환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과 사람 간의 연결이 커뮤니티로 이해되고 있는 상황이고 그것이 비즈니스와 다른 어떤 목적에 부합되는 조건이 된다면 우리는 사회속에서 커뮤니티를 자본화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하기에 각종 모임, 동아리, 동호회, 향우회 등 다양한 목적의 모임들을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가 하면 시대의 흐름 답게 전문화 되고 세분화 되는 커뮤니티들 사이에서 공유된 나, 우리의 존재감을 느끼게 되기도 한다.

코로나 19 발생으로 직접적인 켜뮤니티 활동이 제약 받았지만 그 나름대로의 대안이 된 것이 바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존속이 기존의 생태 보다는 월등히 많아지고 활발해 졌다 판단할 수 있는 사회 속의 커뮤니티를 우리는 가지고 있다.

대면 커뮤니티가 가지는 장점이 분명 존재하지만 코로나 19와 같은 불가항력적인 동기로 인해 차선책의 커뮤니티인 온라인 커뮤니티의 증가는 나름대로의 의미와 가치를 가진 커뮤니티로 인정되기 시작했고 이제는 어느정도 활성화 추세까지로 생각할 수 있다.

흔히 인간관계가 인생의 전부라 말하는 이들이 있었기에 그들의 생각을 부인하기 보다 그러함도 크나큰 자산, 자본이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된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커뮤니티 자본론" 은 말 그대로 인간의 사회속에서 다양한 커뮤니티의 생성이 이뤄지고 발전하는 가운데 커뮤니티 자체를 자본으로 생각하고 그에 따른 목적과 의미를 가치화 하는 방법론에 대해 통찰의 시각을 접해 볼 수 있는 책이다.

자본이라 함을 꼭 물질적인 존재만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

비물질 적인 대상도 얼마든지 자본으로 생각할 수 있고 보면 커뮤니티의 자본화는 본래 존재했지만 우리가 쉬 그에 대해 이해하거나 알지 못했음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도 된다.

흔히 말하는 학연, 지연, 혈연 등 분류 방식에 따르지 않더라도 목적과 의미,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는 무수히 많은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도,존속할 수도 있다

커뮤니티의 성격이야 운영의 묘미를 살리지 못하면 폐쇄적이 될 수도 있고 잘 운영 된다면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커뮤니티의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 판단할 수 있지만 커뮤니티 구성원 각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인정과 수용, 공동체라는 의미와 함께의 가치를 둔 커뮤니티라면 우리는 커뮤니티의 필요성과 존속성에 대한 이해뿐만이 아니라 그러함으로 빚어진 커뮤니티의 자본화를 형성하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존재로 부각시켜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제적 가치를 물질적, 금전적 가치로 환산해 가치를 매길 수도 있지만 사람들 각자 마다의 마음에 긍정적이고 창의적이며 새로운 방식으로 커뮤니티에 대한 인식을 꼭 금전적 자본으로만 평가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다.

사람사는 세상에 금전, 경제적 가치가 중요한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모든걸 자본화하고 금전적으로 환산하는 일은 물질주의적 노예에 해당하는 의식으로 평가될 수 있을 뿐이다.

커뮤니티는 사람과 사람 상호간에 연결되는 마음과 마음의 연결로 물질이나 금전의 가치에 앞서 인간적인 연결의 모토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커뮤니티에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일은 존재감의 확인이며 정체성을 존중받고 인정 받는 일은 개개인의 삶의 이상적 바램이자 새로운 삶을 향한 비상이라 할 수 있다.


저자의 서울과 제주도에서의 커뮤니티에 관련된 실험들은 통해 그 결과가 보여주는 의미있는 가치는 수도권으로만 몰리는 우리의 현실에서 곱씹고 생각해 볼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컨팩트한 네트워크로 자리한 수도권에서의 커뮤니티는 적용해 볼 수 있는 커뮤니티의 방법론에 한정적일 수 밖에 없고, 제약 사항도 분명 존재한다.

하지만 제주도에서의 커뮤니티는 서울과는 달리 개개인이 지역기반 커뮤니티 자본의 해당 조건이 되며 그들이 존재치 않는다면 창조적인 커뮤니티의 발현이나 개선과 같은 변화는 이끌어 낼 수 없다.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지만 성장을 목표로 하고 지식을 함양해 서로에 대한 가치를 찾고 발전할 수 있는 순환적 구조를 만드는 커뮤니티를 통해 자본화 할 수 있는 가치를 새삼 깨닫게 해 주는 책이라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다 생각한다.

SNS를 통해 다양한 커뮤니티들을 만나고 활동하는 나, 우리지만 보다 창조적이고 지역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커뮤니티 자본에 대해 고려해 본다면 이 책을 탐독해 보는것도 좋을 것 같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