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그리트의 껍질
최석규 지음 / 팩토리나인 / 2022년 12월
평점 :

인간에게 기억은 인간답게 사는데 필수적인 그 무엇이라 할 수 있다.
기억상실이라는 상황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지만 대부분의 기억상실은 우리의 삶과 인생을 불편하게 한다.
기억은 이전의 인상, 경험을 의식속에 간직하거나 도로 생각해 내는 정신의 기능이자 뇌의 기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적인 부분이 망가지면 자기 자신에 대한 정체성의 혼란과 현실에 대한 이해의 불편 때문에 많이 힘겨워 한다고 한다.
르네 마그리트는 표현주의 또는 초현실주의 작가로 알려져 있고 그의 사과를 그린 작품은 현실적인 면을 그린 사과이지만 초현실적 상태를 야기하는 은유의 경험을 이미지화 한것 처럼 느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그런 르네 마그리트와 기억은 무슨 관계가 있을까?
책 표지의 인간의 형상이 마치 사고 껍질의 형상과 같음이 예사롭지 않은 무언가를 의미하고 있다 생각된다.
기억이라는 존재 자체가 현실적이면서도 초현실적인 기능을 하는 존재로 읽혀질 수 있음이며 소설속 인물의 기억상실과 관련된 이야기를 풀어나가며 인간의 폭력성에 대한 서사를 버무려 놓은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마그리트의 껍질" 은 어떤 연유로 최근 2년간의 기억을 상실한 강규호가 정신과를 찾아가 상담하고 의사에게 받은 기억상실을 치유하는데 도움이 될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를 기록장을 받는데 그 기록장의 앞면에 그려진 르네 마그리트의 사과를 소설의 제목으로 차용하고 껍질은 현실적이자 초현실적인 기억을 인간의 삶에 비추어 껍질에 쌓인 정신, 뇌, 기억으로 일별해 놓은 작품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잃어버린 기억, 잠시 잠깐의 건망증에도 답답함을 느끼곤 하는 나, 우리에게 소설 속 강규호와 같은 단기기억 상실이 찾아 온다면 아마도 우리 역시 그와 같이 혼신의 힘을 다해 상실된 기억의 단편을 찾으려 노력하게 될 것이다.
그런 와중 어느날 부터 자신을 미행하는 사람을 인지하게 되고 자신의 업무 영역에 대한 지식만큼은 최고인 그가 선택한건 초소형 핀카메라를 가방에 설치해 자신을 쫓는 인물을 촬영하는데 자신의 지갑속 의문의 여인과 매우 닮이 있는 미행자에게 의문을 품게 된다.
자신의 기억을 찾기 위한 노트에 적히는 수 많은 기억의 편린들을 통해 강규호의 기억은 조금씩 옛 기억들을 되살리기 시작하는데...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는 차수림이 미술전공자이며 그녀가 들려주는 르네 마그리트 이야기, 술 취한 사장이 규호에게 마그리트의 껍질이라는 이상한 말을 건내는 상황이나 자신이 들고 다니는 기억의 노트 등을 통해 항시적 관찰기록으로 기억상실을 치유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지 더더욱 몰입하게 된다.
오늘날 우리는 인간 뇌의 물리적 연구뿐만 아니라 정신적 상태에 대한 연구도 병행해 진행하고 있다.
수박덩이보다 크지도 않은 뇌의 비밀이 인간을 구성하는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고 보면 온전한 정신을 가지고 인간다움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는 것도 무엇이 옳고 그르며 또 무엇을 어떻게 하며 살아야 하는지를 기억하고 실천하기에 인간의 삶은 지속되고 있다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정신적 기능과 행위를 할 수 있게 하는것이 바로 기억이고 보면 기억에 관련해 제작되는 수 많은 작품, 영화, 소설 등을 이해 하는데 유익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저자는 뇌의학, 심리학, 문학, 미술 등을 접목해 인간의 숨겨진 폭력성에 대한 함의를 드러내고자 기억상실이라는 도구를 사용했다고 보여진다.
기억이라는 존재에 대한 이해와 인간 삶의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근원에 대한 물음을 소설을 통해 제시하는 가운데 기억이 지워지는 치매에 대한 걱정이 한 발 더 다가올 듯함을 느끼며 마그리트의 껍질에 대한 서평을 마무리 한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