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 최악의 일주일 4 : 목요일 내 인생 최악의 일주일 4
이바 아모리스.맷 코스그로브 지음, 김영진 옮김 / 비룡소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넷플영화 <계시록> 봤다


1. 연상호 감독과 김지운 감독 작품은 거의 다 봤다. 희대의 괴작 <라스트스탠드>를 포함해 김지운 10개 연상호는 단편 제외 대략 11개


두 감독 다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다

시놉시스 상에서는 매력적이고 캐릭터도 좋은데 중반부터 힘을 잃는다


연상호는 기승전결의 전부터 힘이 빠지고

김지운은 항상 결말이 부족하다 <거미집>의 미술, 디자인, 캐릭터, 배우, 연출, 각본 다 얼마나 좋은가! 그런데 이상하게 결말이 엉크러진다. 본인도 엔딩을 수십 개 놓고 고민한다고 했는데, 누구나 잘 안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


2. <계시록>에 대한 로튼토마토 리뷰를 먼저 읽고 영화를 봤는데

평이 박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찰진 대사, 정확한 캐릭터 연기, 전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하지 않은 톤, 약간의 철학적 화두, 인물 관계도,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 경제적 전개, 초반 대사 복선의 회수

다 괜찮다고 생각했다


정확히 1시간 11분까지



이 부분부터


이후로는 엉망이라는 리뷰에

대해 동의하게 되었다. 로튼 토마토는 이렇게 말했다

톤이 거칠다(gritty tone), 대사가 엉성하다(sporting poorly written dialogue), 도무지 믿기 힘든 상황(situations that beggar belief-좋은 영어 표현임), 서사가 뒤죽박죽(messy narrative) 지체된다(drags its feet),


심지어

한국의 거장 연상호에게는 드문 실패작(A rare misfire for South Korean maestro Yeon Sang-ho)이라는 평까지

거대한 아이디어들이 제자리에 안착하지 못하고 붕 떠 있는 느낌을 준다( filled to the brim with big ideas that barely hold together)


https://www.rottentomatoes.com/m/revelations/reviews


1시간 11분 이후 40분 동안 모든 장면이 맥아리가 없다

호텔은 왜 간 것이고

왜 목사는 그런 행동을 하며

왜 정신과 의사 앞에서 고해성사를 하며


특히 끝나기 전 15분 남겨놓고 정신과 의사와 대화가 나오는데 5분만에 급히 마무리되고


대화는 깨달음 없이 '교수님 학과장님이 보자고 하시는데요'라는 조교의 난입으로 중단된다


글자수 제한에 막혀 말하다 말은 트위터, 스레드 글 같다.


그래서 각본을 못 썼다는 말이 이해가 되었다


분명 전반부 각본의 단타로 치는 캐릭터 대사는 좋았는데, 핵심 코어인 클라이맥스오 엔딩에서 밀렸다



3. 아시바는 일본 용어다 足場 발 디디는 곳=비계=나는 계단


작업자가 높은 곳에 올라갈 수 있게 만든 임시가서물이다


영어로는 스캐폴딩 scafolding. 자동적으로 노트르담성당이 생각이 난다. 자동적으로 높은 건물을 짓도록 가능하게 한 건축장치인 버팀도리, 공중부벽(flying buttress)가 생각난다. 단어의 연계


초반의 부녀관계의 대화에서 나온 정보가 나중에 철거로 연결된다. 좋은 연출이다.


이 식탁 신에서 1)둘의 관계 2)오늘 비 3)모레 철거까지 다 드러난다




4. 한국어는 사회적 관계와 우열이 대사에 드러난다. 자기가 안 밝혀도 상대가 나한테 어떤 위치인지 무조건 드러나게 되어있다


유럽어는 남자인지 여자인지가 드러난다. 자기가 안 밝혀도 he, she, his, her로 무조건 드러나게 되어있다


스크린 라이팅할 때 참조해야할 부분,

관람시 재밌게 유추할 수 있는 부분,

다국어 자막으로 볼 시 차이를 눈에 띄게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5.

영화 끝나기 10분 남겨놓고 외눈박이 괴물과 오큘러스 창의 의미가 드러나는데


엔딩에서 밝혀야할 타이밍은 아닌 것 같다


시즌제 드라마로 풀거나


20분 전에 말하거나 했어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국립중앙박물관은 최근 4년 정도 폼이 좋다 열일하고 있다

굿즈도 많이 팔고 전시기획도 좋다

박물관으로 정체성을 살리는 기획전시도 꾸준히 하지만

너무 마이너한 전시는 사람들이 안 오니까

유럽회화나 삼성이건희의 네임밸류를 앞세워 대중취향 전시도 많이 한다

티켓판매로 인한 수익은 덤


예를 들어


국중박의 대중취향+상업모먼트는

비엔나1900(24.11-25.3)

영국내셔널갤러리(23.6-10)

빈미술사박물관 (22.10-23.3)

이건희 1주기전(22.4-22.8)

이건희 기증전 (21.7-9)

-이때는 확실히 홍보+바이럴되고 사람도 미어터지게 많았다


국중박의 열일모먼트는

오세아니아(25.4-9)

고려청자(24.11-25.3)

한중일칠기(24.7-9)

미국원주민(24.6-10)

인도스투파봉분(23.12-24.4)

상형토우(23.5-10)

아스테카(22.5-22.8)

아시아 칠기(21.12-22.3)

중국고대청동기(21.9-11)

-이런 마이너한 전시는 사람이 확실히 적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안산 김홍도미술관 이야기 몬스터에 다녀왔다


어린이용 전시라고 하지만 출품 작가는 국공립 미술관과 국내외 메이저급 갤러리에 전시를 한 이력이 있는 작가들이다

말하자면 요즘 잘 나가는 문학 작가들이 합심해 글 한 꼭지씩 베풀어 만든 특집 잡지 같다. 아동용으로 톤다운해서 작가의 의도가 더 잘 드러난다


개인전에서는 라이트 모티프가 무엇일지 곰곰히 생각해보는 재미가 있고

단체전에서는 전시 기획이 무엇일지 공통 주제를 각자 어떻게 풀어냈는지 최근 트렌드는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즐거움이 있다


비유하면 슈퍼스타 싱어게인 슈퍼밴드 등 토너먼트향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복수의 뮤지션들을 보면서 품평하는 재미와 일맥을 같이 한다.


그런 의미에서 다른 전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몇몇 특징이 보인다.


1.영어 일어 원서 위에 그림 그린다


지희 킴



2.설치예술과 그 소품을 착용/사용한 영상을 만든다 (일민미술관 임민욱의 전시도 같은 맥락)


이병찬 작가


3.캔버스 위로 질감이 튀어나오거나 사각형의 구획을 벗어나는 오브제를 만든다


백인교 작가


4.작품의 프레임을 넘어 전시장 전체를 사용한다. 참여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어차피 가벽은 철거되고 페인트칠은 다시할 것이므로


5. 그림자 마저 의도에 넣는다. 광원의 굴절과 회절에 의미를 부여한다


김병진 작가


6. 직진 수평 위아래 2m범위에 국한되는 관객의 시선 끝에 걸리지 않게 천장, 진입문 위 등에 달아두어 색다른 배치를 한다


7. 다수의 벼루라는 특이한 오브제군의 마름모꼴 실험적 배치. 시공간을 넘은 레퍼런스가 관찰된다. 여기선 아프리카 조각, 미국 카툰, 한국적 미학과 단색화


이상용 작가


8. 가까이서 보면 의미없는 곡선의 난장판 같지만 멀리서 보면, 아니 멀리서 봐야 전체상이 눈에 확 감지된다. 원거리에서 엉망진창 선들이 존재의미를 찾는다


김진 작가



9. 주제를 자화상으로 고정시키고 눈+눈, 눈 계단, 눈 빨래, 눈 물고기 등 창의적인 드로잉 실험


이상용 작가


10. 대패로 자른 부드러운 초콜릿 조각이 올려져있는 케이크 같은 질감이지만 분청토로 만든 자기를 회화에 얹어 마티에르감을 주었다. 조각의 회화화, 이것은 조각인가 페인팅인가. 경계에 대해 질문한다


김지아나 작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I 시대를 걸어가는 법 = AI가 대체하지 못할 나만의 브랜딩을 하기

퍼스널 브랜딩 하는 법 : 다양한 요소의 조합이다

AI는 이미 존재하는 정보를 토대로

최선의 결과는 낼 수 있지만 전혀 새로운 무언가는 창조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AI가 만든 이미지는 지브리를 잘 모방했지만

지브리를 대체하지는 못한다

AI가 생성한 이미지는 빈곤한 일러스트레이터들이

핀터레스트나 SNS에 좋아요 하나 받고 푼돈이라도 벌어보고자

올린 것들을 무단 스크래핑해서 완성도를 높여간 것

AI가 조합한 것은 가상공간에 있던 것이다

지피티도 마찬가지

성능을 높이기 위해 뉴욕타임즈 같은 고품질 기사들을 학습

언젠간 결국 기자와 작가의 글과 미술가의 그림은 AI에게 고영양제가 되는 것이겠지만...

그럼 어떻게 해야하는가

유일한 내가 나올 때까지 나만의 조합을 만들어 나가면 된다

예를 들어


영어+프랑스어를 하는 사람은 널렸다

영어+불어+바스크어+카탈루냐어는 조금 적다

한국인으로 이 세 개를 하면 더 적다

티벳어까지 한다면 이제 진짜 한줌도 안된다

이과 출신으로 메카닉애니를 좋아하지만 대만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의 배경을 추가한다면 유일한 하나만 나온다

(내 이야기는 아니다)

윌리엄 켄트리지의 작품은 유럽 아방가르드 +소비에트 흑백영화+초기 미국코믹스 같은 레퍼런스가 보인다

백남준은 유럽볼테르+일본미학+비디오테크놀로지+도가+불교+작곡이 들어가 있다.

슬라보예 지젝의 글에는 묘하게 미국영화+유럽철학+동유럽배경+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여러 지적전통이 섞여있어 재밌다.

그런 식으로 자기만의 조합을 찾아나가는 것이다.

조합에 해당하는 요소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그 요소를 갈고 닦으면 닦을수록

대체불가능한 내가 되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AI가 채택한 전략인 자동화가 아니라

지적범위를 확장하는 전략을 써야한다

AI가 모르는 어딘가에서 경험을 채집하는 것이다

AI는 못 움직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