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 개정증보판
홍세화 지음 / 창비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자 뉴욕타임즈 인터네셔널판 글 중

네덜란드 진주귀고리를 한 소녀를 포함해 네덜란드 박물관의 미술품이


어떻게 2차대전 때 나치의 침략에 피해가 없었는지에 대한 이야기


흥미롭다


헤이그의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 당시 관장이었던


빌헬름 마르틴 관장은 전략적 모호함으로 나치의 프로파간다를 수용하는 점령군에게서 예술작품을 지켰다

한편 관장은 저항군을 은밀히 숨겨주거나 빵을 공급하는 등 암묵적인 저항도 감행


게다가 국보급은 미리 은닉하고 공식적으로는 협조하는 듯한 태도를 유지해 나치의 의심을 피함


프랑스는 완전히 약탈당했던 것과 달리 네덜란드에 피해가 없었던 이유는 히틀러가 더치를 형제라고, 저지대 게르만민족이자 공통된 조상을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


네덜란드어를 배워보면 독일어와의 친연성을 알 수 있다. 영어 단어를 독일식으로 변형하는 느낌. 예컨대 do가 동사변화. 비분리전철도있다 mauritshuis도 모리스네 집이란 뜻(house=huis 허위스)

전시는 6/29까지


https://www.nytimes.com/2025/04/04/arts/nazis-girl-with-a-pearl-earring.html?searchResultPosition=1



원래 글의 문단별 흐름은 이런 식으로 간다


도입: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가 전쟁 중 안전하게 보호된 배경 설명.


1940년대 상황: 전쟁 발발 직전부터 박물관 측의 피난 계획 실행.


박물관장 마르틴의 역할: 작품 보호와 직원 생존 사이의 균형 잡힌 대응.


다른 박물관들과의 비교: 나치에 협력한 박물관 vs. 저항한 박물관.


나치의 네덜란드 점령 전략: 민족적 유사성을 내세운 문화적 접근.


문화재 약탈 정책의 차이: 프랑스와 달리 네덜란드 공공 미술관은 비교적 안전.


나치 선전 전시: 마우리츠하위스도 독일 전시회를 수용함.


저항의 흔적: 박물관 내에 저항 인사를 숨겨줬을 가능성 등.


작품 보호의 구체적 방식: 색상 코드 삼각형으로 작품 중요도 분류.


전쟁 후 복귀 과정: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의 안전한 귀환 및 대중 재전시.


결론: 피해 없이 전쟁을 견뎌낸 마우리츠하위스의 성공적 보존 전략.




인사이트는


1) 문화재 보존은 전략적 모호함이 중요: 무조건적인 저항보다 때론 협상이 문화유산 보존에 효과적일 수 있음(프랑스는 분노하고 저항하다가 많이 훼손됨)

→이동이 힘든 아이를 여럿 둔 엄마의 심정과 같다


2) 선과 악은 명확히 나뉘지 않음: 관장의 행동은 협조와 저항 사이의 회색지대에 있으며 결과적으로 미술품 완전보존이라는 큰 가치를 지켜냄. 체제 안에서도 개인의 판단과 용기로 저항은 가능하며 행적과 유산은 역사적으로 재평가받을 수 있는 듯


3) 선전도구로서의 예술: 나치는 미술관을 단지 보존대상이 아니라 적극적 프로파간다로 활용함


4) 정체성과 문화의 연계: 나치는 네덜란드를 브루더폴크(형제민족)으로 간주했기에 강탈보다는 동화를 시도해서 공공미술관의 생존에 유리


5) 한국의 지정학적 재난(핵, 침략)시, 일본의 기후지리적 재난시(분화, 지진, 쓰나미)에 상호협력이 가능할까? 상대국의 미술품을 자국에 보존해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자 뉴욕타임즈 흥미로운 기사


8월 10일까지 뉴욕시미술관에서 하고 있는 중국계 게이 미국인 마틴 웡의 그래피티 콜렉션 전시


콜렉터는 반드시 성공한 부자여야할까? 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기사는 78년에 뉴욕으로 이주해 미술용품가게 직원으로 일하며 그래피티 작가들과 교류하고 당시에는 미술계에서 인정받지 못하던 그래피티 예술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마틴 웡에 대해 소개한다


일개 직원이었던 마틴은 작가들에게 스프레이나 마커를 할인/무료로 제공했고 400달러짜리 캔버스를 20달러짜리 송장으로 처리해주는 식으로 지원했다


기사에서 명확한 수입원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절약하며 모은 자산을 예술가들 후원에 쓴 것 같다


자신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공감에서 비롯된 감수성으로 주변화된 목소리를 기록하는 거리예술에 매료된 마틴은 작가의 초기작도 수집하였고 후에 뉴욕시박물관에 전부 기증했다


나아가 미국 그래피티 박물관도 설립했지만 6개월 후 폐관. 말년에 투병할 때 병원비를 위해


유럽컬렉터에게 작품을 팔 수 있었으나 예술의 공공적 가치에 확고했다고


마틴은 그래피티가 단순한 낙서가 아닌 현대 미국 표현주의의 일환이라고 생각했다. 그 자신도 예술가가 되고 싶었고. 예술가들의 고뇌에 대해 스스로도 너무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아카이빙은 현재 뉴욕 도시사, 지역사, 미술사 연구의 초석이 되었다


후원자의 역할, 사회적 소수자의 감수성, 컬렉터의 책임, 그래티의 아카이빙, 미술관보다 앞던 시선 등에 대해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




https://www.nytimes.com/2025/04/10/arts/design/martin-wong-graffiti.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한국은 매운 것을 더 맵게, 그러나 매우면서 맛있게

고춧가루가 들어간 쌈장에 또 청양고추라든지, 불닭볶음면이라든지


최근 새로 나온 BBQ 마라핫치킨 디지게 매운맛 3단계는 승부욕을 자극하는 한국인들을 위해 먹고 매워 죽어봐라하고 나온 것 같다.

흑백돼지 백돈의 표정을 보고 있으니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돼? 싶었다



2. 미국은 단 것을 더 달게, 그러나 달면서 맛있게

초콜릿에 아이스크림에 크런치에 시럽에 마시멜로까지

시럽+드리즐+칩+휘핑 등을 다 때려박은 스타벅스 악마의 음료는 이미 커피와는 너무 멀어진듯. 그 최고봉은 미국 어느 코끼리 마을에 있다는 슈가프러스트 마시멜로 쿠키앤크림 초코브라우니 크림케이크 위드 더블카라멜 퍼지 글레이즈드도넛 토핑 앤 핫초코라는데... (그냥 내가 생각해봄)


3. 일본은 짠 것을 더 짜게, 그러나 짜면서 맛있게

간장베이스에 염지한 고기에 소금간 되어있는 미소..

한국인 입맛에 중화된 라멘이 아니라 현지인이 가는 라멘집에서 먹었더니, 아이 이게 뭐야 너무 짜잖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오픈한 MMCA덕수궁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을 다녀왔다. 오늘 오픈한 세화미술관과 더불어 6월 말까지 같은 지역 산책하며 초현실주의전 2개를 볼 수 있다


1. 덕수궁의 지난 한국자수전과 한중근현대회화 모두 훌륭했다. 이번도 그렇다. 1940-90년대 작품을 볼 수 있다. 사조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냐? 그것은 아니다. 유럽이 없으니, 유럽에서 발달한 사조니. 허나 개별 작가 탐구로서는 좋다


2. 곽인식 김병기 박영선 등 익히 알던 근현대화가의 새로운 면모를 알 수 있다. 구본창은 한국 고유의 미학으로 알려진 사진작가지만 독일유학 후 귀국 초창기에는 리얼리즘에 반대해 콜라주를 만들었다. 그런 맥락에서 예술가는 자기 스타일과 패러다임을 만든 다음에는 시대정신과 호흡하며 이런 저런 작품을 생산하는 게 좋다. 훗날 다양한 카테고리로 엮어서 묶음전시를 할 수 있으니 말이다. 미래 예비작가를 위한 그러한 테마를 조언하자면 비인간 동물권 AI 생태 우주 전쟁 인권이다


3.둘 다 보는 데 각 1시간이 채걸리지 않는다. 현대미술이란 것이 원래 작품의 공통 모티프와 어떻게 초현실을 구현했는가 탈맥락(데페이즈망) 방법과 의도를 이해하면 많은 시간을 요하지 않는다

작가는 고심해서 작품을 만들었지만 관객은 쓱 지나가고 만다. ROI가 좋지 않아 초현실주의는 인문학이고 한편 유럽인상파는 반도체,의학같다고 볼 수 있다


4. 나비 곤충 식물 꿈 새 하늘 바다 같은 상징과


신체변형, 비정형요소, 기하학적패턴 등 비슷한 요소가 계속 보인다


왜냐? 현실을 탈피하려고 하는데 현실에 없는 것을 생산해야하기에 무를 무한정만들 수 없어서 도식화되기 때문이다. 패턴화된다는 것이다. 이게 핵심이다. 모순적이다. 삶이 모순적이다. 부유한 작가가 끔찍한 그림을 그리고 빈곤한 작가가 아름다운 그림을 그린다. 선진국의 영화는 블랙유머와 회환으로 가득하고 도상국의 영화는 희망으로 가득하다. 현실과 작품은 반대다


5. 초현실주의는 몇 십년 전의 판타지이고 오늘날의 회빙환과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