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자 뉴욕타임즈 흥미로운 기사
8월 10일까지 뉴욕시미술관에서 하고 있는 중국계 게이 미국인 마틴 웡의 그래피티 콜렉션 전시
콜렉터는 반드시 성공한 부자여야할까? 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기사는 78년에 뉴욕으로 이주해 미술용품가게 직원으로 일하며 그래피티 작가들과 교류하고 당시에는 미술계에서 인정받지 못하던 그래피티 예술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마틴 웡에 대해 소개한다
일개 직원이었던 마틴은 작가들에게 스프레이나 마커를 할인/무료로 제공했고 400달러짜리 캔버스를 20달러짜리 송장으로 처리해주는 식으로 지원했다
기사에서 명확한 수입원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절약하며 모은 자산을 예술가들 후원에 쓴 것 같다
자신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공감에서 비롯된 감수성으로 주변화된 목소리를 기록하는 거리예술에 매료된 마틴은 작가의 초기작도 수집하였고 후에 뉴욕시박물관에 전부 기증했다
나아가 미국 그래피티 박물관도 설립했지만 6개월 후 폐관. 말년에 투병할 때 병원비를 위해
유럽컬렉터에게 작품을 팔 수 있었으나 예술의 공공적 가치에 확고했다고
마틴은 그래피티가 단순한 낙서가 아닌 현대 미국 표현주의의 일환이라고 생각했다. 그 자신도 예술가가 되고 싶었고. 예술가들의 고뇌에 대해 스스로도 너무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아카이빙은 현재 뉴욕 도시사, 지역사, 미술사 연구의 초석이 되었다
후원자의 역할, 사회적 소수자의 감수성, 컬렉터의 책임, 그래티의 아카이빙, 미술관보다 앞던 시선 등에 대해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
https://www.nytimes.com/2025/04/10/arts/design/martin-wong-graffiti.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