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복수의 탄생
이재익 지음 / 네오픽션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서평을 남기기 전에 작가의 화려한 이력을 주욱 살펴봤다. 그리고 나는 어떤 독자인가 하고 생각해본다. 독서 취향이 세련된 편도 아니고, 작품 걸러내는 안목이 높은 편도 아니다. 재미에 충실한 속도감있는 소설도 좋아하고, 사람의 감정이 진흙탕처럼 질퍽하고 혼탁하게 그려지는 소설도 좋아한다. [복수의 탄생]에서 그런 면면들을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은 아니다. 작가의 의도는 딱 그런 것 같았다. 그런데, 그런데도 읽으면서 혹은 이 소설 어떻냐고 물어보면 '글쎄..?' 하고 고개를 슬쩍 돌리게 만드는 그런 느낌이 있다.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신선함이 없었다는 것이다. '무슨 영화에서 봤던 것 같은 설정인데, 아 그 영화가 뭐였더라?' 하고 생각하게 만든다. 적당한 추격씬과 협박범과 벌이는 심리전, 그리고 살아남기 위해 등장인물들이 벌이는 볼만한 액션 등이 마치 영화 장면을 떠올리게 만들기 때문에 확실히 오락성은 강하다. 잘 만들어진 영화의 시놉시스를 보는 것 같기도 하고, 인물과 배경이 독자의 눈앞에 그려지기 쉽게 명료한 표현을 사용하여 관람하듯이 책을 읽을 수 있었다. 하지만 신간도서를 눈 앞에 두고 어디서 본 듯 하다는 느낌을 받는 것은 좀 아쉬운 일이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고 이미 모든 글들은 이전에 쓰여진 글의 변형이라고 하지만, 적어도 전혀 새로운 이야기를 눈앞에 두었다고 독자가 욕심 낼만한 구석이 있었어야 했다.
또 하나 눈에 밟혔던 것은 인물 설정이었다. 주인공 석호는 정말 매력적인 인물로 그려냈다. 욕망이 가득한 이중적이면서 부조리한 인물인데 무턱대고 밥맛없다고 싫어하게 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상쾌하기까지 하도록 자신의 삶을 잘 조절해나가는 치밀함은 보는 이로 하여금 대단하다고 승복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런데, 그런 그를 협박하기 위해 나타난 조태웅이란 인물은 아무래도 설득력이 부족하다. 내용의 핵심을 건드리게 될 것 같아 자세한 상황 설명은 하지 않지만, 석호가 그를 없애기 위해 고용한 전문 심부름센터의 인력들을 무자비하게 고문할 수 있는 압도적인 폭력성과 과감하고 소름끼치는 협박 방식과 어울리지 않는 발단과 결말을 안고 있는 인물이라 캐릭터의 일관성이 부족하다 여겨졌다. 마치 이야기를 재미있게 만들기 위해 작가가 이리붙였다 저리붙였다 쉽게 이용한 요소에 지나지 않았던 것 같았다.
그렇다보니 내용 자체가 복수에 복수의 꼬리를 무는 감정의 진흙탕을 보여준다기 보다는 그저 인물 각각의 욕망이 어떻게 표출되는가가 더 잘 드러나고 있다. 개인의 욕망으로 인해 서로에게 상처를 내게 된다는 것은 언뜻 비슷한 맥락이지만, 욕망이 복수로 넘어갈만한 결정적 계기를 충분히 심어주기엔 좀 구성의 탄탄함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성공과 명예를 위해 살인마저 불사할 석호, 십년이 넘는 시간동안 서로를 속박해온 재우 부부, 그 밖에도 자신을 숨긴 채 드러내지 않은 인물들 내면의 강렬한 욕구들은 복수 이전에 그저 욕망에 사로잡혀 그것을 표출해내는 것에 집중했던 것 처럼 보인다.
그리고 인물 간에 얽혀있는 이해관계나 감정선이 너무 많이 드러나서 내용 흐름이 어떻게 될 것이라는 것을 고스란히 독자가 지나갈 길목에 놓아두어 뒷 이야기가 궁금하기 보다 자신의 예상이 맞을지에 대한 확인을 위해 읽어나가게 되는 면이 있었다. 줄여말하면 반전 설정이 좀 진부했다. 이 부분은 딱 영화 [싱글맨]이 떠올랐다. 읽으면서 소설 자체가 하나의 모자이크 같단 생각을 많이 했다. 그 조각들을 통해 새로운 하나를 만들어 냈음은 분명하지만 조각조각들이 자신의 색을 잃지 않고 그 안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어 아쉬움이 남았다. 또 하나, 남성작가의 글이라는 느낌이 물씬 풍기는 표현들도 좋게말하면 속도감있고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진행으로 재미있으나 한편으론 지나치게 남성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도 미쳤다.
이래저래 아쉬운 부분은 많지만, 나름의 재미는 충분한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