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 - 거리의 인문학자 최준영 에세이
최준영 지음 / 이지북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최준영에 대해서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이 책의 느낌은, 짧은 일상의 단면을 담아놓은 에세이라기 보다 마치 저자의 자서전과 같단 것과 저자가 자신이 살아온 삶에 대해 자부심으로 충만하구나 하는 것이 가장 먼저 들었다. 그 뒤로 정말 저자가 자신을 수식하는 표현들과 자신의 선택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에 의심의 여지가 없을까 하는 의구심이 따라오긴 하지만, 처음 이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빼곡한 자부심과 자신에게 쏟는 큰 애정은 참 긍정적인 노력으로 삶을 사는 사람이구나 하고 생각하게 만든다.

 

 

 사실 책 자체가 마음에 드는 편은 아니었다. [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는 책의 제목에도 그렇고, 책 속의 '인터넷에서 글을 쓰다'는 편의 내용에서도 그렇지만, 잘 쓴 글은 아니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 아는 것도 가진 것도 많은 사람인데 이상하게 말이 많고 가벼워 말에서 힘을 느끼기 어려운 사람이 있는데, 책에서 그런 분위기를 좀 느꼈다. 강연을 주로 하는 분이니 직접 면대면으로 강연을 들으면 직접적으로 전해지는 무게감이나 힘이 느껴질지도 모르겠는데 책 속의 내용들은 좀 가볍고 사변적으로 느껴졌다.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 라고 말했던 퍼거슨의 말을 더 신뢰하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가장 마음에 걸렸던 것은 '너무 좋은 말만 하는 건 싫어요'라는 편이었는데, 그 솔직한 내용에 약간의 반발심과 공감이 생겼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과 다른 사람의 글을 존중하는 것은 다른 문제인 것이란 생각과 결국 나도 같은 잣대로 저자의 글을 평가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같이 들었다. 다만 나의 경우 그저 글을 읽고 자신의 감상을 남기는 입장에 서 있을 뿐인 것이긴 하지만. 반어적인 표현일수도 있고, 완급의 조절이 중요하다는 의미 정도로 글의 내용을 받아들일 수 있지만 그래도 생각보다 날선 표현을 쓴 것이 아닌가 싶다.

 

 

 글 자체의 무게만으로 모든 것을 평가절하할 수는 없고, 짧은 이야기 속에서 보이는 넓은 시야와 다양한 관심사도 그렇고 자신의 것을 다른 사람이 가볍게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통해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도 책을 읽다보면 알게 되어 좋은 점도 충분히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아쉬운 점을 더 많이 발견하게 되어 좀 더 정리된 글을 썼다면 혹은 더 좋은 문장을 사용했더라면 하는 바람이 남았다. 저자의 사회활동에 대해 관심이 많고 평소 트위터 등으로 저자의 글을 많이 읽어왔던 사람이라면 많은 공감을 하며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